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가지 신종 커피(코페아) - 마다가스카르 북부
Summary
- 과학계에 새로운 6종의 코페아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 코페아 칼만데리 (Coffea callmanderi),
🌲 코페아 다라이넨시스 (C. darainensis),
🌲 코페아 칼로비논엔시스 (C. kalobinonensis),
🌲 코페아 마이크로두바르디 (C. microdubardii),
🌲 코페아 퍼스튤라타 (C. pustulata),
🌲 코페아 루피콜라 (C. rupicola). - 6종 모두 마다가스카르 북부 고유종이며, 4종은 특정 산림 지대에서만의 제한적 토착종이다.
- 분포도, 보호 평가, 생물계절학, 분류학적 주석을 포함한 관련 정보가 제공되고, 2종은 선화로 그려져 있다.
Introduction
- 마다가스카르 (Madagascar)는 Coffea L.속하는 59개 종(species)의 고장이며 (Davis et al. 2006; Davis & Rakotonasolo 2008; Davis et al. 2010), 이는 세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124개 종의 거의 반에 가깝다 (Davis et al. 2019).
- 다른 65개 Coffea 종들은
☘️ 아프리카 (48개 종),
☘️ 코모로 제도 (1개 종),
☘️ 마스카렌 제도 (3개 종; 네번째 종 (C. bernardiniana J.-F.Leroy)이 간혹 인정되기도 한다),
☘️ 인도 대륙 및 스리랑카 (6개 종),
☘️ 남열대 아시아 (2개 종),
☘️ 동남아시아 (4개 종)그리고
☘️ 오스트레일리아 (1개 종)에서 발견된다 (Davis 2011; Davis et al. 2011, 2019). - 2003년부터 마다가스카르 북부와 북서부 Daraina 지역의 저지대에서 고지대에 걸쳐 있는 습윤림의 오랫동안 방치되어 온 지역의 식물과 식생을 탐사하기 위해 일련의 현장 탐사가 수행되었던 바, 이곳들은 4가지 주요 식물지리적 단위들(phytogeographic units)의 교차로에 위치하며 다양한 숲 유형들을 가지고 있다 (Gautier et al. 2006; Nusbaumer et al. 2010).
- 마다가스카르 코페아에 대해 이미 열거된 당혹스러운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언급한 현장 작업과 북부 마다가스카르에서의 추가적인 필드 스터디에서 모은 필드 컬렉션들을 검토한 결과, 6가지 새로운 Coffea 종들을 기술할 필요가 있었다:
🌲 C. callmanderi A.P.Davis & Rakotonas.,
🌲 C. darainensis A.P.Davis & Rakotonas.,
🌲 C. kalobinonensis A.P.Davis & Rakotonas.,
🌲 C. microdubardii A.P.Davis & Rakotonas.,
🌲 C. pustulata A.P.Davis & Rakotonas.,
🌲 C. rupicola A. P. Davis & Rakotonas. - 이 새로운 종들이 여기서 기술된다.
- 분포도 및 잠정적 보호 평가를 포함하여 관련 정보도 제공되며, 2가지 종들에 대해서는 라인 드로잉으로 그림까지 제시된다.
- 이들 새로운 종들은 북부 마다가스카르의 산악 지역들에서 수집된 재료들 (e.g. Callmander et al. 2008, 2009, 2012, 2020; Randrianasolo & Lowry 2009; Walhert 2016)과 Daraina 에리어에서 수집된 재료들(Phillipson et al. 2018)에 기초하여 최근에 기술된 다른 종들에 합류한다.
- 새로운 종들 중 세가지, Coffea darainensis, C. microdubardii 그리고 C. rupicola는
Daraina 에리어의 Loky Manambato 보호구역에 국한되고, 추가적인 두 가지,
C. callmanderi 및 C. kalobinonensis는 Galoko-Kalobinono 보호구역에서만 발견된다. - Coffea pustulata도 Daraina 에리어에서 발견되지만, 이 지역에만 국한되지는 않고, 북부 마다카스가르의 다른 다습한 상록림에서도 발생한다.
- Loky Manambato는 마다가스카르 중북부에 있는 십 여개의 숲으로 뒤덮인 산괴(forested massifs)(Ranirison et al. 2018)를 대표하며, Galoko-Kalobinono (Tahinarivony & Callmander 2018)는 암반자(Ambanja) 타운에 가까운 다소 북남방향으로 약 35 km 길이로 뻗어 있는 좁은 Galoko 산맥의 남쪽부분에 있는 두 개의 큰 산괴를 대표한다 (Moat & Smith 2007).
- 최근까지 로키 마남바토(Loky Manambato)와 갈로코-칼로비노노(Galoko-Kalobinono)의 삼림은 식물학적으로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 지난 20년간의 집중적인 조사는 이 두 산림 지역을 높은 수준의 지역 고유성 장소로 강조했다 (Callmander et al. 2008, 2009, 2012, 2020; Gautier et al. 2006; Nusbaumer et al. 2010; Phillipson et al. 2018; Randrianasolo & Lowry 2009; Ranirison et al. 2018; Schatz & Lowry 2020; Tahinarivony & Callmander 2018; Wahlert 2016).
- 이러한 데이터와 기타 정보로 인해 Loky Manambato와 Galoko-Kalobinono가 마다가스카르의 보호 구역 네트워크에 포함되었다 (Goodman et al. 2018).
- 여기에 기술된 여섯 가지 새로운 코페아 종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며, 표적 식물 탐사의 가치와 이 지역의 생물학적 풍부성을 더욱 잘 보여준다.
- 여기서 기술되는 6가지 새로운 종들의 네이밍으로,
➡ Madagascar의 Coffea 종들의 총수가 65개가 되며,
➡ 전세계 커피 종들의 수가 총 130종이 된다.
Material and Methods
- 마다가스카르 코페아 종의 식물표본집 자료는 직접 참조하거나 다음 연구소들의 컬렉션들에 있는 대출 자료를 통해 참조했다: G, K, MO, P, TAN (Holmgren et al. 1990; Thiers 2020 이후의 약어).
- 인용된 모든 표본은 저자들이 직접 보았다 (유형 표본은 느낌표로 표시).
- 코페아에 대한 전담 필드워크는 저자들이 각각 2007년과 2009년에
Maroantsetra (Province Toamasina; Region Analanjirofo; District Maroantsetra) 근처의 마키라 (Makira)와, Ambanja (Province Antsiranana; Region Diana; District Ambanja) 근처의 Galoka 산맥에 있는 칼로비노노 (Kalobinono)에서 수행했다. - 記述들에 나와 있는 측정, 색상 및 기타 세부 정보는 주로 식물표본집 표본을 기반으로 하지만, 살아 있는 식물과 현장 노트에서 얻은 데이터도 기반으로 한다.
- Coffea 형태에 대한 추가 정보는 Davis et al. (2005, 2006, 2007, 2011), Davis & Rakotonasolo (2008) 및 Maurin et al. (2007)에서 제공된다.
- 지리적으로 참조된 식물표본집 표본은 Google Earth®의 도움으로 오류를 수정한 후 분포 지도와 보호 평가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포인트로 사용되었다.
- 분포 지도 (Map 1)는 SimpleMappr (Shorthouse 2010)을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 각 Coffea 종의 보호 상태는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IUCN 2012, 2019)를 적용하여 잠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공식적인 보존 평가는 제출되지 않았다. - IUCN 호환 소프트웨어 GeoCAT (Bachman et al. 2011)을 사용하여
주어진 셀 너비의 발생 범위(extent of occurrence, EOO) 및/또는
발생 면적 (area of occurrence, AOO)을 생성했다 (Willis et al. 2003).
Taxonomic Treatment
1. Coffea pustulata
Coffea pustulata A.P.Davis & Rakotonas., sp. nov.(새로운 종)
Type: Madagascar. Prov. Antsiranana (안트시라나나 지방); Region Sava (사바 지역);
Distr. Vohemar (보헤마르 지구): sous-préfecture de Vohemar (보헤마르 하위현),
commune rurale de Daraina (다라이나 마을), Daraina,
Forêt de Binara (비나라 숲), 850 m, 7 Dec. 2005 (fl. bud),
Ranirison & Nusbaumer PR 1012 (holotype G [G00090443]!; isotypes K!, P!, MO!, TEF!).
https://www.ipni.org/urn:lsid:ipni.org:names:77216866-1
C. pustulata - Small tree
- Small tree, ⇒ 3~6 m high, dbh (1.5 –) 4 – 7 cm.
- Bark (껍질) ⇒ not recorded (기록되지 않음).
- Branches (가지들) ⇒ 직경 3.5~5 ㎜, 매끄럽고 가끔 약간 벗겨짐, 회색 또는 밝은 갈색
- Branchlets (말단 작은 가지들)
⇒ terete (원기둥 모양),
⇒ 직경 2.5 ~ 5.3 ㎜,
⇒ ± 매끄럽고, 회색 또는 밝은 갈색, 무모 - Stipules (턱잎, 托葉)
⇒ caducous (尾頭, 꼬리모양),
⇒ depressed angularovate to ± deltate (각진 난형에서 ± 삼각형),
⇒ 1.5~4.9 × 2.4~3 ㎜,
⇒ subcoriaceous (약간 가죽 같은),
⇒ glabrous (無毛);
⇒ margin glabrous (둘레 無毛);
⇒ apex (정점) → obtuse (鈍頭) to broadly acute (넓은 銳頭).
C. pustulata - Leaves :
- Petiole (잎 꼭지, 葉柄, leafstalk) ⇒ semi-articulated (반관절형), 0.4 – 0.9 cm long, glabrous;
- Lamina (잎몸, 葉身)
⇒ elliptic-obovate to obovate (楕圓-倒卵形 ~ 倒卵形),
⇒ (4 –) 5.4 – 8.4 (– 10.4) × (1.5 –) 2.8 – 4.2 (– 5.2) cm, subcoriaceous (약간 가죽 같은); - Base (잎밑, 葉底) ⇒ narrowly cuneate (좁게 楔底) to attenuate (流底);
- Margin (잎 둘레, 葉緣) ⇒ subrevolute (약간 바깥쪽으로 감긴) to ± flat;
- Apex (잎끝, 葉先) ⇒ broadly acute or rarely obtuse, often subacuminate;
- Abaxial surface (背軸面):
⇒ secondary veins prominent (2차 맥이 현저), (5 –) 6 – 8 pairs,
ascending at an angle of 30° – 45°,
⇒ tertiary venation manifest or rather obscure, ± reticulate;
⇒ higher order venation (세맥) → obscure, ramified (분기된);
⇒ Texture → smooth (매끄러움);
⇒ Domatia (소혈 巢穴)
→ conspicuous (눈에 띄는, 뚜렷한),
→ 2.5 – 6.4 ㎜ from the midrib (主脈), 2차맥에 가까이 있거나 없음,
→ 구멍 직경 0.1 – 0.4 ㎜ in diam., or 괴저성이 되가는 소혈
그리고 그 다음에 구멍 0.4 – 1.2 (– 4.5) ㎜ in diam.,
→ 가장자리는 평평하거나 약간 올라옴, 털은 없음; - Adaxial surface (向軸面):
⇒ venation very prominent (엽맥, 시맥은 매우 현저함)
(more so than the abaxial surface 배축면보다 더 그러함);
⇒ domatia
→ 현저함,
→ 작고, 둥글거나 타원형인 농포로 뚜렷함,
→ 0.8 – 2 (–3.9) × 0.7 – 1.5 (– 3.2 ㎜),
이들은 종종 잎표면보다 더 짙거나 때로는 괴사적.
