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ffee Chemistry

커피빈의 蛋白質

by mjcafe 2025. 8. 1.

 

 

 18.1  Introduction

 

  •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는 商業的으로 栽培된 최초의 코페아屬(genus Coffea)의 種(species)이었으며, 따라서 커피 음료의 品質을 評價하는 準據가 되었다.
  • 커피 음료의 品質은
    재배 過程에서부터 콩의 貯藏, 加工, 로스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要因, 作用, 그리고 決定의 均衡에 의해 결정된다.
    ┌ 非遺傳的 要因과
    └ 遺傳的 要因 모두 커피 음료의 品質에 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 ┌ 土壤 肥沃度(Soil fertility),
    ├ 施肥(fertilization),
    氣候(climate),
    高度(altitude),
    植物 健康(plant health),
    收穫 시 열매의 成熟 段階(stage of fruit maturation),
    收穫後 加工(post-harvest processing), 그리고
    └ 遺傳的 背景(genetic background)이
         ⇒ 모두 커피 飮料의 品質에 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主要 要因의 예이다 [1–3].
  • 그러나 이러한 모든 要因의 結果
    콩들의 最終 化學的 組成(chemical composition)이며,
    이는 로스팅 過程에서 아로마와 플레이버가 發達하는 동안 劇的으로 변한다.

  • 커피 化學의 複雜性은
    아로마에서 식별되는 1,000개가 넘는 揮發性 化合物의 數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4,5].
  • ┌ 糖類(Sugars),
    ├ 아미노산(amino acids),
    ├ 펩티드(peptides),
    ├ 脂質(lipids),
    ├ 트리고넬린(trigonelline),
    ├ 클로로겐酸(chlorogenic acids),
    ├ 有機酸(organic acids), 그리고
    └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가 커피 品質에 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7].
  • 또한
    ┌ 아미노산(amino acids),
    ├ 펩티드(peptides),
    └ 蛋白質(proteins)은
    로스팅 過程에서 마이야르 反應(the Maillard reaction)을 통해 糖類와 相互作用하기 때문에 [11],
    커피 아로마 生成에 중요한 役割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6,8–10].
     
  • 지난 50년 동안 커피콩의 蛋白質 및/또는 아미노산 含量과 프로필에 대한 여러 보고서에서 이러한 化合物이 커피 플레이버에 중요하다는 것이 지속적으로 確認되었다 [9,10,12–14]. 
  • 그러나 이러한 硏究에 사용된 技術과 科學的 接近 方式이 改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모든 硏究는 相對的 重要性(構成比率 및 濃度)을 명확하게 把握하지 못했다. 
  • 문헌에는 C. arabica와 C. canephora 콩의 蛋白質 含量이 10–15%로 다양하게 보고되었지만, 이러한 差異는 蛋白質 含量 推定에 사용된 方法에서 비롯된다 [6,15]. 
  • 카페인과 트리고넬린에 대한 보정을 하면 건조 기준으로 약 11.5%의 평균값이 發見되고 
    C. arabica와 C. canephora 콩 사이에 유의미한 差異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6,15]. 
  • 總 커피콩 蛋白質의 3분의 1은 
    細胞壁의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s)에 결합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러한 蛋白質의 特性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없다. 
  • 대부분이 폴리페놀 酸化酵素(polyphenol oxidase) 및 過酸化酵素(peroxidases)와 같은 酵素(enzymes)일 가능성이 높으며, 蛋白質의 대부분은 細胞質에 남아 있다 [15].

  • 遊離 아미노산(free amino acids) 含量은
    C. arabica C. canephora 品種에서 0.15~2.5%로 蛋白質보다 훨씬 낮다 [6,15].
    그럼에도 불구하고, 遊離 아미노산은 커피 플레이버 發達과 關聯된 가장 중요한 化合物 그룹이다 [6].
  • C. canephora 品種은
    C. arabica
    에 비해 glutamate를 제외한 모든 遊離 아미노산 含量이 더 높다 [6]. 
  • 몇가지 다른 보고서들에서는 커피콩의 酸化還元 狀態(redox status)와 蛋白質 및 커피 品質과의 關係에 대한 探究를 說明했다. 특히 C. arabica의 化合物 중 약 5~7.5%를 차지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s)에 주목했으며, 다른 Coffea 種의 커피콩에서는 더 높은 水準에 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6]. 
  • 초기 硏究에서는 폴리페놀 酸化酵素(enzyme polyphenol oxidase)가 이러한 페놀산들(phenolic acids)을 퀴논(quinones)으로 酸化시키고, 이는 다시 蛋白質과 反應하여 최종 콩  品質과 결과적으로 飮料에 影響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9,13,16]. 
  • 최근 모델링 硏究에서는 C. arabica 蛋白質이 클로로겐산과 相互作用하기 더 쉽고 폴리페놀 酸化酵素 活性이 이 過程에서 중요한 役割을 한다는 것이 確認되었다 [17].

