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6

청호반새(Halycon pileata) Part Ⅱ 깃털 1️⃣ 깃털 概要 (Overview of feathers) 깃털(羽毛, Feather)은 조류의 몸을 덮는 각질성(keratinized) 구조물로, 조류를 다른 척추동물과 구별 짓는 가장 독특한 특징이다. 깃털은 飛行能力(flight ability), 體温調節(thermoregulation), 防水(waterproofing), 僞裝(camouflage), 社會的 信號傳達(social signaling) 등 생존에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깃털의 미세 구조 (microscopic structure)와 색상(coloration) 발현에 크게 의존한다. 조류해부학에서는 ‘깃털(羽毛, Feather)’이라는 명칭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우모(羽毛)’라는 한자 명칭도 혼.. 2025. 10. 6.
청호반새(Halycon pileata) Part I 프롤로그~골격 🪶 Prologue: 새를 바라보는 눈, 생명을 배우는 마음처음엔 단지 한 장의 사진이었다. 붉은 부리를 빛 속에 세우고, 푸른 날개를 물결 위로 펼친 청호반새(Halcyon pileata)의 모습. 그 한 장면이, 수천 시간의 기다림과 수만 번의 셔터 속에서 태어난 결과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나는 새(사진, 영상)를 보기 위해선, 새를 알아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사진작가들, 혹은 탐조인이라 불리는 이들은 단순히 아름다움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의 순간을 존중하고 기다리는 사람들이었다. 그들의 렌즈는 단지 광학적 장치가 아니라, 자연을 향한 경외의 시선이었고, 그 시선은 나를 조류학의 세계로 이끌었다. 청호반새를 공부하기 시작하면서, 나는 이 새가 단지 아름다운 외형을 가진 존재가 아니.. 2025. 9. 24.
물총새 (Alcedo atthis) 한국어물총새學名Alcedo atthis 알세도 아티스英名Common kingfisher, Eurasian kingfisher, river kingfisher日名カワセミ(翡翠, 翡翆, 魚狗, 川蟬, 鴗)中名普通翠鳥 물총새는 파랑새목 물총새과에 속하는 소형 조류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아름다운 색채와 정밀한 사냥 능력으로 유명하다. 본 포스트에서는 물총새의 생물학적 특성, 생태적 행동, 문화적 상징성, 탐조사진 등 종합적으로 담는다. 이 종은 전형적인 짧은 꼬리, 땅딸막한 몸, 큰 머리, 긴 부리를 가진 kingfisher (물총새)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유라시아, 북미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7가지 아종이 있는 소형 kingfisher이다.서유럽 아종 인 A. a. ispida의 성체 수.. 2025. 8. 18.
호반새 (Ruddy kingfisher) 한국어호반새 (湖畔새)學名Halcyon coromanda 할시온 코로만다英名Ruddy kingfisher日名アカショウビン (赤翡翠) 몸길이 약 27cm까지 자라는 호반새는 매우 크고 밝은 붉은색 부리(very large, bright red bill)와그만큼이나 붉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 몸은 녹슨 붉은색(rust red, 적갈색)이며, 꼬리 부분에서는 보통 짙은 보라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몸 下面(아랫면)은 오렌지 갈색. 몸체 상부의 허리 부분에 세로로 하늘색 무늬가 있다. 날 때 이 하늘색이 눈에 잘 띈다. 날개 개장은 약 40 cm이다. 눈은 까맣다. 性的 異形性(sexual dimorphism)은 거의 없지만, 일부 자료에 따르면 수컷의 깃털이 다소 더 밝다. 울창한 삼림 지대를 선호하기 때.. 2025. 8. 6.
로스팅 중 커피콩 成分의 化學的 變化 List of Abbreviations CQA ⇒ Caffeoylquinic acidCQL ⇒ Caffeoylquinic acid lactonediCQA ⇒ Dicaffeoylquinic acidFQA ⇒ Feruloylquinic acidFQL ⇒ Feruloylquinic acid lactoneGABA ⇒ γ-AminobutyrateHMF ⇒ 5-Hydroxymethyl-2-furfuralHMFA ⇒ 5-Hydroxymethyl-2-furoic acidHPLC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kDa ⇒ Kilo daltonNMR ⇒ Nuclear magnetic resonancepCoQA ⇒ p-Coumaroylquinic acidpCoQL ⇒ p-Coumaro.. 2025. 8. 5.
커피빈의 蛋白質 18.1 Introduction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는 商業的으로 栽培된 최초의 코페아屬(genus Coffea)의 種(species)이었으며, 따라서 커피 음료의 品質을 評價하는 準據가 되었다.커피 음료의 品質은 재배 過程에서부터 콩의 貯藏, 加工, 로스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要因, 作用, 그리고 決定의 均衡에 의해 결정된다. ┌ 非遺傳的 要因과 └ 遺傳的 要因 ⇒ 모두 커피 음료의 品質에 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 土壤 肥沃度(Soil fertility),├ 施肥(fertilization), ├ 氣候(climate), ├ 高度(altitude), ├ 植物 健康(plant health), ├ 收穫 시 열매의 成熟 段階(stage of fruit maturatio.. 2025. 8. 1.