C. pustulata - Inflorescences (꽃차례, 花序) :
- 엽액마다 1개, 각 꽃차례에 2-5개 꽃이 핌,
- 길이 7.5 – 10.4 ㎜ long, 매우 짧게 갈라지거나 또는 총생적(密繖적임),
- 보통에서 심하게 삼출액으로 덮여 있음;
- inflorescence axis (꽃차례 축) ⇒ (꽃받침을 부분적으로 배고 있음) 6.5 – 8.2 ㎜ long.
C. pustulata - Calyculi (外萼)
- 3개, 서로 안쪽으로 포개어 있음, 無毛이거나 드문드문 軟毛가 있음 (hairs c. 0.1 ㎜ long),
- margins ciliate (가장자리에는 섬모가 있음) (hairs c. 0.2 ㎜ long);
- Basal (1st) calyculus (맨 아래 外萼)
⇒ 2.2 – 3.5 × 3.7 – 4.3 ㎜ ,
⇒ stipular lobes semi-elliptic to broadly ovate (턱잎 열편 반-타원형~넓게 달걀모양),
0.4 – 0.6 × 1.5 – 1.7 ㎜ ,
⇒ foliar lobes narrowly elliptic to narrowly obovate (잎 열편 좁게 타원형에서 좁게 도란형)
c. 1.5 × 0.5 ㎜ ; - Middle (2nd) calyculus (가운데 外萼)
⇒ 3.4 – 4 × 6.2 – 6.7 ㎜ ,
⇒ stipular lobes broadly ovate to ± deltate, 0.5 – 0.6 × 2 – 2.3 ㎜ ,
⇒ foliar lobes not seen (잎 열편 보이지 않음); - Upper (3rd) calyculus (맨 위 外萼)
⇒ 5.3 – 6 × 7.9 – 10.4 ㎜,
⇒ stipular lobes broadly ovate (턱잎 열편 넓게 난형), 2.4 – 3.1 × 4.6 – 5.2 ㎜,
⇒ foliar lobes not seen (잎 열편 보이지 않음).
C. pustulata - Flowers, Fruit
- Flowers ⇒ 잘 알려져 있지 않음 (매우 어린 꽃눈과 꽃받침만 보임), 다섯 갈래;
- Pedicel (小花柄, 작은 꽃자루) ⇒ 길이 0.4-0.6 ㎜, 無毛(glabrous), 小包葉(bractlets) 없음.
- Calyx (꽃받침, 花萼) (hypanthium, 하이판튬, 꽃턱통)
⇒ ± obconical (거꾸로 된 원추형) to campanulate (鐘모양),
⇒ c. 1.5 × 1.4 ㎜,
⇒ smooth(반들반들), glabrous (無毛);
⇒ calyx limb shallowly 5-lobed, lobes, c. 0.1 × 0.4 ㎜, margin glabrous. - Ovary (씨방, 子房): 안 보임.
- Corolla (꽃부리, 花冠): 순만 보임, 반들반들함, 보이지 않는 다른 꽃 부위들.
- Fruit (열매)
⇒ 짧게 갸름-타원형에서 타원-도란형, 10.4 – 10.9 × 9.5 – 12.2 ㎜ (마른 경우),
⇒ 약간 주름이 있음 (마른 경우), 無毛; 과실벽(fruit wall) 안보임;
⇒ 작은 꽃자루 길이 (2 –) 4 – 5.1 ㎜, 無毛;
⇒ 꽃받침대(花萼) 뚜렷함(calyx limb manifest),
⇒ 보통 다소 건경함(corky),
⇒ 평평한 디스크(disc flat) 또는 약간 불룩하게 도드라짐(protuberant).
⇒ Seeds (씨앗) – 미상. - Figs 1, 2A, B.
C. pustulata - RECOGNITION (認識)
- Coffea pustulata는 C. sambavensis A.P.Davis & Rakotonas와 유사하다.
- 두 종 모두 subcoriacous leaves (약간 가죽 같은 질감의 잎들)과 눈에 띄는 腋外 도마티아(즉, 주맥에 붙어 있지 않고 약간 떨어져 있음 [아래 참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잎 위쪽 표면에 농포 비슷한 돌출부로 나타난다 (Fig. 1A, B; 2B).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두 종은 형태학적으로 쉽게 구별된다. - Coffea pustulata는 다음과 같은 점들에서 C. sambavensis와 다르다.
Coffea pustulata | C. sambavensis | |
petioles (잎 꼭지) | 반-연접식 (semi-articulated), 길이 0.4 – 0.9 ㎝ |
연접식이 아닌 잎자루, 길이 0.9 –2.6 ㎝ |
domatia (巢穴) | 주맥으로부터 2.5 – 6.4 ㎜ | 주맥으로부터 2.5 – 9 (– 13) ㎜ |
basal (1st) calyculus | 길이 2.2 – 3.5 ㎜ | 길이 1.8 – 2.2 ㎜ |
flowering pedicel | 길이 0.4 – 0.6 ㎜ | 길이 2 –5.5 ㎜ |
fruit (말랐을 때) | shortly oblong-ellipsoid to ellipsoid-obovoid, 10.4 – 10.9 × 9.5 – 12.2 ㎜ |
fruit shortly obovoid to ± turbinate, 17 – 22 × 14 – 18 ㎜ |
fruiting pedicel | 길이 (2 –) 4 – 5.1 ㎜ | 길이 (6 –) 9 – 14 ㎜ |
C. pustulata - DISTRIBUTION (分布)
- 마다가스카르 북부에 토착적.
- Map 1과 Specimens Examined을 참조.
C. pustulata - SPECIMENS EXAMINED (檢討 標本). MADAGASCAR.
- Prov. Antsiranana; Region Diana; Distr. Ambanja: Réserve Spéciale de Manongarivo, Andranomalaza, 200 m à l'W du point côté 1584, 1600 m, 18 March 1999 (fr.), L. G. Gautier et al. LG 3603 (G, K, P, MO, WAG, TEF).
-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emar: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e Binara, 810 m, 25 March 2004 (fr.), L. G. Gautier & P. Ranirison LG 4681 (G, K, P, MO, TEF);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Antsahabe, 900 m, 22 Nov. 2004 (fr.), L. Gautier & L. Nusbaumer LG 4732 (G, K, P, TEF);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Antsahabe, 900 m, 17 Jan. 2004 (young fr.), L. Nusbaumer LN 1025 (G, K, P, MO, TEF);
Commune Daraina, Forêt d'Analamazava (Binara), à 1 h de marche à l'ouest de village d'Ankijabe, 16 Nov. 2001 (fl. bud), R. Randrianaivo et al. 773 (MO). -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Andapa. Reserve Naturelle Marojejy, along the trail to the summit of Marojejy Est, below the third camp, 1100 ~ 1300 m, 10 Oct. 1988 (fl.), J. S. Miller et al. 3534 (K, MO, P, TAN).
- Prov. Toamasina; Region Analanjirofo; Distr. Maroantsetra.
Makira Protected Area. Near Ankirindro, c. 9 km NW of Ambinanitelo, 500 m, 22 May 2007 (ster.), A. P. Davis & F. Rakotonasolo APD 4548 (K, TAN);
Makira Protected Area, near Ankirindro, c. 9 km NW of Ambinanitelo, 600 m, 22 May 2007 (ster.), A. P. Davis & F. Rakotonasolo APD 4552 (K, TAN);
Andranobe, Fok. Ambanizana, Fir. Anjahana, Parc National de Masoala, 200 ~ 300 m, 17 April 1996 (fr.), J. Aridy et al. 243 (K, MO);
hills E of village of Sahavary, up Andranofotsy R. from Maroantsetra, along trail toward headwaters of Sahafotra R. (Ravimbe swamp), Andilampananima hill, 350 ~ 450 m, 23 Oct. 1986 (fl. bud), P. P. Lowry 4227 (MO, P).
C. pustulata - HABITAT & ECOLOGY (棲息地 및 生態).
- 습한 상록수림, 바람이 휘몰아치는 산등성이에 있는 지의류 숲(lichen forest)에서 기록된 것이 하나 (Miller 3534).
- 석영(quartz) 및 다른 기질에도 가능; 종종 바위들에서 기록됨; 부식질이 풍부한 토양(humus rich soils)에서 기록됨.
- 해발 고도 200~1600m.
C. pustulata - CONSERVATION ASSESSMENT (保護 評價).
- 잠정적으로 Vulnerable (취약)으로 평가 (IUCN 2012). VU B1ab(iii) + 2ab(iii).
- B1 — 발생정도(extent of occurrence (EOO))가 20,000 ㎢ 미만으로 추정됨
(Coffea pustulata의 경우 약 19,968 ㎢) - a — 심하게 흩어져 있거나 10군데 이하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짐
(Coffea pustulata의 경우 7군데); 그리고 - b (iii) — 서식 면적, 정도 및 질 측면에서 계속 쇠퇴하는 것으로 예상됨.
- B2 — 발생 면적(area of occupancy, AOO)이 2,000 ㎢ 미만인 것으로 추정됨
(Coffea pustulata의 경우 36 ㎢이고, at a cell width of 2 ㎞); - a — 심하게 산발적이거나, 10군데 미만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짐 (see above); 그리고
- b and b(iii) — 서식 면적, 정도 및 질 측면에서 계속 쇠퇴하는 것으로 예상됨.
- 이 종의 경우, AOO는 Vulnerable 카테고리의 한계 내에 포함되며, Endangered 카테고리 한계에도 들어 감. 그러나, 우리는 마다가스카르 북부에 아직 다 알려지지 않은 추가적인 개체군이 있을 수 있다고 예상함.
- 우리는 그 EOO가 추가적인 필드워크 후에 상당히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는 않는다.
- C. pustulata의 분포는 다음의 보호구역 다섯 군데의 개체군들을 포함한다:
Loky Manambato, Makira Natural Park, Manongarivo Special Reserve,
Marojejy National Park, 그리고 Masoala National Park.
C. pustulata - PHENOLOGY (生物季節學).
- 불완전하게 알려져 있음 — 아마 개화는 11월-12월; 결실은 1월~4월
C. pustulata - ETYMOLOGY (語源).
- Coffea pustulata는 잎 윗면 표면이 농포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림 1A; 2B).
- 이는 밑면 표면에 위치한 크고 부풀어 오른 도마티아 때문이다 (그림 1B).
C. pustulata - VERNACULAR NAME (俗稱).
- Ompangavo (Aridy 243).
C. pustulata - NOTES.
- Coffea pustulata는 C. sambavensis A.P.Davis & Rakotonas와 많은 공통점을 공유하지만 (Davis & Rakotanasolo 2001b), 이 두 종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Recognition 참조). 특히 후자 종의 과일이 훨씬 더 크다.
- 두 종 모두 마다가스카르 북부에서 발생하지만, 그들의 분포와 생태는 다르다.
- Coffea pustulata는 Vohimarina, Ambanja, 그리고 Andapa 지구들 (Prov. Antsiranana)에서, 그리고 Maroantsetra 지구 (Prov. Toamasina)에서 해발 200~1600m 범위에서 발생하는 반면,
C. sambavensis는 Vohimarina 및 Sambava 지구들 (Prov. Antsiranana)의 해발 0~250m에 제한되어 있고, 주로 연안림들에 국한되어 있다. - Map 1을 참조.
2. Coffea microdubardii
Coffea microdubardii A.P.Davis & Rakotonas., sp. nov.
