본문 바로가기
Ethiopia Coffee

아라비카 커피의 고향 에티오피아

by mjcafe 2023. 4. 24.

아라비카 커피와 그 발견의 역사적 뿌리에 대해서는 명확한 것이 없다. 아라비카 커피의 정확한 起源에 관한 명확한 역사적 연구가 이뤄진 적이 아직 없다. 역사가들은 에티오피아 남서부의 숲에서 커피가 처음 발견되었다고 일반적 동의만 하고 있을 뿐이다. 소수의 학술 연구들에 따르면, 남서부 에티오피아, 특히 Kaffa 지방 북부 지역, 즉 Jimma and Limmu Awraja의 예전 인나랴 지역(Ennarya region)이 아라비카 커피의 誕生地(the birth place of coffee)일 수 있다고 한다 (Hassen 1994, Huntingford 1969,  Teketay 1999).

 

여러 2차 자료들이 가리키는 바에 따르면, 예전의 Ennarya regions (나중에는 Limmu Ennarya)은 남쪽의 Gojeb 리버 밸리, 북쪽의 Wama River, 동쪽의 Gibe 그리고 서쪽의 the Upper Dedhessa River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Haarer 1962,  McCann 1995). 

Ennarya region이 아라비카 커피의 탄생지

Awraja 라는 용어는
에티오피아의 3차 지방 하위 구역이다. “county” 또는 “sub-province”로 번역할 수 있고,
   
그 아래 4차 지방 구역은 “woreda” 또는 districts이다.
    1996
년에 provinces Regions (Kilil) 그리고 awrajja Zones로 대체되었다.  


Ennarya

   Ennarea, Innarya, 또는 Hinnario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현재 서부 에티오피아에 있는 Gibe region에 있었던 kingdom이었다. Ennarya 킹덤은 보통 Kingdom of Limmu-Ennarea라고 부르며, 이는 19세기에 등장했다. 동쪽으로는 Kingdom of Jimma, 남쪽으로는 Kingdom of Gomma, 서쪽으로는 Kingdom of Gumma, 그리고 북쪽으로는 Macha Oromo 부족과 경계를 나누었다. 이 왕국은 북부-남부 중심에 1,500~2,000m 고도의 숲들로 덮여 있었다.  

 

아라비카 커피가 다른 에리어들에서 기원한다는 것을 밝히는 또 다른 주장들이 있다. 예를 들어, 예전의 Bunno Bedelle awraja, 현재의 Bedelle 에리어가 커피의 오리지날 고향이다는 주장이 있다 [Lelisa 2013]. 그래도, Bunno BedelleEnnarya region의 자연환경의 유사성 때문에 이 주장은 사실일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에티오피아 남서부 고원지대와 경계를 맞대고 있는 Sudan 동부의 the Boma plateau를 커피의 birth place로 밝힌 다른 주장도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그 두 에리어들 간의 공통되는 경계가 정확하게 같지 않다. 에리어들은 커피 생산에 유리한 유사한 환경 조건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커피의 기원지를 South Arabia로 연결하려는 시도도 있다; Yemenbirth place of coffee라는 주장이다 [Woldemariam 2002].

에티오피아 남서부 고원지대들의 숲들을 탐구해온 모든 식물학자들이 에티오피아가 C. arabicadiversity의 중심이라고 보고했다 [Tesfaye 2006].

 

커피 나무가 아라비아에서 기원했다는 믿음도 있다. 이 학자들에 따르면, 음료로서 커피와 커피 재배에 관한 지식이 아라비아에서 처음 얻어졌기 때문이다. 이 주장이 맞다 하더라도 그것은 너무 피상적이다. 그들은 커피 음용 습관, Linnaeus가 명명한 학명, 그리고 15세기의 일이었던 아라비아에서의 커피 재배를 증거로 이용했다그러나, 15세기 이전에 Ennarya  regions Oromo people가 커피를 사용했다는 강한 주장이 있다. 커피 음용은 15세기 중엽 예멘의 Sufi Monasteries에서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신뢰할 만한 증거가 존재하며, 우리는 여전히 지금도 커피 레퍼런스들에서 Mocha (예멘 항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Bossolasco 2009]. 커피 나무의 기원지로 널리 생각되는 Harar는 지역민들이 커피 나무들을 재배해왔을 수도 있는 Ethiopia, Kenya 또는 Sudan의 지역이었다 [Tessema 2006]. 그는 커피의 기원지에 대해서, 재배의 정도와 아프리카의 넓은 면적만을 사용했다. 물론, 커피는 상록수이고, 유사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다. 그것은 바람과 야생 조류들에 의해 퍼져 나갈 수 있다.    

