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티오피아 커피11

아라비카 커피 기원의 싱글 다배체화 사건이 극히 낮은 유전적 변이의 원인 Coffea arabica는 C. eugenioides와 C. canephora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두 종 간의 이종교배 (hybridization)로 인해 생성된 allopolyploid species (이질배수체 종) (2n = 4x = 44)이다. [1]  C. arabica의 이질배수체 종분화 (allopolyploid speciation)는 지금으로부터 10,000년 또는 665,000년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넓은 시간 간격을 가지고 있다 [2,3]. 많은 열대 나무 작물들과 달리, 아라비카 커피는 클론으로 번식하지 않는다. 재배품종들과 재래 원시품종들 (landraces)이 일반적으로 종자로 번식된다. 교배 시스템은 주로 자가수정 (self-fertilization)을 기반으로 하지만,.. 2024. 6. 5.
Deciphering Early Movements and Domestication of Coffea arabica [제목] 에티오피아와 예멘을 커버하는 포괄적 유전적 다양성 연구를 통한          아라비카 커피의 초기 이동과 재배화(작물화) 규명커피종인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는 기후 변화, 해충 및 질병 압력과 관련하여 수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품종 개량이 해결책의 일부가 될 것이다. 따라서 종의 부족한 유전적 다양성을 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C. arabica의 주요 서식지와 함께 에티오피아의 완전한 자생 서식지와 재배화 센터들을 포괄하는 C. arabica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첫 번째 연구를 제시한다: Yemen과 에티오피아의 Hararghe 지역.전체적으로 555개의 샘플이 Sing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세트를 사.. 2024. 4. 14.
예멘 커피의 독특한 유전적 다양성 거의 모든 재배 커피(Coffea arabica L.) 품종은 일부 커피 종자가 인근 에티오피아에서 예멘으로 유입된 후 예멘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예멘의 실제 커피 유전적 다양성과 그것이 커피 세계에 미치는 중요성은 결코 탐구된 적이 없다.우리는 5개의 유전자 클러스터를 관찰했다.우리가 EO (Ethiopian-Only) cluster라고 명명한 첫 번째 클러스터는 에티오피아 액세션들만으로 구성되었다.이 클러스터는 예멘 및 재배 품종 클러스터들과 명확하게 분리되어, 야생 에티오피아 품종과 전 세계 커피 재배 품종 사이의 유전적 거리를 확인해준다. 우리가 SL-17 cluster라고 명명한 두 번째 클러스터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품종들의 작은 클러스터였으며 예멘 샘플들은 포함되지 않았다.다.. 2024. 4. 14.
에티오피아 커피 [11] 생산, 소비, 수출... Annual Report 19. May 2023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의 최대 커피 생산국이며, 세계 5위의 아라비카 커피 수출국가이다.커피는 에티오피아 총 수출액의 30-35%를 창출하는 수출 수익의 넘버원 원천이다.에티오피아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모두 아라비카 커피 품종이다.2023/2024년의 총 생산은 8백35만 자루(60kg bags) (501,000 MT)으로 예측된다.에티오피아에서 커피 산업은 국가 경제, 국민의 사회-문화적 그리고 정신적 라이프의 원동력이다. 국가 인구의 25의 생계가 커피 가치 사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의존적이며 향후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Post Addis는 MY 2022/23 (Oct-Sep)의 에티오피아 커피 생산이 8백27만 자루(496,200 MT)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에티오피아에서 커피는 GDP의 .. 2024. 3. 29.
에티오피아 커피 [10] 커피 품종 Table 1 : 에티오피아에서 공식적으로 발표, 출시된 아라비카 커피 재배품종들[1] 에티오피아 JARC (Jimma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짐머농업연구센터)에서     1974/1975년_1980/1981년 사이에 CBD 저항성 13가지 품종들을 선발하여 발표.      (741, 744, 7440, 7454, 7487, 74110, 74112, 74140, 74148, 74158, 74165, 754, 72557)[2] 에티오피아 지역적합 지방종(로컬 랜드레이스) 발전계획에 따라,      2002년 JARC와 AARC (Awada Agriculture Research Sub-Center)가 협력하여     스페셜티 커피 총 16종을 개발하여 2006년~2010년에 걸.. 2023. 8. 7.