Type: Madagascar.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imarina: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Forêt de Binara, 340 m, 20 Dec. 2003 (fl.), Nusbaumer LN 843
(holotype G [G00006870]!; isotypes K!, P!, MO!, TEF!).
https://www.ipni.org/urn:lsid:ipni.org:names:77216865-1
C. microdubardii - Treelet
- Treelet ⇒ 2.5 – 2.8 m high, diam. at base c. 2.5 ㎝.
- Bark (껍질) ⇒ not recorded.
- Branches (가지)
⇒ 2.9 – 4 ㎜ in diam.,
⇒ ± smooth or slightly peeling,
⇒ 연한 갈색에서 회갈색. - Branchlets (小枝, 말단의 작은 가지)
⇒ ± terete (얇고 매끄러운 원통형), 1.6 – 2.2 ㎜ in diam.,
⇒ ± 브랜치와 동일한 색과 질감,
⇒ 윗부분은 종종 진한 갈색, 아래부분에서는 무모,
⇒ 맨 윗부분은 매우 작은 유모가 있음~극미한 연모가 있음 (hairs < 0.1 ㎜ long). - Stipules (턱잎, 托葉)
⇒ caducous (일찍 떨어지는, 쉽게 지는),
⇒ deltate to depressed ovate (삼각주형~움푹 들어간 난형),
⇒ 0.9 – 1.6 × 0.9 – 1.3 ㎜,
⇒ subcoriaceous (약간 가죽 같은),
⇒ minutely puberulous (극미한 유모가 있음) (hairs <0.1 ㎜ long);
⇒ margin → ciliate (가장자리는 섬모가 있음) (hairs c. 0.1 ㎜ long);
⇒ apex (정점) → obtuse to broadly obtuse (둔한 모양~넓게 둔한 모양).
C. microdubardii - Leaves :
- Petiole (잎 꼭지, 葉柄, leafstalk) ⇒ 길이 0.2 – 0.5 cm , 작은 가지들처럼 柔毛가 있음 (puberulous);
- Lamina (잎몸, 葉身, blade)
⇒ 卵形(oval)에서 oval-ovate(달걀모양), 또는 ± 타원형(elliptic),
⇒ (2.2 –) 3 – 5.2 × (1 –) 1.3 – 3.3 ㎝,
⇒ subcoriaceous (약간 가죽같은); - Base (잎밑, 葉底) ⇒ cuneate (쐐기꼴, 楔狀);
- Margins (잎 둘레, 葉緣) ⇒ subrevolute to flat (약간 바깥쪽으로 감김~평평)
- Apex (잎끝, 葉先) ⇒ shortly caudate to caudate (짧게 尾狀~꼬리형), cauda (꼬리) 길이 0.2 – 0.7 (– 1) ㎝ ;
- Abaxial surface (배축면) :
2차 맥 ⇒ 분명하고 눈에 띈다, (5 –) 6 – 8 쌍, 약 45° 각도로 올라간다,
3차 맥 ⇒ 분명하고 눈에 띄며, 종종 2차 맥과 구분하기 어렵다,
reticulate(망상)하지만 대개 2차 맥과 분명히 나란하다 (Garcinia 가르시니아 나무처럼),
그 이상의 맥은 ⇒ obscure(모호함), ± ramified (분지되어 있음);
Texture (질감) ⇒ 부드러움;
Domatia (巢穴) ⇒ 분명하고 눈에 띈다, 2차 맥들의 겨드랑이에 위치하고 midrib (주맥)에서 좀 떨어져 있음,
구멍은 계란형이고 0.7 – 1.2 × 0.2 – 0.4 ㎜,
가장자리는 약간 도톰하게 올라와 있거나 평평하고,
듬성듬성하거나 조밀하게 puberulous (軟毛, 柔毛가 있음); - Adaxial surface (향축면) : ⇒ 맥이 모호함(obscure); 도마티아 ⇒ 안보임.
C. microdubardii - Inflorescences
- 꽃차례 (花序) ⇒ 잎 사이(interfoliar),
- ⇒ 가장 위의 엽액들로 제한됨 (1차 또는 2차 잎 쌍), 엽액 당 1개, 3-6 송이의 꽃이 핌,
- 길이 ⇒ 7~10 mm, with more than one order of branching,
- ⇒ 삼출물로 가볍게 덮여 있음;
- inflorescence axis (축) (bearing calyculi) ⇒ 길이 2.7 – 5.8 ㎜.
C. microdubardii - Calyculi (外萼)
- 외악 ⇒ 3개, 짧게 자루가 있거나 대가 있음 (자루 길이 1.2 – 2.2 ㎜);
- 드문드문 극미하게 가는 柔毛가 있음 (hairs <0.1 ㎜ long) 또는 가끔 ± 무모,
- 가장자리 纖毛가 있음 (hairs 0.1 – 0.2 ㎜ long) and with colleters (점액질 분비털이 있음) (narrowly conical to narrowly ellipsoid, 좁게 원추형~좁게 타원형, 0.2 – 0.3 ㎜ long), 특히 맨 위 꽃받침에 있음 ;
- basal (1st) calyculus (맨 아래 外萼)
⇒ 1.2 – 1.5 × 1.2 – 1.4,
⇒ stipular lobes shallowly triangular to deltate, or ovate, 0.4 – 0.9 × 0.6 – 0.8 ㎜ ,
⇒ foliar lobes ± deltate c. 0.2 × 0.2 ㎜ ; - middle (2nd) calyculus (중간 外萼)
⇒ 1 – 1.2 × 1.2 – 1.4,
⇒ stipular lobes broadly ovate to deltate, 1 – 1.1 × 0.7 – 1.2 ㎜ ,
⇒ foliar lobes ± ovate to elliptic, c. 0.5 × 0.3 ㎜; - upper (3rd) calyculus (맨 위 外萼)
⇒ 0.9 – 1.2 × 1.2 – 1.5,
⇒ stipular lobes ± ovate, c. 1 × 0.8 ㎜,
⇒ foliar lobes ovate to elliptic 0.3 – 0.6 × 0.3 ㎜, or
upper calyculus bract-like, comprising of (1 –) 2 opposite stipular lobes,
broadly ovate to ovate, or ovatetriangular, 0.4 – 0.7 × 0.5 – 0.6 ㎜.
C. microdubardii - Flowers
- 꽃 ⇒ 5-merous (다섯 갈래);
- Pedicel (꽃 자루) ⇒ 길이 2.5 – 3.7 ㎜ long, puberulous (유모가 있음) (hairs < 0.1 ㎜ long),
- bractlets (苞葉)
⇒ 1~3개, alternate (번갈아 나옴),
⇒ ± truncate to broadly ovate, c. 0.2 ㎜ long, margins entire,
⇒ each bractlet bearing 3~6 colleters (각 포엽이 3~6개의 점액질 분비털을 가지고 있음)
(narrowly ellipsoid to cylindrical, 0.2 – 0.3 ㎜ long). - Calyx (꽃받침, 花萼) (hypanthium 꽃턱통)
⇒ ± ellipsoid (타원체) (but constricted below the calyx limb, 그러나 꽃받침대 아래로 한정)
to ± urceolate (병꼴, 단지모양),
⇒ 1.5 – 1.7 × 1 ㎜, texture ± smooth, puberulous (hairs < 0.1 ㎜ long); - calyx limb
⇒ undulate (파도모양) to c. 7-lobed (7-조각),
⇒ margin ciliate (hairs <0.1 ㎜ long), beset with 12~14 colleters (12~14개의 분비털들로 둘러싸여 있음). - Ovary (씨방):
⇒ disc prominent (디스크 현저함),
⇒ ± hemispherical to shortly tubular (반구형~짧은 튜브형), entire. - Corolla (꽃부리, 花冠)
⇒ funnel-shaped (깔대기 모양), 9 – 13 × 9 – 16.8 ㎜, smooth; - corolla tube (꽃부리 통)
⇒ ± the same length as the corolla lobes (花冠裂片과 같은 길이), 6 – 7 ㎜ long; - corolla lobes (花冠裂片) ⇒ 7 – 8 × 2.3 – 2.5 ㎜.
- Stamens (수술) :
filaments ⇒ c. 1 ㎜ long;
Anthers (꽃밥) ⇒ 3.4 – 3.5 ㎜ long. - Style (암술대, 花柱) ⇒ 10.5 – 11 ㎜ long;
stigma lobes (암술머리 편) ⇒ 1.5 – 1.6 ㎜ long.
C. microdubardii - Fruit
- 모양 ⇒ 1개~2개 씨앗이 들어 있는 타원체~넓은 타원체,
- 대칭성 ⇒ 가끔 약간 비대칭 (꽃받침대와 꽃자루가 중심에서 벗어남 ),
- 크기 ⇒ 7.2 – 7.4 × 9 – 9.3 ㎜ ,
- 질감 ⇒ smooth (when dried),
- colour ⇒ 미상
- 털 ⇒ glabrous or very sparsely puberulous (무모이거나 아주 드문드문 연모가 있음) (hairs < 0.1 ㎜ long);
- fruit wall thickness ⇒ 미상;
- pedicel (꽃자루) ⇒ 2.5 – 3.7 ㎜ long, sparsely puberulous (드문드문 연모가 있음) (hairs < 0.1 ㎜ long);
- calyx limb (꽃받침 대) ⇒ prominent, disc rather prominent (현저함),
- 디스크 ⇒ 다소 현저함.
- Seeds (씨앗) ⇒ 미상.
- Figs 3, 4B, C.
C. microdubardii - RECOGNITION (認識).
- Coffea microdubardii는 C. dubardii Jum.과 닮았다.
2차 맥과 평행하게 형성된 많은 현저한 3차 맥들의 존재와, 꽃차례 및 꽃들의 일반적 형태 때문이다. - 전반적으로, microdubardii는 C. dubardii의 훨씬 더 작은 버전을 나타내지만, 특징들의 수에서 많은 차이들이 있고, 비정량적인 차이들이 있다.
- 이 종들 간의 주요한 차이들은 다음과 같다.
Coffea microdubardii | Coffea dubardii | |
treelet | treelet, 2.5 – 2.8 m high |
treelet or small tree, (1 –) 1.7 – 6 (– 7) m high |
petiole | 0.2 – 0.5 ㎝ long, puberulous | (0.5 –) 0.8 – 1.1 ㎝ long, glabrous |
leaf blade | (2.2 –) 3 – 5.2 × (1 –) 1.3 – 3.3 ㎝ | (5 –) 7 – 10.5 (– 12.5) × (2.2 –) 3 – 5.5 (– 6.5) ㎝ |
secondary veins | (5 –) 6 – 8 pairs | (6 –) 8 –12 (– 14) pairs |
leaf domatia | sparsely to densely puberulous (hairs 0.1 – 0.2 ㎜ long) |
distinctly pubescent (hairs many, 0.2 – 0.4 ㎜ long) |
inflorescences | restricted to the upper nodes of the shoot, 1 per leaf axil, each inflorescence 3 – 6-flowered, 7 –10 ㎜ long |
inflorescences in several nodes of the shoot, 1 or 2 (– 3) per leaf axil, each inflorescence (3 –) 4 – 8 (– 10)-flowered, 5 – 12 (– 15) ㎜ long |
Calyx (incl. hypanthium) |
1.5 – 1.7 × 1 ㎜ | 1.8 – 2.5 × 1.8 – 2.3 ㎜ |
corolla | 9 – 13 × 9 – 16.8 ㎜ | (10 –) 14 – 19 × 10 – 17.1 ㎜ |
corolla tube | ± the same length as the corolla lobes, 6 – 7 ㎜ long |
distinctly longer than corolla lobes, (6 –) 8 – 12 ㎜ long |
stamens filaments | c. 1 ㎜ long | 2 – 2.2 ㎜ long |
anthers | 3.4 – 3.5 ㎜ long | 5.5 – 7 ㎜ long |
style | 10.5 – 11 ㎜ long | 13 – 15 ㎜ long |
fruit | 7.2 – 7.4 × 9 – 9.3 ㎜ | 8 – 11 × 6 – 10 ㎜ |
C. microdubardii - DISTRIBUTION (分布).
- 마다가스카르 북부의 토착종이며,
- Loky Manambato Protected Area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ict ohemar)에 국한됨.