 

이처럼, 에티오피아 및 여타 국가 역사학자들은 아라비카 커피는 에티오피아 남서부 숲, 특히 Ennarya region에서 진화되었다고 반복하여 주장한다 [Degefa 2006]. 다른 연구들에 따르면, 커피의 기원지는 아라비카 커피의 모국(motherlands)으로 생각되는 Gejeb kebele에 있는 Ennarya regionSuntu (현재의 Limmu Kossa) Coffee State Farm 주변이다. 이곳에서는, 수령이 약 200년이 된, 아직 충분한 생산을 하고 있는 mother tree (Mootii Bunaa)를 볼 수 있다. 심지어 그 지역의 사람들은 주택 건축을 위해 지역민들이 다른 많은 비슷한 mother coffee trees를 베었다고 한다. 이들은 예전의 Ennarya [Limmu Ennarya]가 커피의 역사적 기원지라는 좋은 증거를 말해준다 [Wellman 1961].  

 

Limu Kosa 지역의 커피 농부들은 커피가 다음과 같은 Limu Kosa의 숲들에서 유래되었다고 말한다 :

- Baddaa Dallachaa

- Baddaa Kalloo

- Baddaa Miyaa (in Tanaboo Laaloo farmers’ association)

- Baddaa Gejib (Uursa Gotaa river) in Limu Seka woreda

 

Suntu State Farm의 Seka woreda 지사에 있는 Gejib 숲에 아주 오래된 커피 나무 3그루가 있다고 한다. 그 중 하나는 높이 11m, 둘레 72cm, 추정 수령 130년인 커피 나무도 있다고 한다. 

Suntu State Farm 일대가 커피의 기원지라고 현지 농부들은 말하고 있다. 이 땅은 19세기말 Menelik 시대에 Oromo족으로부터 Gondar 출신의 땅 소유주인 Kabire라는 사람에 의해 강제로 탈취되었다고 한다. 당시에 커피는 현지에서 교환되는 정도이었으며, 그곳 사람들은 그 지역 수도인 Agaro까지 접근성이 결핍되어 갈 수 없었다고 한다. 이탈리아의 침공(1936-1941)에 첫 외부와의 교역이 이뤄졌는데, 커피 1 feresulla (17kg)는 1 madre teresa (Maria Theresa Thaler, 1894년까지의 에티오피아 화폐단위)였다고 한다. 그 전까지 커피는 상품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지역 시장이 Seka에 있기는 했지만, 커피를 팔지는 않았다. 이탈리아 침공 후 암하라의 지배 동안 토지 소유자들에게 속한 땅들을 렌트해주면서 커피 농업과 교역이 제대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Limu Suntu and Enaria 지역에서 제대로 된 맛을 내는 "motherlands of coffee"는 다음의 장소들로 손꼽히고 있다. 

 

- Tenebo Bedea’a (특별한 맛을 가진 커피를 생산);

- Mito – the peasant association where Gundib State farm (Suntu State Farm) is located;

- Bedelelech up to Mencho Debni Buria;

- Min Mdenbi Buria state farm (Suntu State Farm);

- Geenaa Dujumaa and Yaatuu Tirgii Gubecho peasant associations up to Gumer State Farm;  

 

Limu 지역에서 토양 비옥성과 기후적합성으로 인해, 커피를 보호한 울창한 숲들은, Bedo Kelo, Bedo Mia’a, Dalecha, Gejib 그리고 Hursa Gotu의 숲들이며, 이들 숲들은 Bedo Moti라고 알려져 있다. 