2025/2026 世界 커피 市場 槪觀 및 豫測 Uganda Output to Continue Expanding 2025/26년 우간다는 로부스타 커피 580만 bags (60 kg)와 아라비카 커피 110만 bags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며, 베트남, 브라질,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 4위의 로부스타 생산국 자리를 지킬 것으로 전망된다.커피 생산은 우간다 경제에 매우 중요하며, 2024년 11억 달러 규모의 수출을 통해 외화 수입의 약 20%를 창출한다.주요 시장으로는 유럽 연합, 미국, 수단, 인도가 있다.지난 5년간 우간다의 총 커피 재배 면적은 5% 증가하여 59만 헥타르에 달했다.커피 생산은 우간다 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어 있지만, 세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남서부 지역은 로부스타와 아라비카 커피를 생산하며 생산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그레이터 .. 2025. 7. 29.
커피의 窒素化合物 Abstract – 두 種이 커피 生産에서 經濟的 重要性을 얻었다: Coffea arabica L. (아라비카 커피)와 Coffea canephora Pierre ex A. Froehner var. (로부스타 커피). 아라비카 커피와 로부스타 커피는 전 세계 커피 生産量의 각각 65%와 35%를 차지한다.로스팅 前 C. arabica와 C. canephora 씨앗의 化學的 組成은 로스팅 過程에서 揮發性 化合物 合成의 前驅體 役割을 하는 1次 및 2次 代謝産物 含量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두 種 모두 로스팅 된 곡물 사이에는 뚜렷한 官能的 差異가 있다. 안타깝게도 커피 蛋白質은 씨앗 發芽 過程에서 중요한 役割을 하지만, 必須 아미노산이 不足하여 營養學的으로 不足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2025. 7. 28.
커피의 脂質 20.1 Introduction 상업적 가치가 가장 큰 커피 種은 ┌ Coffea arabica L.과 └ Coffea canephora Pierre var. robusta로, 일반적으로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커피로 알려져 있다.이 두 種은 官能的 特性과 化學的 組成 모두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아라비카 커피 생두의 脂質 함량은 평균 약 15%인 반면, 로부스타 커피는 약 10%로 훨씬 적다.대부분의 脂質(lipids), 소위 커피 오일은 ⇒ 생두의 內胚乳(endosperm)에 있으며, ⇒ 소량의 커피 왁스(coffee wax)만이 생두의 바깥층에 있다.비교적 큰 不鹼化物 부분(unsaponifiable fraction)에는 ⇒ 카우란 계열(kaurene family)의 디테르펜(diterpe.. 2025. 7. 25.
커피 멜라노이딘의 분석, 구조, 형성경로, 생리활성 및 건강영향 29.1 Introduction 멜라노이딘은 ➡ 질소를 함유하는 갈색 고분자량(HMW) 화합물로, ➡ 정의상 마이야르 반응의 최종 생성물이다 [1–3].이들은 커피 생두를 로스팅하는 동안 뿐만 아니라,⇒ 빵 [4], 고기 [5], 맥아 [6]와 같은 다른 식품의 열 가공 중에도 형성된다.그러나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콩에서 뜨거운 물을 추출하여 만든 커피 음료는,빵과 함께, 인간의 식단에서 멜라노이딘의 주요 공급원으로 간주된다 [4].본 장에서는 커피 음료 멜라노이딘에 대해 알려진 다음과 같은 것들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구조적 구성 요소, 🔹가능한 형성 경로, 🔹생물학적 활성, 그리고 🔹잠재적 건강 영향과 🔹정량화, 분리 및 정제에 사용된 전략들. 29.2 Strategies for.. 2025. 7. 23.
커피 멜라노이딘 : 구조, 형성, 건강 효능 Authors Ana S. P. Moreira initiated in the present year her PhD project in the Department of Chemistry at the University of Aveiro (Portugal), under the scientific supervision of Dr M. Rosario Domingues and Prof. Manuel A. Coimbra. Her work is focused on the study of structural modifications induced by thermal and oxidative treatments in model oligo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s isolated fro.. 2025. 7. 20.
커피의 화학 성분 Contents 1 General Introduction 2 Volatile Constituents of Coffee 3 Volatile Compounds of Arabica and Robusta Coffee 4 Bioactive Coffee Constituents 5 Coffee Acidity and Its Impact on Quality 6 Environmental and Processing Influence on Chemical Composition of Coffee 7 Chromatography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ffee 1 General Introduction 커피 品質은 價値를 높이는 主要 要因이며,.. 2025.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