- Map 1 및 Specimens Examined를 참조.
C. microdubardii - SPECIMENS EXAMINED (檢討 標本).
- MADAGASCAR.
-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imarina: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Antsahabe, 580 m, 3 May 2004 (fr.), P. Ranirison PR 797 (G, K, P, MO, TEF);
- Daraina, Ankarafa, Antsahabe, 5 km à l'Ouest du village de Daraina, 595 m, 30 Oct. 2005 (fr.), J. Be et al. 162 (MO); sous-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Ankaramy, 330 m, 21 Dec. 2005 (fr.), P. Ranirison & L. Nusbaumer PR 1036 (G).
C. microdubardii - HABITAT & ECOLOGY (棲息地 및 生態).
- Transitional (humid, evergreen–deciduous) to seasonally dry (semi-deciduous) forest.
- On rocks, boulders (漂石), and other rocky substrates.
- Elevation 340 – 580 m above sea level.
C. microdubardii - CONSERVATION ASSESSMENT (保護 評價).
- 잠정적으로 Endangered로 평가됨 (IUCN 2012). EN B1ab(iii) + 2ab(iii).
- B1 — 발생정도(extent of occurrence EOO)가 5,000 ㎢ 미만으로 추정됨
(C. microdubardii의 경우 약 21 ㎢); - a — 심하게 흩어져 있거나 3군데 이하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짐; 그리고
- b (iii) — 서식 면적, 정도 및 질 측면에서 계속 쇠퇴하는 것으로 예상됨.
- B2 — 발생 면적(area of occupancy, AOO)이 500 ㎢ 미만인 것으로 추정됨
(C. microdubardii의 경우 16 ㎢이고, 칸 너비가 1 ㎞);
a — 심하게 산발적임 ( see above);
b and b (iii) — 서식 면적, 정도 및 질 측면에서 계속 쇠퇴하는 것으로 예상됨. - 이 종의 EOO와 AOO 모두 EN 카테고리에의 한계 내에 그리고 거의 Critically Endangered (CR) 카테고리 내에 속한다.
- 이 종에 대한 더욱 정밀한 분포 측정과 위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필드 워크가 필요하다.
- C. microdubardii의 분포에는 Loky Manambato Protected Area의 Binara, Antsahabe 그리고 Ankaramy 포레스트의 개체군들이 포함된다.
C. microdubardii - PHENOLOGY (生物季節學).
- 완전하게 알려진 것은 아님 — 개화는 12월부터, 그리고 아마도 11월부터도 시작됨; 결실은 10월말~3월.
C. microdubardii - ETYMOLOGY (語源).
- Coffea microdubardii는 C. dubardii의 훨씬 더 작은 버전을 닮아서 그렇게 작명된 것임.
C. microdubardii - NOTES.
- Coffea microdubardii는 마다가스카르 북부의 매우 자주 만나게 되는 Coffea 종인 C. dubardii의 훨씬 더 작은 버전처럼 보인다.
- 이 두 종들은 형태적으로 구분하기 쉽다. 잎의 수와 2차 맥의 수가 구별이 용이한 수단이다.
- C. microdubardii에서 잎 길이는 3 – 5.2 cm이고 2차 맥들이 6~8 쌍 있는 반면,
C. dubardii의 경우에는 대개 잎 길이가 7 – 10.5 cm이고 2차 맥들이 8~12 쌍이다. - 또한, C. microdubardii는 가뭄 회복성 적응력이 없으나, C. dubardii에서는 있으며, 여기에는 ‘resting’ shoot-buds 및 부분적 낙엽성(partial deciduousness), 즉 열/가뭄 스트레스의 시간 중에, 잎 꼭지(petiole)에서의 이동 또는 가끔 나무에서 떨어짐으로 인한 잎들의 릴렉싱이 포함된다.
- Coffea microdubardii와 C. dubardii는 마다가스카르 북부에 발생하지만, 그들의 분포는 중첩되지 않는다:
전자는 Daraina 에리어에 국한되는 반면,
후자는 마다가스카르 북부 및 북동부에 다소 산재되어 있지만, Daraiana에는 없다 (Map. 1 참조).
3. Coffea rupicola
Coffea rupicaola A.P.Davis & Rakotonas., sp. nov.
Type: Madagascar: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imarina: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Antsahabe, 850 m, 13 Dec. 2004 (fl.), Nusbaumer & Ranirison LN 1345 (holotype G [G00019393]!; isotypes K!, P!, MO!, TEF!).
https://www.ipni.org/urn:lsid:ipni.org:names:77216867-1
C. rupicola - Treelet
- Treelet ⇒ 높이 1.5 – 3 m, dbh (diam. at base) ⇒ 미상.
- Bark ⇒ 질감 미상, 불그스름한 갈색.
- Branches
⇒ 직경 1.9 – 3 ㎜,
⇒ ± 매끄럽거나 약간 껍질이 벗겨져 있음,
⇒ 갈색에서 불그스름한 갈색. - Branchlets (말단의 작은 가지)
⇒ ± terete (얇고 매끄러운 원통형),
⇒ 직경 1 – 1.6 ㎜,
⇒ 가지들과 같은 색과 질감, 無毛. - Stipules (턱잎, 托葉)
⇒ caducous (쉽게 떨어지는),
⇒ depressed ovate (눌린 달걀형),
⇒ 0.6 – 0.9 × 0.4 – 0.6 ㎜,
⇒ subcoriaceous (약간 가죽 같은), 무모; - 턱잎 끝 ⇒ broadly obtuse (넓게 둔각임)
C. rupicola - Leaves :
- Petiole (잎꼭지, 葉柄, leafstalk) ⇒ 0.1 – 0.45 cm long, 無毛 (glabrous);
- Lamina (잎몸, 葉身, blade)
⇒ 좁게 ~ 넓게 타원형
⇒ (2.7 –) 3.9 – 6 × (1.2 –) 1.5 – 3.6 ㎝,
⇒ subcoriaceous (약간 가죽 같은); - base (잎밑, 葉底) ⇒ cuneate (쐐기꼴, 楔狀);
- Margins (잎둘레, 葉緣) ⇒ subrevolute to flat (약간 바깥쪽으로 감김~평평)
- Apex (잎끝, 葉先) ⇒ acute to obtuse, or shortly caudate c. 0.2 ㎝ long;
- Aaxial surface (背軸面) :
2차 맥 ⇒ 분명하고 눈에 띰, 5 – 7 쌍, 약 45° 각도로 올라감,
3차 맥 ⇒ 분명하고 눈에 띰, 종종 2차 맥과 구별하기 어려움, reticulate (망상)하지만 대개 2차 맥과 분명히 평행함 (Garcinia-like),
더 높은 맥 ⇒ obscure, ± ramified;
Texture (질감) ⇒ smooth (매끄러움);
Domatia (巢穴) ⇒ obscure (모호하거나) 또는 가끔 결여되어 있음,
⇒ 2차 맥들의 겨드랑이들에 위치, 주맥에서 떨어져 있음,
⇒ 구멍 직경 orifice 0.1 – 0.3 mm,
⇒ oval(계란형) to slit-like (좁고 기다란 틈 같음),
⇒ 가장자리는 약간 올라와있고 부풀어 있음, 무모; - Adaxial surface (向軸面) :
⇒ 맥이 분명함 ~ 다소 눈에 띰;
⇒ domatia 소혈 → 모호하여 잘 안보임.
C. rupicola - Flowers
- Inflorescences (꽃차례, 花序)
⇒ interfoliar (잎 사이), 가장 위의 엽액들에 제한됨 (첫번째나 두번째 잎쌍들),
⇒ 1 per leaf axil (엽액 마다 1개),
⇒ 각 꽃차례에는 1-3개의 꽃이 핀다,
⇒ 길이 4 – 7 ㎜ long, with 1 order of branching,
⇒ 삼출물로 약하게 덮여져 있다, 또는 전혀 덮여져 있지 않다; - Inflorescence axis (꽃차례 축) (bearing calyculi 꽃받침을 배고 있다)
⇒ 길이 0.9 – 2.2 ㎜ long. - Calyculi (外萼)
⇒ 3개이다, nested within each other (서로 안으로 포개 있다);
⇒ puberulous (柔毛가 있다) to densely puberulous (조밀하게 가는 유모가 있다) (hairs <0.1 ㎜ long),
⇒ 가장자리는 무모 margins glabrous; - basal (1st) calyculus
⇒ 0.8 – 1.2 × 0.9 – 1 ㎜ ,
⇒ stipular lobes shallowly triangular to deltate, 0.4 – 0.6 × 0.8 ㎜ ,
⇒ foliar lobes elliptic-ligulate, c. 0.2 × 0.1 ㎜ ; - middle (2nd) calyculus
⇒ 0.9 – 1.6 × 1 – 1.2 ㎜ ,
⇒ stipular lobes broadly ovate to deltate, 0.5 – 0.6 × 0.8 – 0.9 ㎜ ,
⇒ foliar lobes ± elliptic-ligulate, 0.2 – 0.3 × 0.1 ㎜ ; - upper (3rd) calyculus
⇒ 2 – 2.5 × 1.6 – 2.1 ㎜ ,
⇒ stipular lobes broadly ovate to deltate, 0.8 – 1.6 × 1.4 – 1.6 ㎜ ,
⇒ foliar lobes ± elliptic-ligulate (舌狀), 0.2 – 0.3 × 0.1 – 0.2 ㎜ . - 꽃 ⇒ 5-merous (다섯 갈래);
- Pedicel (꽃 자루)
⇒ 길이 0.7 – 1.6 mm long, glabrous 무모,
⇒ bractlets (苞葉)는 없음. - Calyx (꽃받침, 花萼) (hypanthium 꽃턱통)
⇒ obconical (거꾸로 된 원추형) to ± turbinate (소용돌이꼴),
⇒ 1.5 – 1.7 × 1.2 ㎜ ,
⇒ texture ± smooth, glabrous; - calyx limb
⇒ shallowly 5-lobed (얕게 다섯 편으로 됨),
⇒ margin sparsely ciliate (hairs <0.1 ㎜ long),
⇒ beset with c. 5 colleters (약 5개의 점액질 분비 털로 포위됨). - Ovary (씨방): disc (디스크) ⇒ low domed, entire (낮은 반구형).