 

Ennarya regions에서의 아라비카 커피의 역사적 뿌리를 보여주는 만족할 만한 지역에 관한 문헌적 원천들은 없다. 그러나, 2개의 경합 지역들이 있는데, “현재 Kaffa zoneMankira와 현재 Jimma zoneCoocee이다. 에리어들은 오랫동안 예전 Kaffa Kifle Hager의 일부이며, 지난 20년 이후로 분리되어 별개의 행정 구역(zones)으로 각각 현재의 Kaffa zoneJimma zone의 일부가 되었다 [Mohammed Hassen, 1994].  

 

Mankira와 Katta Muduga 위치

커피의 기원에 관한 첫번째 지역 지향의 출처는 현재의 Kaffa ZoneBunno kebele에 있는 Mankira (ማንኪራ)라는 특별한 장소가 있는 South of Gojeb region이 아라비카 커피의 탄생지였다는 것으로 밝히는 설명이다 [Bekele  Woldmariam, 2002].  Kaffa 전설에 따르면, 커피는 A.D. 2세기 경에 Kalli 또는 Kalliti라는 염소지기에 의해 커피가 발견되었다. 그 전설은 “… Kalli 또는 Kalliti 라는 염소지기가 염소들의 숨에서 커피의 특별한 냄새를 알아챈 것은 약 2세기경 어느 때였다. Kalli는 염소들의 경로를 따라가 염소들이 열심히 먹은 나무 잎들의 타입을 관찰했다. 그런 다음 Kalli는 이 잎들을 땄다. 그는 야생 커피의 자극적인 특성들을 처음 관찰했다….”.

 

Jeff Koehler (2017)는 그의 저서 『Where the Wild Coffee Grows: The Untold Story of Coffee from the Cloud Forests of Ethiopia to Your Cup』에서 Mankira에 현지인과 동행하여 탐방한 내용을 비교적 소상하게 소개하고 있다. 

Kafa는 공식적으로 에티오피아의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SNNP)라는 큰 regional state에 속한 하나의 'zone'이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문화 및 언어적으로 다양한 지역 중 하나이다. Kafa는 약 4,250제곱마일로 코네티컷보다 약간 작으며 농촌 인구는 850,000명이다. Kafa에서 가장 큰 도시인 수도 봉가(Bonga)는 이웃 지역의 Jimma를 제외하고 모든 방향으로 수백 마일에 걸쳐 가장 큰 도시이며 인구는 2만 7천 명에 불과하다. 

    Koehler와 동행한 'Bonga에서 Kafa 숲의 최고 권위자인 Mesfin Tekle'라는 사람은 “전설에 따르면 Mankira에서 커피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라고 말했다. 그 지역 전통에 따르면 특히 이 숲이 커피의 발상지이다. 
   Mankira Forest는 Bonga에서 불과 15마일 떨어져 있다. 약 700명의 사람들이 네 개의 아주 작은 촌락과 더 큰 동명의 마을에 살고 있다. 일년 중 대부분은 접근할 수 없으며 나머지 기간에도 접근하기 쉽지는 않다고 소개한다. 봉가에서 랜드크루저로 1시간 운전하면 트럭이 돌로 뒤덮이고 유출수로 파이고 씻겨진 도로를 더 이상 갈 수 없을 때까지 간 다음, 그리고 구미강(Gumi river, Gumma river)까지 도보로 1시간 더 가야 한다고 알려준다. Gumi ("Dark")는 만키라의 경계를 표시하며, 4월에서 9월까지의 긴 우기(현지에서는 yooyo라고 불림)에는 불어난 강이 만키라를 차단한다. Gumi에서 첫 번째 작은 마을인 골라(Gola)까지는 거의 1시간이 걸렸고, 그 다음 만키라(Mankira) 마을까지 또 한 시간이 걸렸다고 알려준다. Mankira 숲에 도착한 일행은 그곳에서 가장 오래된 커피 나무를 “Bune inde”(mother coffee tree)라고 가리키며, 오래된 나무껍질에서 작은 양치식물이 돋아나고 수염 같은 술이 가지에 달라붙어 있었다고 묘사하고 있다. Bonga의 커피 나무 채집자들은 지정된 지역에 도달하기 위해 숲 속으로 더 멀리 가는 사람들은 삶은 콩, 약간의 양배추, 엔셋(enset)의 발효 전분으로 만든 주식인 플랫 빵인 코초(kocho)와 같은 음식과, 잔가지로 엮은 광주리(망태기)에 꼭 맞게 넣는, 옥수수 속대로 마개를 막은 커피 제베나(jebena)를 가지고, 말과 노새를 타고 여행하며 임시 캠프를 세워 한 달 이상 머물다가 12월 말이나 1월에 수확물을 거두어 커피를 말리면 돌아온다고 한다. 