에티오피아 커피 [9] 커피 품종개발 및 육종전략 에티오피아에서는 1952년부터 1958년까지 기술 전문가를 파견한 유엔식량농업기구 (FAO,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UN)의 도움을 받아 1950년대 짐마농업기술학교(Jimma Agricultural and Technical School)에서 커피 연구를 처음 시작했다.  그러나, 진정한 커피 연구 프로그램은 IAR(Institute of Agricultural Research)이 1967년 후반에 Jimma에 연구소를 설립한 후에서나 시작되었다 (Van Der Graaff 1981). Jimma Research Station은 1968년에 운영을 시작했지만 sub-stations 설립을 위한 대부분의 토지 확보는 1970년에서 이뤄졌다. 이런 초창기에는, .. 2023. 7. 10.
에티오피아 커피 [8] 커피생산지역 에티오피아 커피 생산지역들에 관한 소개 자료 및 글들을 보면, 대부분 해외에서 잘 알려진 지역들을 위주로 열거하거나 또는 에티오피아 자체에서 내세우고 싶어 하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특정 수입업체나 로스팅 업체의 경우에는 자신들이 에티오피아로부터 수입하여 판매하는 커피의 원산지들만을 중심으로 언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포스팅에서는 에티오피아 커피 생산 지역들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지는 프레임워크를 채택한다.    에티오피아의 커피 영역은 여기에서는 5개 zones와 16개 areas로 구성된다 (Table 1, Figure 2). 에티오피아에서는, [1] 주요 커피 재배 에리어들은      Oromia Region과 SNNPR(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2023. 6. 15.
에티오피아 커피 [7] 수확 및 프로세싱, 등급 분류 ContentsFactors influencing quality and taste Harvesting (ቡናን መልቀም 부나니 메리케미) Initial post-harvest processing Dry (natural) processing  (ደረቅ 데레키) Wet (washed) processing (የታጠበ 예타테베) Dry vs. Wet processing Other processes (pulped natural and honey process, ደረቅ ከነገለፈቱ 데레키 케네겔레페투) Resting (ማሳረፍ 마사레피) Hulling (መቀሸር  메케쉐리) Green coffeeGradingSpecialty coffeeThe trading system and coffee classification.. 2023. 6. 9.
에티오피아 커피 [5] 커피 기후와 농생태학 ContentsThe seasons Rainfall (precipitation) Air temperature Humidity and other factors Climate change Coffee farming and natural vegetationDeforestationThe coffee suitability niche (climate and forest) References  아라비카 커피는 좁은 범위의 환경 조건 내에서 성공적으로 자라며 시장성 있는 작물을 생산한다. 강수량, 온도 및 계절성 간의 상호작용은 개화 및 결실 단계를 포함하여 커피 나무의 성장을 지배하는 주요 요인이다. 커피는 기온이 상승하고 토양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강우량 부족으로 인해) 점점 더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그 반대의 .. 2023. 5. 26.
에티오피아 커피 [2] 커피 소비 아라비카 커피는 에티오피아에서 수천 년은 아니더라도 수백 년 동안 음식과 음료로 사용되었다. 그것의 초기 사용은 의심할 바 없이 숲에서 야생으로 자라는 나무에서 열매를 따 먹는 것으로  제한되었으며, 반-재배화(semi-domestication) 및 식품 공급원으로서의 발전은 아마도 그 후 곧 나왔을 것이다. 커피 열매는 완벽하게 먹을 수 있으며, 나무에서 바로 생으로 따서 먹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섭취하면 체리나 다른 비슷한 과일을 먹을 때처럼 다육질의 과육(fleshy pulp) (식물학적으로 mesocarp 중과피로 알려짐)을 먹고, 그 씨앗(커피콩)을 거부하거나 ‘뱉어 낸다(spat out)’.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생콩을 씹어서 먹기도 하는데, 이렇게 사용하는 것을 '씹는 커피(chewin..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