- Corolla (꽃부리, 花冠) ⇒ funnel shaped (깔대기 모양), 10 – 10.2 × 10 – 10.4 ㎜ , smooth;
- corolla tube (꽃부리 통) ⇒ slightly longer than the corolla lobes, 6.2 –6.4 ㎜ long;
- corolla lobes (花冠裂片) ⇒ 4.8 – 5 × 2.4 – 2.5 ㎜ .
- Stamens (수술):
Filaments (수술대) ⇒ 2 – 2.2 ㎜ long;
Anthers (꽃밥) ⇒ 3.4 – 3.6 ㎜ long. - Style (암술대, 花柱) ⇒ 10 – 10.3 ㎜ long;
- stigma lobes (암술머리 편) ⇒ 3.5 – 3.6 ㎜ long.
- Fruit (immature) (과실, 덜 익은 것)
⇒ 좁게 타원형 narrowly ellipsoid.
⇒ 7.5 × 4 ㎜ ,
⇒ smooth (when dried) 매끄러움 (마른 경우),
⇒ 색상 미상, 무모; - fruit wall thickness (과실벽) ⇒ 미상;
- pedicel (꽃자루, 소화경) ⇒ c. 2.5 mm long, 無毛 glabrous;
- calyx limb and disc ⇒ 분명하거나 눈에 잘 안 띔 (manifest to inconspicuous).
- Seeds (씨앗) ⇒ 미상.
C. rupicola - RECOGNITION (認識).
- Coffea rupicola는 사이즈와 전반적인 모습에서 C. microdubardii와 상당히 닮았으며,
두 종들 모두 Daraina area의 어떤 위치에서 근접하여 발생한다. - 잎 형태는 전체적인 모습에서 매우 비슷하지만, 좀더 가까이 살펴보면 이 두 종들 간에 많은 차이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Coffea rupicola | Coffea microdubardii | |
Domatia (巢穴) | 모호하거나 가끔 결여 좁고 기다린 틈 slit 같은 또는 계란형 구멍, 무모 |
현저함, 계란형 구멍, 드문드문~조밀하게 유모가 있음 |
Inflorescences (꽃차례, 花序) |
1 – 3-flowered, 길이 4~7 ㎜, with 1 order of branching |
3 – 6-flowered, 길이 7~10 ㎜ , with more than one order of branching |
Inflorescence axis (花序軸) |
(bearing calyculi) 0.9 – 2.2 ㎜ long | 2.7 – 5.8 ㎜ long |
Flower pedicel (꽃자루) |
0.7 – 1.6 ㎜ long, glabrous | 2.5 – 3.7 ㎜ long, and puberulous |
Bractlets (小包葉) | 없음 | 있음 |
Calyx (hypanthium) | 무모 | 柔毛가 있음 |
Calyx limb (꽃받침 대) |
얕게 5 장으로 됨 점액질 분비 털 약 5개 |
파도 모양, 약 7 장으로 됨. 점액질 분비 털 12~14개 |
Corolla lobes (花冠裂片) |
4.8 – 5 × 2.4 – 2.5 ㎜ | 7 – 8 × 2.3 – 2.5 ㎜ |
C. rupicola - DISTRIBUTION (分布)
- Endemic to northern Madagascar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emar) and
restricted to the Forest of Antsahabe in the Loky Manambato Protected Area. - See Map 1 and Specimens Examined.
C. rupicola - SPECIMENS EXAMINED (檢討 標本). MADAGASCAR.
-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imarina: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Antsahabe, 940 m, 14 Dec. 2004 (y. fr), L. Nusbaumer & P. Ranirison LN 2153 (G).
C. rupicola - HABITAT & ECOLOGY (棲息地 및 生態).
- Seasonally dry (semi-deciduous) or evergreen (humid)-seasonally dry transitional forest;
- on plate (pavement-like) rocks.
- Elevation 850 – 940 m above sea level.
C. rupicola - CONSERVATION ASSESSMENT (保護 評價).
- 잠정적으로 Critically Endangered로 평가됨 (IUCN 2012). CR B1ab(iii) + 2ab(iii).
- B1 — 발생정도 (extent of occurrence, EOO)가 100 ㎢ 미만인 것으로 추정
(Coffea rupicola의 경우는 단 2지점에만 있으므로 약 0.0 ㎢); - a — 심하게 분열적이며, 한 장소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짐; 그리고
- b (iii) — 서식 면적, 정도 및 질의 측면에서 계속 쇠퇴 중인 것으로 예측됨.
- B2 — 발생면적 (area of occupancy, AOO)은 10 ㎢ 미만인 것으로 추정
(C. rupicola의 경우에는 4 ㎢, at a cell width of 2 km; 1 ㎢ at a cell width of 1 km); - a—severely fragmented (see above); and
- b and b (iii)— 서식 면적, 정도 및 질의 측면에서 계속 쇠퇴 중인 것으로 예측됨.
- 루피콜라의 EOO 및 AOO는 두 가지 모두 CR 카테고리의 한계 내에 잘 들어간다; 비록 다른 하위 개체군들이 한 장소에 걸쳐 (가장자리에서도) 발견되지만, EOO는 이 카테고리에 여전히 잘 속할 것이며 (42.3 ㎢), AOO는 10 ㎢을 넘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
- 1 km의 cell width가 이 종의 경우에 가장 적합할 것인데, 이 종의 하위개체군들이 드문 드문 서식하고 1 ㎢ 미만이기 때문이다.
- C. rupicola의 분포에는 Loky Manambato Protected Area의 Antshabe 포레스트에 있는 개체군들이 포함된다.
C. rupicola - PHENOLOGY (生物季節學).
- 불완전하게 알려져 있음 — 12월에 개화; 12월 이후로부터 결실
C. rupicola - ETYMOLOGY (語源).
- Coffea rupicola는 바위가 많은 환경에 관련하여 그렇게 명명됨.
C. rupicola - NOTES.
- Coffea rupicola는 C. microdubardii와 매우 비슷하게 보이는데, 이는 Loky Manambato Protected Area의 Antsahabe 포레스트에 바위가 많은 기질들에서 발생한다.
- 그러나, Recognition에서 개괄하는 바와 같이 이들 종 간에는 많은 차이들이 있다.
4. Coffea darainensis
Coffea darainensis A.P.Davis & Rakotonas., sp. nov.
Type: Madagascar.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imarina: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Ambohitsitondroina, 250 m, 5 Jan. 2006 (fl. & fr.), Ranirison & Nusbaumer PR 1045 (holotype G [G00090473]!; isotypes K!, MO!, P!, TEF!).
https://www.ipni.org/urn:lsid:ipni.org:names:77216863-1
C. darainensis - Small tree
- Small tree ⇒ 높이 2.5 – 3 m high, dbh ⇒ c. 3 cm.
- Bark (껍질) ⇒ 기록 없음.
- Branches (가지)
⇒ 직경 약 5 ㎜ ,
⇒ 약간 균열적임(lightly fissured),
⇒ 연한 갈색 및 회색 - Branchlets (작은 가지)
⇒ ± terete,
⇒ 1.5 – 3.4 ㎜ in diam.,
⇒ ± the same colour and texture as the branches,
⇒ 어린 부분은 미미하게 유모가 있음 (hairs < 0.1 ㎜ long). - Stipules (턱잎)
⇒ caducous, ± triangular, 0.7 – 1.5 × 1.7 – 2.2 ㎜ ,
⇒ subcoriaceous, puberulous like the shoots;
⇒ margin minutely ciliate (hairs < 0.1 ㎜ long), or glabrous;
⇒ apex (정점) → acute to broadly acute.
C. darainensis - Leaf
- Petiole (잎 꼭지, 葉柄) ⇒ 0.5 – 0.7 cm long, glabrous;
- lamina (잎몸, 葉身)
⇒ obovate to broadly obovate, or obovate-elliptic,
⇒ 3.5 – 5.6 × (1 –) 1.2 – 3 cm, coriaceous; - base (잎밑, 葉底) ⇒ acute to attenuate (점점 좁아 짐) ;
- margins (잎 둘레, 葉緣) ⇒ flat to revolute (바깥으로 감긴);
- apex (잎끝, 葉先) ⇒ rounded to obtuse (둥근 모양~둔한 모양);
- Abaxial surface (背軸面) :
2차 맥 ⇒ 현저함, 4~6 쌍, 약 45° 각도로 올라감,
3차 맥 ⇒ 분명~현저함, ± reticulate (망상);
그 이상 맥 ⇒ 모호~안보임, 망상;
질감 ⇒ 매끄러움;
소혈 ⇒ 눈에 잘 안 띔, 2차 맥의 겨드랑이에 위치, 주맥에서 떨어져 있음,
⇒ 구멍 직경 0.2 – 0.4 ㎜ ,
⇒ 가장자리 약간 부풀어 오름 또는 평평함,
⇒ 드문드문 유모 있음 (hairs c. 0.1 ㎜ long); - Adaxial surface (向軸面) :
맥 ⇒ ± 안보임 ~ 분명함;
소혈 ⇒ 안보임 ~ 모호함.
C. darainensis - Flower
- Inflorescences (꽃차례, 花序)
⇒ Interfoliar: 엽액당 1개 2개, 각 화서마다 3-5개 꽃이 핌,
⇒ (3.2 –) 5 – 6.9 ㎜ long, branched, 보통으로 삼출물로 덮여 있음; - inflorescence axis (花序軸) (part bearing calyculi)
⇒ 2.9 – 5 ㎜ long. - Calyculi (外萼)
⇒ 3개, 서로 안으로 포개 있음, 미미하게 유모가 있음(hairs c. 0.1 mm long),
⇒ 가장자리는 미미하게 섬모가 있음 (hairs c. 0.1 ㎜ long); - basal (1st) calyculus (맨 아래 外萼)
⇒ 1.4 – 2 × 1.8 – 2.2 ㎜,
⇒ stipular lobes shallowly triangular to deltate, 0.3 × 0.3 – 0.5 ㎜,
⇒ foliar lobes broadly ovate to ovate, 0.3 – 0.4 × 0.6 – 0.7 ㎜ ; - middle (2nd) calyculus (가운데 外萼)
⇒ 1.2 – 2 × 1.9 – 2.4 ㎜ ,
⇒ stipular lobes shallowly deltate shallowly triangular, 0.4 – 0.7 × 0.3 – 0.7 ㎜,
⇒ foliar lobes ± deltate to elliptic, 0.4 – 0.7 × 0.3 – 0.4 mm; - upper (3rd) calyculus (맨 위 外萼)
⇒ 1.4 – 1.9 × 1.7 – 2.1 ㎜,
⇒ stipular lobes deltate to shallowly triangular, 0.5 – 0.7 × 0.5 – 0.7 ㎜,
⇒ foliar lobes deltate to elliptic, 0.4 – 0.6 × 0.3 ㎜. - Flowers
- 갈래 ⇒ 4 or 5-merous (넷 또는 다섯 갈래) ;
- Pedicel (꽃자루) ⇒ c. 0.5 ㎜ long, 미미하게 유모가 있음 (hairs c. 0.1 ㎜ long),
- Bractlets (苞葉)
⇒ 3~5, 번갈아 남(alternate), ± obdeltate (거꾸로 된 삼각주 모양),
⇒ 0.4 – 0.6 × 0.4 – 0.5 ㎜,
⇒ often splitting in fruit,
⇒ each bractlet bearing 5 – 7 (– 10) colleters
(narrowly cylindrical to narrowly conical, c. 0.3 ㎜ long). - Calyx (hypanthium 꽃턱통)
⇒ ± obconical, 1.7 – 2 × 1.2 ㎜ , smooth, puberulous like the pedicel; - calyx limb
⇒ truncate (원뿔대 모양) to slightly undulate (약간 파도모양),
⇒ margin glabrous or minutely ciliate (hairs ≤ 0.1 ㎜ long). - Ovary (씨방):
disc ⇒ low domed to ± discoid, entire. - Corolla (꽃부리, 화관) ⇒ broadly funnel-shaped, 8 – 12 × 12 – 15 ㎜, smooth;
- corolla tube (꽃부리 통) ⇒ longer than the corolla lobes, 7 – 9 ㎜ long;
- corolla lobes (花冠裂片) ⇒ 5 – 7.4 × 3 – 3.9 ㎜.