이 지방의 전설은 많은 초목들 중에서도 Kaffa가 세상에 제시한 특별한 보상은 “coffee”이다. Kaffa 언어 Kafinono (Kafi noon)에서 coffee 라는 단어는 Bunno이다. Kaffa에는, Bonga의 동남쪽에 있는 Mankira라는 장소가 커피가 발원한 곳이다 (Meyer, F. G., 1965). Kaffa 학자들과 지역의 전설은 모순적인 증거들에 의존해왔다. 첫째, coffee라는 이름은 Kaffa라는 단어로부터 처음 파생되었고, 다른 언어들이 그것으로부터 가져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서는 그것은 “kaifye”이고, 덴마크어로는 “kaffe“, 핀란드어에서는 “kavie”, 헝거리어에서는 “kave”, 이탈리아어에서는 “café”, 영어를 쓰는 나라들에서는 “coffee”라고 불린다.

 

Ethiopia에서도 조차 다른 이름들이 있다. 예를 들어, Amharic (암하라語)으로는 Bunna, Afaan Oromo(오로모語)에서는 Buna, Tigrinya(티그리냐語)에서는bun”, Gamo(가모語), Wälläyta(월라이타), Kullo(쿨로)에서는 tukke, 그리고 Harari에서는 qahwa라고 한다Amharic“Bunna(ቡና)” Afan Oromo“Buna”“Bunno”라는 Kaffa어의 용어에서 파생되었음을 보여주는 강한 증거는 없다. 그것은 “Bunna”, “Bun”, “Bune”, “Buna”, 그리고 “Bunna” 간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논란이 많은 증거이다 (Southard, 1918). 정제된 과학적 증거는, “coffee”라는 이름은 커피와 차에서 천연으로 발견되는 자극성 물질을 의미하는 “Coffien”에서 파생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이들은 wine을 의미하는 아랍어 qahwah에 뿌리를 둔 터어키語 Kahveh에서 파생되었다고도 한다.   

 

두번째 지역적 원천은 현재의 Jimma Zone, Gomma districtCoocee Guddaa (Cocee) kebele (케벨레 =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작은 행정단위)에 있는 katta muduga라고 하는 장소이다. Oromo 전설에 따르면 염소지기 KalidGomma (ጎሜር።) districtCocee kebele에 있는 katta muduga’a라는 작은 언덕에서 1000년 전에 커피를 발견했다 (Asfaw 2006, Solomon 2007). 다만, Asfaw (2006)의 레퍼런스는 그 저자의 학위 논문의 맨 앞부분에 나오는 서론적 언급에 불과한 것으로 치밀한 역사적 고증이 뒷받침 된 것은 아니다.  Solomon (2007)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Guddaa는 ⇒great라는 의미, kattarock, muuduuappointment).  