- Stamens (수술):
Filaments (수술대) ⇒ c. 1.3 ㎜ long;
anthers (꽃밥) ⇒ 3.5 – 4.5 ㎜ long. - Style (암술) ⇒ 10 – 12 ㎜ long;
- stigma lobes (암술머리 편) ⇒ c. 2.2 ㎜ long.
- Fruit
⇒ ellipsoid to ellipsoid-obovoid,
⇒ 8 – 9.4 × 5 – 6 ㎜ ,
⇒ smooth (when dried),
⇒ colour unknown,
⇒ sparsely and minutely puberulous (hairs < 0.1 ㎜ long);
⇒ fruit wall thickness (과실벽 두께) 미상;
⇒ Pedicel (꽃자루) → 3 – 5 ㎜ long, puberulous (like the fruit);
⇒ calyx limb (꽃받침 대) → indistinct, disc prominent. - Seeds (씨앗)
⇒ ± elliptic in outline,
⇒ c. 9 × 6 ㎜ c. 3.5 ㎜ thick. - Fig. 4A.
C. darainensis - RECOGNITION (認識).
- Coffea darainensis는 C. littoralis A.P.Davis & Rakotonas와 형태적 유사성들을 공유한다
(Davis & Rakotonasolo 2001a). - 4~6개의 2차 맥들을 가진 잎들(오픈 맥 패턴들과 함께), 전반적인 꽃차례 구조, 그리고 전반적인 꽃과 과실 형태 때문이다.
- Coffea darainensis는 다음과 같은 형태적 특징들에 의해 C. littoralis과 구별될 수 있다.
Coffea darainensis | Coffea littoralis | |
Leaf petiole | 0.5 – 0.7 cm long | 0.1 – 0.3 cm long |
Leaf lamina | obovate to broadly obovate, or obovate-elliptic, 3.5 – 5.6 × (1 –) 1.2 – 3 cm, and coriaceous |
broadly elliptic to broadly ovate, or ± orbicular, (1.4 –) 1.9 – 3.5 (– 4.7) × (1.4 –) 1.9 – 2.8 (– 3.3) cm, and subcoriaceous |
Leaf base | acute to attenuate | rounded to obtuse |
adaxial leaf surface |
venation ± invisible to manifest | venation prominent, more clearly manifest than the abaxial surface |
inflorescences | 1 or 2 per leaf axil, each inflorescence 3~ 5-flowered, (3.2) 5 – 6.9 ㎜ long, branched, and axis (part bearing calyculi) 2.9 – 5 ㎜ long |
1 per leaf axil, each inflorescence 1-flowered, 3 – 5 ㎜ long, unbranched, and axis 2 – 2.5 ㎜ long |
C. darainensis - DISTRIBUTION (分布)
- 마다가스카르 북부 토착종.
- Loky Manambato Protected Area의 숲에(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imarina), 그리고
구체적으로 Forêt d'Ambohitsitondroina와 Forêt d'Antsaharaingy에 국한되어 있음.
C. darainensis - SPECIMENS EXAMINED (檢討 標本). MADAGASCAR.
- Prov. Antsiranana; Region Sava; Distr. Vohemar: sous-préfecture de Vohemar, commune rurale de Daraina, Daraina, Forêt d'Antsaharaingy, 90 m, 18 April 2004 (fr.), P. Ranirison PR 689 (G, K, P, MO, TEF).
C. darainensis - HABITAT & ECOLOGY (棲息地 및 生態).
- 계절적으로 건조한 숲 (반-낙엽).
- 고도 해발 90~250 m.
C. darainensis - CONSERVATION ASSESSMENT (保護 評價).
- 잠정적으로 Critically Endangered로 평가됨 (IUCN 2012). CR B2ab(iii).
- B2 — 발생정도 (extent of occurrence, EOO)가 10 ㎢ 미만인 것으로 추정
(Coffea darainensis의 경우는 8 ㎢, at a cell width of 2 km;
2 ㎢ for C. darainensis, at a cell width of 1 km);
a — 심하게 분열적이며, 두 장소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짐; 그리고
b (iii) — 서식 면적, 정도 및 질의 측면에서 계속 쇠퇴 중인 것으로 예측됨. - AOO는 CR 카테고리 한계에 속함; 비록 그 두곳 내에서 몇 가지 다른 하위 개체군들이 발견되어도, AOO는 여전히 이 카테고리에 속할 것임.
- 우리는 이 종이 1km 미만의 너비에서 발생하는 숲 부분을 기준으로 1 km의 cell width로 지정했다.
- Coffea darainensis는 하나의 장소를 대표하는 두 컬렉션들로부터만 알려져 있다
(Loky Manambato Protected Area의 Antsaharaingy 포레스트와 Ambohitsitondroina 포레스트).
C. darainensis - PHENOLOGY (生物季節學).
- 완전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음 — 12월에 개화; 1월부터 4월까지 결실.
C. darainensis - ETYMOLOGY (語源).
- Coffea darainensis는 마다가스카르 북부의 Daraina 에리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C. darainensis - NOTES.
- Coffea darainensis와 C. littoralis는 형태적으로 비슷하지만,
잎의 사이즈와 질감에서 구분하기 쉽다 (see Recognition). - 두 종들은 모두 NE Madagascar의 동일한 전체 에리어들에서 발생하지만, 그들의 분포는 중복되지는 않는다 :
C. darainensis는 Loky Manambato Protected Area의 해발 90~250 m 내륙에 있는 서쪽 부분 내의 두 숲 구획들에서 발생한다 ; 반면에
C. littoralis는 해발 0 ~ 25 m의 Vohemar 타운에서 가까운 해안 지역들 (littoral forest, 해안림)에 국한되어 있다.
5. Coffea callmanderi
Coffea callmanderi A.P.Davis & Rakotonas., sp. nov.
Type: Madagascar. Prov. Antsiranana; Region Diana; Distr. Ambanja: commune Beramanja, Kalabenono, bas de crête, 550 m, 25 Nov. 2007, (fl.), Callmander et al. 752 (holotype G [G001165658]!; isotypes K!, MO!, P!, TAN!).
https://www.ipni.org/urn:lsid:ipni.org:names:77216862-1
C. callmanderi - Small tree
- Small tree, 높이 약 3m, dbh는 미상.
- Bark (껍질) ⇒ 기록되지 않았음.
- Branches ⇒ 직경 약 6 ㎜ , ± 매끄러움, 짙은 갈색.
- Branchlets
⇒ ± terete (얇고 매끄러운 원통형) to slightly flattened (약간 납작),
⇒ 직경 약 4 ㎜ , ± 매끄러움, 짙은 갈색, 무모. - Stipules (턱잎, 托葉)
⇒ semi-persistent (반-지속적) to caducous (쉽게 짐),
⇒ depressed ovate (눌린 달걀형) or ± deltate (삼각주형),
⇒ 2.7 – 4.2 × 6.9 – 9 ㎜,
⇒ chartaceous(종이질) to subcoriaceous (약간 종이질), glabrous (無毛) ; - Apex (턱잎 끝)
⇒ acute, shortly apiculate (짧게 뾰족함), apiculum (정점) 길이 약 1.5mm
C. callmanderi - Leaves
- Petiole (잎 꼭지, 葉柄) ⇒ 1.1 – 2.3 cm long, glabrous;
- Lamina (잎몸, 葉身)
⇒ elliptic to obovate, or elliptic-ovate,
⇒ (9.5 –) 15.8 – 17.2 × (4.8 –) 5.8 – 8.3 cm, subcoriaceous; - base (잎밑, 葉底) ⇒ cuneate to narrowly cuneate, or attenuate, often decurrent;
- Margins (잎 둘레, 葉縁) ⇒ subrevolute to flat;
- Apex (잎끝, 葉先) ⇒ obtuse to broadly acute, abruptly caudate, cauda 0.6 – 1.2 cm long;
- Abaxial surface (背軸面):
- secondary veins
⇒ prominent (현저함),
⇒ (8 –) 10 – 12 pairs, with prominent intermediates (intersecondaries),
⇒ ascending at an angle of 30° – 45°, - tertiary venation
⇒ rather prominent (다소 현저함),
⇒ ± reticulate (망상); - higher order venation ⇒ manifest to obscure, ramified;
- texture ⇒ smooth;
- domatia
⇒ absent, corky swellings with or without openings, axillary, against or on the midrib,
⇒ orifice, c. 0.5 mmin diam.,
⇒ the margin and body rather corky, glabrous; - Adaxial surface (向軸面):
- venation ⇒ very prominent (more so than the abaxial surface);
- domatia ⇒ invisible.
C. callmanderi - Flower
- Inflorescences (꽃차례, 花序)
- interfoliar, 1 or 2 per leaf axil, each inflorescence 1 to 4-flowered,
- ⇒ 9.8 – 10.2 ㎜ long, unbranched or fasciculate,
- ⇒ moderately covered in exudate;
- inflorescence axis (part bearing calyculi) ⇒ 2.3 –2.5 ㎜ long.
- Calyculi (外萼)
- ⇒ 3개, nested within each other (서로 속으로 포개 있음);
- ⇒ glabrous 무모,
- ⇒ margins ciliate (가장자리는 섬모가 있음) (hairs 0.l – 0.2 ㎜ long);
- basal (1st) calyculus ⇒ c. 1.5 × 2.5 ㎜, lobes not seen;
- middle (2nd) calyculus ⇒ c. 1.4 × 2.2 ㎜, lobes not seen;
- upper (3rd) calyculus ⇒ c. 2.4 × 3.5 ㎜, lobes not seen.
- Flowers ⇒ poorly known (only calyces seen);
- pedicel 2 – 2.5 ㎜ long, glabrous, bractlets absent.
- Calyx (꽃받침, 花萼) (hypanthium, 꽃턱통)
⇒ obconical to turbinate, 3.8 – 4.1 × 4 – 4.2 ㎜,
⇒ texture smooth to slightly wrinkled (when dried), glabrous; - Calyx limb ⇒ truncate to undulate, margin glabrous.
- Ovary (씨방) : ⇒ disc ± discoid-tubular, 5-lobed.
- Corolla and other flower parts ⇒ not seen.
- Fruit ⇒ 미상.
- Seeds ⇒ 미상.
C. callmanderi - RECOGNITION (認識).
- Coffea callmanderi는 C. richardii J.-F.Leroy와 어느 정도 비슷한데, 둘 다 크고 (보통 길이 15 ㎝, 너비 6 ㎝ 이상) 가죽 같은(coriaceous) 잎을 가졌고, 보통 10개 이상의 현저한 2차 맥을 가졌다.
- 그러나, 이 종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에 기초하여 쉽게 구별된다.
Coffea callmanderi | Coffea richardii | |
Leaf | elliptic to obovate, or elliptic-ovate, (9.5 –) 15.8 – 17.2 × (4.8 –) 5.8 – 8.3 cm |
broadly elliptic to narrowly elliptic, oval to oval-ovate, or rarely oval-obovate, 17 – 23.5 (–29) × (5.2 –) 7.4 – 13.5 (– 16.7) cm |
Secondary veins | (8 –) 10 – 12 pairs | 10 – 14 (– 16) pairs |
Adaxial surface | venation very prominent (more so than the abaxial surface) |
venation manifest to rather obscure (less prominent than abaxial surface) |
Inflorescences | 1 – 4-flowered, 9.8 – 10.2 ㎜ long |
4 – 6 (–8)-flowered, 8 – 11 ㎜ long |
Flower pedicel | 2 – 2.5 ㎜ long | 0.1 – 0.5 ㎜ long |
Calyx (hypanthium) | 3.8 – 4.1 × 4 – 4.2 ㎜ | 1.8 – 2.3 × 2.8 – 3.2 ㎜ |
C. callmanderi - DISTRIBUTION (分布).
-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Ambanja (Prov. Antsiranana; Region Diana; Distr. Ambanja) 근처에 토착하며,
Galoko 산맥의 Kalobinono 산에서만 알려져 있다. - See Map 1 and Specimens Examined.
C. callmanderi - SPECIMENS EXAMINED (檢討 標本). MADAGASCAR.
- Prov. Antsiranana; Region Diana; Distr. Ambanja: Galoko Chain, lower slopes of Kalabenono, ridge just above village and Tavy, 630 m, 21 March 2009 (ster.), A. P. Davis & F. Rakotonasolo APD 4734 (K, TAN).
C. callmanderi - HABITAT & ECOLOGY (棲息地 및 生態).
- Sambirano 지역 내의 다습한 상록수림;
- (Isalo) 사암;
- 해발 550~630m.
C. callmanderi - CONSERVATION ASSESSMENT (保護 評價).
- 잠정적으로 Critically Endangered로 평가됨 (IUCN 2012). CR B2ab(iii).
- B2 — 발생면적 (area of occupancy, AOO)이 10 ㎢ 미만인 것으로 추정
(8 ㎢ at a cell width of 2 ㎞; 2 ㎢, at cell width 1 ㎞);
a — 단 한 장소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짐 ; 그리고
b (iii) — 서식 면적, 정보 및 질에서 계속적인 쇠퇴가 관찰되고 예상됨. - The AOO falls well within the limits for the CR category; even if several other subpopulations are found within the location and available forest area (which extends someway to the north), the AOO would still fall within the CR category.
- We designated a cell width of 1 ㎞ on the basis that the forest fragments in which this species occurs are less than 1 ㎞ wide.
- At the only known location for this species, there is an ongoing and drastic reduction of forest cover (which this species requires) due to agricultural expansion and human habitation (new settlements).
- Coffea callmanderi의 알려진 분포 범위는 Galoko-Kalobinono Protected Area 내에 속한다.
C. callmanderi - PHENOLOGY (生物季節學).
- 완전하게 알려지지 않았음 — 11월에 개화; 아마도 12월부터 2월까지, 그리고 3월까지도 가능하게 결실.
C. callmanderi - ETYMOLOGY (語源).
- Coffea callmanderi는 Martin W. Callmander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그는 이 종을 발견하고, Galoko-Kalobinono 산악지대에서 최초의 수집 미션을 조직하였으며, 그리고 마다가스카르 북부에서 엄청난 탐색적 필드워크를 수행한 인물이다.
C. callmanderi - NOTES.
- Coffea callmanderi는 북부 마다가스카르의 다른 종들과는 전혀 닮지 않았지만 동부 저지대 마다가스카르의 큰 잎을 가진 종인 C. richardii J.-F. Leroy와 C. farafanganensis J.-F. Leroy, 특히 전자와 비슷해 흥미로운 종이다.
- 꽃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열매도 알려지지 않았지만, C. callmanderi는 잎과 꽃의 특성을 기준으로 C. richardii와 쉽게 구별된다.
6. Coffea kalobinonensis
Coffea kalobinonensis A.P.Davis & Rakotanas., sp. nov.
Type: Madagascar. Prov. Antsiranana; Region Diana; Distr. Ambanja: Beramanja, Anketrabe, village le plus proche Antanambao Belinta, versant nordouest du Kalabenono, sommet ouest de la grande falaise, 941 m, 29 Dec. 2007 (fr.), C. Rakotovao et al. 3843 (holotype G [G00192016]!; isotypes MO!, P!, TAN!).
https://www.ipni.org/urn:lsid:ipni.org:names:77216864-1
C. kalobinensis - Small tree
- Small tree ⇒ 4~6 m high, dbh c. 6 cm.
- Bark ⇒ browngrey, mottled, slightly rough.
- Branches ⇒ 8 – 10 ㎜ in diam., ± smooth, dark brown.
- Branchlets
⇒ ± terete, 3 – 4 ㎜ in diam.,
⇒ ± smooth, dark brown,
⇒ puberulous (hairs c. 0.05 ㎜ long) on young shoots. - Stipules
⇒ caducous, depressed ovate or depressed ovate-truncate,
⇒ 1.3 – 1.7 × 1.4 – 1.6 ㎜,
⇒ subcoriaceous, puberulous like the young shoots;
⇒ margin ciliate (hairs c. 0.1 mm long); apex broadly acute to very broadly acute.
C. kalobinensis - Leaves :
- Petiole (잎 꼭지, 葉柄) ⇒ 0.7 – 1.7 cm long, glabrous;
- Lamina (잎몸, 葉身)
⇒ elliptic-obovate, or ± obovate, or elliptic to broadly elliptic,
⇒ (5.5 –) 8 –10 × (2.2 –) 2.9 – 4.6 cm,
⇒ subcoriaceous; - Base (잎밑, 葉底) ⇒ narrowly cuneate, decurrent;
- Margins (잎 둘레, 葉緣) ⇒ subrevolute to flat;
- Apex (잎끝, 葉先) ⇒ obtuse to broadly acute, very abruptly caudate, cauda 0.2 – 0.4 cm long;
- Abaxial surface (背軸面):
- Secondary veins
⇒ prominent,
⇒ 6 – 8 pairs, with prominent intermediates (intersecondaies),
⇒ ascending at an angle of c. 45°, - Tertiary venation
⇒ rather prominent,
⇒ ± reticulate; - Higher order venation
⇒ manifest to obscure, ramified; - Texture ⇒ smooth;
- Domatia
⇒ prominent, located in the axils of the secondary veins, against the midrib,
⇒ orifice, c. 0.4 mm in diam.,
⇒ surrounding leaf tissue slightly swollen,
⇒ glabrous or sparsely covered in small hairs (c. 0.05 ㎜ long); - Adaxial surface (向軸面) :
venation ⇒ prominent;
domatia ⇒ obscure to manifest.
C. kalobinensis - Flowers
- Inflorescences (꽃차례, 花序)
⇒ interfoliar,
⇒ 1 per leaf axil,
⇒ each inflorescence 3 to 5-flowered,
⇒ 8 – 9.8 ㎜ long,
⇒ shortly branched (1 or 2 orders of branching),
⇒ mostly exudate free; - inflorescence axis (part bearing calyculi) ⇒ 3.8 –6.4 ㎜ long.
- Calyculi (外萼)
⇒ 3개,
⇒ shortly stalked to stalked (stalks 0.4 – 0.6 ㎜ long);
⇒ glabrous,
⇒ margins ciliate (hairs c. 0. ㎜ long); - basal (1st) calyculus
⇒ 1.5 – 2.2 × 2.2 – 2.7 ㎜ ,
⇒ stipular lobes ovate to depressed ovate, 0.9 – 1.2 × 0.2 – 0.4 ㎜ ,
⇒ foliar lobes obovate, 0.2 – 0.4 × 0.1 – 0.3 ㎜ ; - middle (2nd) calyculus
⇒ c. 1.4 × 2.1 ㎜ ,
⇒ stipular lobes 0.8 – 1.2 × 0.3,
⇒ foliar lobes not seen; - upper (3rd) calyculus
⇒ c. 1.4 × 2 ㎜ ,
⇒ stipular lobes c. 0.8 × 0.3,
⇒ foliar lobes not seen. - Flowers ⇒ 미상 unknown.
- Fruit (immature)
⇒ ± ellipsoid,
⇒ 9.5 – 10.2 × 5 – 5.5 ㎜ ,
⇒ smooth (when dried),
⇒ minutely pubescent (hairs c. 0.1 ㎜ long). - Seeds ⇒ 미상.
C. kalobinensis - RECOGNITION (認識).
- Coffea kalobinonensis은 마다가스카르 동부의 다습한 상록림의 種인 C. coursiana J.-F.Leroy와 비슷한데,
잎의 전반적인 모습과, 여러 꽃들이 피는 꽃차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비록 C. kalobinonensis이 완전하게 알려진 것은 아니지만, 이들 종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에 기초하여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Coffea kalobinonensis | Coffea coursiana | |
petioles | 0.7 – 1.7 cm long | 0.2 – 0.9 cm long |
lamina | (5.5 –) 8 – 10 × (2.2 –) 2.9 – 4.6 cm subcoriaceous 6 – 8 pairs of secondary veins |
3.5 – 7 (– 8.4) × 1.8 – 3.5 (– 4.4) cm chartaceous to subcoriaceous 4 – 6 pairs of secondary veins |
Fruit (only immature fruit seen) |
9.5 – 10.2 × 5 – 5.5 ㎜ minutely pubescent |
7 – 8.5 × 4.3 – 4.5 ㎜ glabrous |
C. kalobinensis - DISTRIBUTION (分布)
-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Ambanja 근처 (Prov. Antsiranana; Region Diana; Distr. Ambanja)의 토착종이며,
Galoko 산맥의 Kalobinono Mountain에서만 알려져 있다. - See Map 1 and Specimens Examined.
C. kalobinensis - SPECIMENS EXAMINED (檢討 標本). MADAGASCAR.
- Prov. Antsiranana; Region Diana; Distr. Ambanja: Galoko Chain, lower slopes of Kalabenono, ridge just above village and tavy, 550 m, 21 March 2009 (ster.), A. P. Davis. APD 4729 (K, TAN); loc. Cit., 21 March 2009 (seedling; ster.), A. P. Davis APD 4731 (K, TAN); loc. Cit., 630 m, 21 March 2009 (partially ster.), A. P. Davis APD 4735 (K, TAN).
C. kalobinensis - HABITAT & ECOLOGY (棲息地 및 生態).
- Sambirano 지역 내의 다습한 상록수림; 능선;
- (Isalo) 사암;
- 해발 550~950m.
C. kalobinensis - CONSERVATION ASSESSMENT (保護 評價).
- 잠정적으로 Critically Endangered로 평가됨 (IUCN 2012). CR B1ab(iii) + 2ab(iii).
- B1 — 발생정도 (extent of occurrence, EOO)가 100 ㎢ 미만인 것으로 추정됨
(Coffea kalobinonensis의 경우에는 0.7 ㎢); - a — 한 장소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짐 (C. kalobinonensis의 경우 한 장소); 그리고
- b (iii) — 서식 면적, 정도 및 질이 계속 쇠퇴하는 것으로 예상됨.