 

이 전설은 또한 KalidA.D. 9C 말경에 Gomma로 행운을 찾아 온 아랍 무슬림이었다고 한다. GommaOromo語로 전해지는 Kalid의 전설은 다음과 같다 ; “…하루는 Kalid가 염소들이 이상한 행동의 하는 것을 보았는데, 염소들이 정말 왕성하게 깡총깡총 뛰고(skipping),  뒷다리로 서고(rearing on), 크게 우는(bleating) 것을 관찰했다. 그는 염소들이 그의 목초지 근처에서 녹색 관목들에 있는 밝은 빨간색 베리들을 먹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도 직접 그것을 먹어보았고 금방 새로운 기분 좋은 느낌을 느꼈다 (Smith, 1985).”   

이 전설에서 커피의 탄생지와 커피를 처음 이용했던 사람들에 관하여 혼동이 있음을 알게 된다. 에티오피아 커피 사전에서는, 에티오피아 인종집단들이 사용한 다른 커피 용어들이 있다. 예를 들어, Tigrinya에서는 bunin, Amharic에서는 bunnain, Afan Oromo에서는 buna, Gamo, Wälläyta, Kullo에서는 tukke, Harari에서는 qahwa, Me’en에서는 tika, Gurage에서는 buna. 이 용어들은 coffee bean에 해당하며, Arabic(아랍어) 에티오피아 언어들에서는 모두 bun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Bekele에 따르면, “bunna”라는 용어는 19세기 북쪽의 장거리 무역상들을 위해 커피를 준비한 Kaffa의 여인들에게 붙인 이름이다. 이 문헌은 Kaffa region에서 “Bunna”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언명했던 사람들은 북부 무역상들이었고, 19세기 전에 Kaffa region에는 coffee 이름이 없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다른 언어들이 Bunno라는 용어를 차용했다는 증거는 없는 것이다 (Bekele 2010).

 

이는 ‘Bunna’라는 이름이 장거리 무역의 시작 전에는 사용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정황에서, 다른 학자들은 KaffaMinjo dynasty의 형성으로 14세기에 등장했고 장거리 무역은 겨우 19세기의 일이기에 찬성한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기독교가 AD 4세기에 Ethiopia 북부에 도입되었고, Kaffa는 중세기(1270-1855) 동안에 기독교였다.

 

한편 커피의 사용은 17세기 후에서나 기독교 세계와 에티오피아에서 대중적이 되었다. Oromo 전설에 따르면,  OromoA.D. 10세기 이후부터 커피를Buna라고 불렀다. 그들은 여전히 커피에 대한 다른 이름이 없다. 결과적으로 “Bunna” Oromia region에 있어서 커피를 나타내는 유일한 단어이다. 따라서, Amharic 이름 “Bunna”Oromo 단어 “Buna”로부터 파생되었거나 혹은 Yemen“Bunn”으로부터 차용되었을지도 모른다.

 

커피 나무 발견의 최초 진원지라고 주장하는 두 지역들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학술적 증거들에 기초한 에티오피아 남서부 지방에 속해 있고, 야생 커피나무들의 서식에 적합한 장소이기는 하지만, 과학적인 탐구나 신뢰할 만한 역사적 고증들이 지지하는 곳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다만, Oromia 지역과 Southern Nation Nationalities and Peoples (SNNP) 지역의 지방 정부들이 두 장소에 각각 커피 박물관을 건립해두고 있다.

 

각 에 있는 이 두 지역의 에리어들 사이에 나타나는 모순된 위치들에도 불구하고, Oromo의 전설에 따르면, 예전의 Ennarya regions, 현재의 Jimma Zone에 속해 있는 Gomma woredaCoocee (Coocee Guddaa, 구글 지도에서는 K'oChe로 표시되어 있음) kebelekatta muuduuga’a 라는 장소가 아라비카 커피의 기원지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해당 지역 주민들도 이를 주장하고 있는 중이다 [Duressa, 2013, Furi &  Bashargo 2018]. (Guddaa ⇒ great라는 의미, katta rock, muuduu appointment)

 

- Origin of Arabica Coffee = የአረቢካ ቡና መገኛ 

- Coocee Kattaa Mudugaa = ጮጬ ካታ ሙዱጋ

Katta Muduga in K'Oche of Gomma woreda

 

ጮጬ ካታ ሙዱጋ
Coffee Forest in Katta Muduga


커피의 원조 진원지를 둘러싼 Kaffa와 Jimma 간의 갈등

역사적 맥락에서 Kaffa와 Jimma(때때로 Djimma로 표기)는 정확히 어느 지역이 커피의 원조 원산지인지에 대해 오랫동안 논쟁을 벌였다. 외부인에게는 <칼디와 그의 춤추는 염소들> 전설의 출처가 불분명하고 에티오피아 서부의 멋진 다층 산의 안개 속에서 길을 잃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부족과 마을에 대한 충성이 정체성의 중심 문제인 사람들에게는 구별이 중요하다고 한다. 

 

<roast MAGAZINE>의 DAILY COFFEE NEWS는 2018년 11월 26일자로 "커피의 기원 정치화에 따른 에티오피아 Kaffa에서의 수천명 시위"라는 기사를 생생한 사진들과 함께 보도했다 (Emily McIntyre). 기사에 따르면, Ethiopian Coffee & Tea Authority가 주최한 2018년 12월 4일-5일 국제적인 커피 행사를 앞두고 에티오피아 Jimma 지역 공항에 "커피 아라비카의 고향인 Djimma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거대한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본래는 Kaffa라고 표기되어 있었던 문구가 게시 후 얼마되지 않아 Djimma로 바뀐 것이다. 이 소식이 퍼지자 Kaffa 지역의 조직가들과 농민들이 Bonga에서 수천명 모여 극렬한 시위를 벌인 것이다. 시위의 도화선이 된 것은 공항 현수막에 표시된 '커피의 고향' 지명이었지만, 시위의 배경에는 당시 새로운 에티오피아 총리 Ably Ahmed 박사의 수상한 비위 의혹과 새로운 정부의 Oromia 선호 성향 등에 대한 불만 등과 같은 요인들이 혼재되어 있었다고 한다. 

 

Ethiopia Insight에 따르면, 봉가가 속한 Kafa(Kaffa) 지역의 주민들은 이제 주로서의 독립을 연방 정부에 요구하고 나선 상태까지 발전해 있다. 연방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 기타 여러 문제들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간 부족간 갈등과 물리적 충돌들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으로 보인다.  우리 관심의 초점이 되는 커피와 관련해서, 에티오피아의 봉가에 위치한 커피 박물관은 2015년 4월에 개관했지만 남부 국가 당국과 Abiy 총리가 이 문제를 조사하겠다는 약속에도 불구하고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박물관을 봉가대학교에서 운영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그러나 Kafa 엘리트 회원들과 다른 인류학자들은 카파의 역사와 왕국과 관련된 자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국립 박물관이며 연방 관광부가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실적으로 관람객을 맞을 준비나 기본적인 관리도 안되고 있는 상태이며, 운영 자체가 방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에티오피아 봉가 커피 박물관

 

*) 기사 원문 :
https://dailycoffeenews.com/2018/11/26/thousands-protest-in-kaffa-as-coffees-origin-is-politicized/ 

 

Thousands Protest in Kaffa, Ethiopia, as Coffee’s Origin is Politicized

Kaffa, Ethiopia: The people here carry their identity close to the bone, pride pulsing with their blood — and never was this clearer than on the days of Nov. 7-11, 2018, when they staged peaceful p…

dailycoffeenews.com

https://www.ethiopia-insight.com/2023/01/23/in-federal-ethiopias-diverse-south-west-its-time-to-wake-up-and-smell-the-coffee/

 

In federal Ethiopia’s diverse South West, it’s time to wake up and smell the coffee - Ethiopia Insight

Neither top-down administrative restructuring nor identity-based autonomy demands are likely to bring peace and development to the South West of Ethiopia.

www.ethiopia-insight.com

 


2023 에티오피아 CoE 중단 및 연기 발표

에티오피아 CoE (Cup of Excellence) 프로그램이 2023년에 중단되었다는 뉴스가 나왔다. CoE 주관 비영리단체 ACE (Alliance for Coffee Excellence)는 2023년 3월초 이 프로그램 중단을 발표하면서 2024년에 생두 경쟁 및 경매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에티오피아 컵 오브 엑설런스 프로그램은 처음에 USAID와 협력하여 미국 정부의 FTFVCA (Feed the Future's Value Chain Activity)의 지원을 받아 미국에 기반을 둔 ACE와 Ethiopian Coffee & Tea Authority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가능해졌었다.