- B2 — 발생면적 (area of occupancy, AOO)이 10 ㎢ 미만인 것으로 추정됨
(C. kalobinonensis의 경우는 8 ㎢, at a cell width of 2 ㎞; 3 ㎢ at a cell width of 1 ㎞);
a — 한 장소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짐; 그리고
b (iii) — 서식 면적, 정도 및 질이 계속 쇠퇴하는 것으로 관찰되고 그리고 예상됨. - EOO와 AOO가 CR 카테고리 한계에 잘 들어감; 비록 다른 하위개체군들이 그 알려진 장소 또는 주변 일대 내에서 발견되어도, 이 카테고리 한계를 깨뜨리지 못할 것으로 보임.
- 이 종의 경우 알려진 유일한 장소에서, 농경의 확장과 인간의 거주(새로운 정착) 때문에 포레스트 커버(이 종이 필요로 하는)의 지속적이고 드라마틱한 감소가 있다.
- C. kalobinonensis의 알려진 분포 범위는 Galoko-Kalobinono Protected Area 내에 속함.
C. kalobinensis - PHENOLOGY (生物季節學).
- 완전히 알려지지는 않음 — 아마 11월~12월에 개화기 12월말부터 아마도 3월까지 결실.
C. kalobinensis - ETYMOLOGY (語源).
- Coffea kalobinonensis는 매우 많은 토착종들과 상당한 생물다양성이 있는 장소인 마다가스카르 북서부에 있는 Kalobinono Mountain에서 이름을 따왔음.
C. kalobinensis - NOTES.
- Coffea kalobinonensis는 C. coursiana의 더 큰 변종과 닮았지만, 이 종들은 몇 가지 형태적 차이들에 기초하여 쉽게 구분된다 (see Recognition).
- Coffea kalobinonensis는 해발 고도 550 – 950 m의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Kalabinono mountain 에리어에 국한되어 있는 반면, C. coursiana는 마다가스카르 동부의 다습한 상록림들에서 발생한다 (보통 해발 400 – 500 m).
REFERENCES
Bachman, S., Moat, J., Hill, A., Torre, J. de & Scott, B. (2011).
Supporting Red List threat assessments with GeoCAT: geospatial conservation assessment tool. ZooKeys 126: 117 – 126.
Callmander, M. W., Buerki, S. & Wohlhauser, S. (2008).
A new threatened species of Pandanaceae from northwestern Madagascar, Pandanus sermolliana. Novon 18: 421.
____, Phillipson, P. B. & Lowry II, P. P. (2012).
Novelties from the Northern Mountains Complex of Madagascar. III. Two new species of Turraea L. (Meliaceae). Adansonia, sér. 3, 34: 93 – 102.
____, ____, Andriamahefarivo, L. D. & Lowry II P. P. (2018).
Flora. Site 10. Galoko-alobinono. In: S. M. Goodman, M. J. Raherilalao & S. Wohlhauser (ed.), The terrestrial protected areas of Madagascar: their history, description, and biota, pp. 589 – 593. Association Vahatra, Antananarivo.
____, Rakotovao, C., Razafitsalama, J., Buerki, S., Hong-Wa, C. , Rakotoarivelo, N. , Andriambololonera, S., Koopman, M., Johnson, D., Deroin, T., Andriamandranto, R., Solo, S., Phillipson, P. B., Labat, J.-N. & Lowry II, P. P. (2009). New species from the Galoka and Kalabenono massifs: two unknown and severely threatened mountainous areas in NW Madagascar. Candollea 64: 179 – 202.
____, Razakamalala, R., Luino, I., Andriamarisoa, R. & Buerki, S. (2020). Novelties from the Northern Mountains Complex of Madagascar V: A new threatened Pandanus (Pandanaceae) from the Kalobinono massif. Candollea 75: 99 – 105. https://doi.org/10.15553/c2020v751a10.
Davis, A. P. (2011). Psilanthus mannii, the type species of Psilanthus, transferred to Coffea. Nord. J. Bot. 29: 471 – 472.
____, Bridson, D. M. &. Rakotonasolo, F. (2005). A reexamination of Coffea subgenus Baracoffea and comments on the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Coffea and Psilanthus (Rubiaceae–Coffeeae).
In: R. C. Keating, V. C. Hollowell & T. Croat (eds), A festschrift for William G. D’Arcy: the legacy of a taxonomist. Monogr. Syst. Bot. 104: 398 – 420. MBG Press, Missouri.
____, Chadburn, H., Moat, J., O’Sullivan, R., Hargreaves, S. & Nic Lughadha, E. (2019). High extinction risk for wild coffee species and implications for coffee sector sustainability. Sci. Adv. 5: eaav3473.
https://doi.org/10.1126/sciadv.aav3473.
____, Chester, M., Maurin, O. & Fay, M. F. (2007).
Searching for the relatives of Coffea (Rubiaceae, Ixoroideae): the circumscription and phylogeny of Coffeeae based on plastid sequence data and morphology. Amer. J. Bot. 94: 313 – 329.
____, Govaerts, R., Bridson, D. M. & Stoffelen, P. (2006).
An annotated taxonomic conspectus of the genus Coffea (Rubiaceae). Bot. J. Linn. Soc. 152: 465 – 512.
____ & Rakotonasolo, F. (2001a).
Three new species of Coffea L. (Rubiaceae) from NE Madagascar. Adansonia, sér. 3, 23: 137 – 146.
____ & ____ (2001b).
Two new species of Coffea L. (Rubiaceae) from Northern Madagascar. Adansonia, sér. 3, 23: 337 – 345.
____ & ____ (2008).
A taxonomic revision of the baracoffea alliance: nine remarkable Coffea species from western Madagascar. Bot. J. Linn. Soc. 158: 355 – 390.
____, ____ & De Block, P. (2010).
Coffea toshii sp. nov. (Rubiaceae) from Madagascar. Nord. J. Bot. 28: 134 – 136.
____, Tosh, J., Ruch, N. & Fay, M. F. (2011).
Growing coffee: Psilanthus (Rubiaceae) subsumed on the basis of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implications for the size, morphology, distribution and evolutionary history of Coffea. Bot. J. Linn. Soc. 167: 357 – 377.
Gautier, L., Ranirison, P., Nusbaumer, L. & Wohlhauser, S. (2006).
Aperçu des massifs forestiers de la région Loky-Manambato. In: S. M. Goodman & L. Wilmé (ed.), Inventaires de la faune et de la flore du Nord de Madagascar dans la région Loky-Manambato, Analamerana et Andavakoera, pp. 81 – 99. CIDST, Ministère de l’Education Nationale et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Antananarivo.
Goodman, S. M., Raherilalao, M. J. & Wohlhauser, S. (eds) (2018).
The terrestrial protected areas of Madagascar: their history, description, and biota. Association Vahatra, Antananarivo.
Holmgren, P. K., Holmgren, N. & Barnett, L. C. (1990). Index Herbariorum. Part 1: The Herbaria of the World, 8th edn. Regnum Vegetabile. New York Botanical Garden.
IUCN (2012).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Second edition.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Gland and Cambridge.
https://portals.iucn.org/library/sites/library/files/documents/RL-2 001-001-2nd.pdf. Accessed 30 April 2020.
IUCN [Standards and Petitions Subcommittee] (2019). Guidelines for using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14. Prepared by the Standards and Petitions Subcommittee. https://nc.iucnredlist.org/redlist/content/attachment_files/RedListGuidelines.pdf
Maurin, O., Davis, A. P., Chester, M., Mvungi, E. F., Jaufeerally-Fakim, Y. & Fay, M. F. (2007).
Towards a phylogeny for Coffea (Rubiaceae): identifying well supported lineages based on nuclear and plastid DNA sequences. Ann. Bot. 100: 1565 – 1583.
Moat, J. & Smith, P. (2007). Atlas of the Vegetation of Madagascar. Royal Botanic Gardens, Kew.
Nusbaumer, L., Ranirison, P., Gautier, L., Chatelain, C., Loizeau, P.-A. & Spichiger, R. (2010).
Loky-anambato: point de rencontre des principales unités phytogéographiques de Madagascar.
In: X. Van Der Burgt et al. (ed.), Systématique et conservation des plantes Africaines, pp. 253 – 264. Royal Botanic Gardens, Kew.
Phillipson, P. B., Andriamahefarivo, L. D., Gautier L. & Lowry II, P. P. (2018).
Flora. Site 6. Loky Manambato.
In: S. M. Goodman, M. J. Raherilalao & S. Wohlhauser (eds),
The terrestrial protected areas of Madagascar: their history, description, and biota, pp. 534– 536. Association Vahatra, Antananarivo.
Randrianasolo, A. & Lowry II, P. P. (2009).
Four new species and one new combination in the Malagasy endemic genus Micronychia Oliv.
(Anacardiaceae). Adansonia, sér. 3, 31: 157 – 168.
Ranirison, P., Andriamiarantsoa, Y., Gautier, L. & Wohlhauser, S. (2018).
Vegetation. Site 6. Loky Manambato.
In: S. M. Goodman, M. J. Raherilalao & S. Wohlhauser (eds), The terrestrial protected areas of Madagascar:
their history, description, and biota: pp. 532 – 534. Association Vahatra, Antananarivo.
Schatz, G. E. & Lowry II, P. P. (2020).
Taxonomic studies of Diospyros L. (Ebenaceae) from the Malagasy region. IV.
Synoptic revision of the Squamosa group in Madagascar and the Comoro Islands. Adansonia, sér. 3,
42: 201 – 218.
Shorthouse, D. P. (2010).
SimpleMappr, an online tool to produce publication-quality point maps.
http://www.simplemappr.net. Accessed 1 March 2020.
Tahinarivony, J. A. & Callmander, M. W. (2018). Vegetation.
Site 10. Galoko-alobinono. In: S. M. Goodman, M. J. Raherilalao & S. Wohlhauser (eds),
The terrestrial protected areas of Madagascar: their history, description, and biota, pp. 587 – 589.
Association Vahatra, Antananarivo
Thiers, B. M. (2020).
Index Herbariorum: A Global Directory of Public Herbaria and Associated Staff.
New York Botanical Garden's Virtual Herbarium. http://sweetgum.nybg.org/science/ih/. Accessed 30 April 2020.
Wahlert, G. A. (2016).
Novelties from the Northern Mountains Complex of Madagascar IV: A new Rinorea Aubl. (Violaceae) of
restricted range from the Galoko and Kalabinono massifs. Candollea 71: 205 – 210.
Willis, F., Moat, J. & Paton, A. (2003).
Defining a role for herbarium data in red list assessments: a case study of Plectranthus from eastern and
southern tropical Africa. Biodiv. Conserv. 12: 1537 – 1552.
'Coffee Bota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페아 라코토나소로이, 코페아 몬티스-새크리 (0) | 2024.09.29 |
---|---|
코페아 마놈벤시스, 코페아 리아우디, 코페아 리로이 - 신종코페아 3가지 (2000) (2) | 2024.09.28 |
野生 시에라리온 커피(코페아 스테노필라)의 表現型 多樣性 (9) | 2024.09.04 |
코페아 브레비피스, 콘젠시스, 스테노필라 야생커피종 (2) | 2024.09.01 |
스테노필라 커피의 플레이버 테이스팅 (9) | 2024.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