 

ACE에 따르면 FTFVCA는 2021년에 ACE/CoE와의 작업 범위를 종료했으며 Coffee and Tea Authority와 직접 협력하기 시작했다. ACE의 말에 따르면 "우리 프로그램에 필요한 모든 엄격한 활동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 에티오피아 내에서 수많은 문제"로 인해 Coffee and Tea Authority가 올해 행사 운영을 궁극적으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ACE는 "2023년 CoE 에티오피아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2024년 프로그램을 향한 우리의 노력을 다시 주장하게 되어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ACE와 CoE는 2023년판을 계속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지만 에티오피아의 상황으로 인해 운영을 중단해야 했습니다." 

 

에티오피아의 누적된 경제적 악조건들로 인한 위기가 절정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천 달러 이상은 해외 반출이 금지되었고, 수도 Addis Ababa 소재 다국적 기업들의 사무소들이 철수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해진다. 심지어 곧 국제통화기금의 구제금융이 시작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고 한다. 오랜 기간 정치적 권력을 잡아온 티크라이족과 새롭게 정권을 잡은 오로미아족 사이의 갈등과 분쟁이 격화되어 내전에 이르게 될 정도가 된 정치적 혼돈도 커피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한 측면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에티오피아 국가가 상당한 지원과 개입을 했던 CoE 행사이었던 만큼, 이런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의 혼란이 행사 중단을 결정하게 된 직접적인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런 뉴스에 더하여, 에티오피아 커피 분야의 상황과 흐름을 생동감있게 전해준 리포트가 <2023 월간커피 4월호>에 특집기사로 나와, 에티오피아 커피를 정말 좋아하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오영훈 (2019). [산과 문화인류학 <6> 에티오피아 커피] 고산 기후 + 비옥한 토양의 야생 아라비카 원산지. 월간 산. 

 

Jeff Koehler (2017). Where the Wild Coffee Grows: The Untold Story of Coffee from the Cloud Forests of Ethiopia to Your Cup. Bloomsbury USA. 

 

Asfaw, Tihune. (2006). “Organic coffee production and sustainable agriculture (a socio- ecological analysis) a case study in Limmuu Kossaa District” MA thesis (Addis Ababa University, Regional and Local Development Studies) http://etd.aau.edu.et/handle/123456789/10395

 

Solomon, B. (2007).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the wild coffea arabica L. Populations from Harenna Forest, Bale Mountains of Ethiopia, using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marker.” MSc Thesis (Applied Genetics). Addis Ababa University.

 

Dagm Alemayehu Tegegn. (2022). Coffee production in Limmu Awraja, southwest Ethiopia: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o the introduction of privatization policy

https://doi.org/10.1080/23311983.2022.2139803

 

Endalkachew Lelisa Duressa,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Coffee Production in Southwestern Ethiopia: An Overview, Journal of Culture, Society and Development ISSN 2422-8400, Vol.38, 2018

 

Fuad Abba Fita. (2010). “Studies on the Diversity of Insect Pest in Wild and Cultivated Coffee Plantation in and around Jimma, southwest Ethiopia”, MSC Thesis, AAU.

 

Furi, Temesgen and Getachew Bashargo (2018). "ANALYSIS OF TECHNICAL EFFICIENCY OF COFFEE PRODUCTION ON SMALL HOLDER FARMERS IN CASE OF SASIGA & LIMU DISTRICTS OF EAST WOLLEGA ZONE", Europ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6, No.2, pp.30-44.

 

Ermias Demere. (1985). “Productivity study of resource and income in the growing farms of Kaffa administrative region”, MS.C. Thesis AAU.

 

Tesfaye Alemu and Ibra Limosker. (2000). “The states of Coffee Berry Disease in Minor coffee growing regions” in the book proceeding of the workshop on the control of Coffee Berry Disease in Ethiopia, Addis Ababa.

 

Bartles, Lambert. (1990). Oromo Religion, Myth and Rites of the Western Oromo of Ethiopia: An Attempt to Understand. Dietrich Reimer Verlag: Berlin.

 

Wrigley Gordon. (1986). History of coffee. Linton Cambridge, p.10.

 

Endalkachew Lelisa. (2013). A Historical Survey of Coffee Production and Marketing in Jimma and Limmu Awräjäs, ca. 1800-1991, MA Thesis, Jimma University, Department of History and Heritage Management, p.27.

 

De Salvia C Martial. (1901). Ancient African people the great Nation: the Oromo people, Paris France, p.112.

 

Mekonen Hailemichael. (2009). Influence of Genotype, Location and Process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Coffee (coffea arabica l.) M.S.C. Thesis Hawassa University, Ethiopia.

 

McCann, James. (1995). People of the plow: Agricultural history of Ethiopia 1800-1990 Wisconsin press.

 

Mohammed Hassen (1994). The Oromo of Ethiopia: a history 1570-1860. Cambridge, University.

 

Huntingford. G. W. B. (1969). The Galla of Ethiopia, the kingdom of kaffa and Janjero (London).

 

Demel Teketay. (1999). History, botany and ecological requirements of Coffee Article, Botswana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BUAN).

 

Haarer, A. E. (1962). Modern Coffee Production. Leonard Hill Book Limited, London,

 

McCann, James. (1995). People of the plow: Agricultural history of Ethiopia 1800-1990, Wisconsin press.

 

Endalkachew Lelisa. (2013). A Historical Survey of Coffee Production and Marketing in Jimma and Limmu Awräjäs, ca. 1800-1991, MA Thesis, Jimma University, Department of History and Heritage Management.

 

Bekele Woldemariam. (2002). The history of the kingdom of Kaffa: the birth place of coffee 1390- 1935, Addis Ababa ARCCIKCL.

 

Tsegaye Tesfaye. (2006). Impact of coffee price fluctuation on the Ethiopian Coffee Plantation Enterprise” BA Thesis, Jimma University.

 

Laurent Bossolasco. (2009). Limu Coffee. A study case on Coffee (Coffea arabica L.).

 

Tamirat Tessema. (2006). “Impact of international coffee price fluctuation on Economic Development of Jimma Zone” BA Thesis, Jimma University, Department of Economies.

 

Gutu Degefa. (2006). “Coffee export and Economic growth in Ethiopia” A Research Report. BA Thesis, Jimma University.

 

Wellman, F. L. (1961). Coffee: Botany, Cultivation and Utilization. Leonard Hill (Books), London.

 

Wrigley, G. (1988). Coffee. Tropical Agriculture Series.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Co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with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Merid Wolde Aragey. (1988). The Early history of Ethiopia Coffee Trade and the rise of Shawa: Journal of Great Britain African history.

 

Pankhurst, Richard. (1990). A social History of Ethiopia: The Northern and Central Institutes of Ethiopia studies, Addis Ababa, Ethiopia.

 

Mesfin Amaha. (1991). General Introduction: An overview on the status of coffee, tea and spice in Ethiopia. Proceedings of the first workshop on production constraint assessment of coffee, tea and spices. Jimma College of Agriculture, Jimma.

 

Meyer, F. G. (1965). Notes on Wild Coffea Arabica from South-western Ethiopia, with some Historical Considerations. Economic Botany 19: 136-151.

 

Southard, A. E. (1918). The Story of Abyssinia’s Coffees. The Tea and Trade Journal 34 (3): 212-215 and 324- 329.

 

Smith, R. F. (1985). A history of coffee. In Clifford, and Willson, (eds.), Coffee: Botany, Chemistry and Production of Beans and Beverage, Croom Helm Ltd, England.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