  • 커피 品質을 包含한 食品 品質 決定에 있어 마이야르 反應(the Maillard reaction)의 重要性은 잘 알려져 있지만,
    高品質 커피를 選拔/育種하기 위한 遺傳學 硏究에서는 蛋白質이 看過되어 왔다 [1,18]. 
  • 카페인(Caffeine), 트리고넬린(trigonelline), 수크로오스(sucrose),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s)은 硏究에서 가장 자주 보고되는 化合物인데, 이는 定量化가 容易하고 蛋白質의 化學的 複雜性을 갖지 않기 때문일 것으로 推定된다.
  • 이러한 特性을 이해하는 간단한 方法
    커피 種子 蛋白質의 2次元 겔 電機泳動(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을 통해
    複雜性을 觀察하는 것이다 [8,9,19]. 
  • Thaler & Gaigl [2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Clifford [6]는 
    커피콩의 水溶性 蛋白質(water-soluble proteins)(알부민 分劃)의 아미노산 프로필(amino acid profile)이
    總 蛋白質 프로필(profile of the total proteins)과 類似하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 이러한 類似性은
    커피콩에서 가장 풍부한 蛋白質
    11S-글로불린 種子 貯藏 蛋白質 (11S-globulin seed storage protein)이기 때문에 豫想할 수 있다 [8,21,22].
     

 

  • 아미노산 타입 뿐만 아니라 炭水化物도 Maillard 反應에서 발달되는 플레이버와 아로마에 役割을 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23]. 
  • 蔗糖(Sucrose)은 
    커피콩의 主要 可溶性 糖이지만, 열매의 成熟 段階에 따라 果糖(fructose)과 葡萄糖(glucose)이 상당량 존재할 수 있다 [3]. 
  • 라피노스(raffinose), 스타키오스(stachyose), 리보스(ribose), 만노스(mannose), 갈락토스(galactose)와 같은 低分子量 炭水化物도 커피콩에서 보고되었다 [15,24]. 
  • 蔗糖 含量은 커피콩마다 크게 다를 수 있으며, C. arabica 콩의 경우 4.6~8.6 사이의 값이 보고되었다 [15]. 
  • 커피콩은 또한 건조 중량의 40~50%를 차지하는 多糖類(polysaccharides)가 풍부하다 [25]. 
  • 평균적으로 多糖類는 
    ┌ 만난(mannans) 50%,
    ├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 30%,
    ├ 셀룰로오스(cellulose) 15%,
    └ 펙틴(pectin) 5%로 구성된다 [24].
  • 低分子量 糖은 로스팅 過程에서 점진적으로 破壞된다.
  • 그러나 多糖類로부터 單糖類(monosaccharides)의 形成은 유의미한 速度로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더 복잡한 構造를 形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5].
  • 低分子量 糖과 마찬가지로, 온전한 多糖類와 이러한 複合 炭水化物은 遊離 아미노산, 펩티드 및 蛋白質과 反應할 수 있다. 이러한 複雜性으로 인해 각 炭水化物과 아미노산이 커피의 플레이버와 아로마 發達에 중요한 役割을 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각각의 役割을 정확하게 규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커피의 플레이버와 아로마 發達에 蛋白質이 관여한다는 보고가 여러 건 발표되었고, 
    Clifford [6,15]와 De Castro and Marraccini [26]가 이를 리뷰했다. 
  • 그러나 
    11S reserve protein [8,21,22]과 
    다양한 커피 종에서의 貯藏 蛋白質 [27], 
    펩티드 [28], 그리고 
    프로테아제(proteases)[28]의 生化學 및 分子的 調節에 대한 몇몇 논문을 제외하고는
    커피 蛋白質과 커피 品質과의 關係에 대한 硏究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 특정 酵素에 대한 몇몇 硏究가 발표되었지만, 品質 發達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16,29,30]. 
  • 2003년에 두 가지 예외가 발표되었다. 
  • Montavon et al. [6]은 
    熟果(maturation)에 따른 蛋白質 프로파일의 變化를 보고하고 이를 컵 品質과 연관시켰으며, 
  • Montavon et al.[15]은 
    로스팅 중 커피 蛋白質 프로파일의 變化에 대해 보고했다. 
  • 우리가 아는 한, Homma [31]는
    커피 아미노산과 蛋白質에 대한 章을 할애한 마지막 리뷰를 썼지만 두 페이지도 채 되지 않는다. 
  • Flament [32]의 책에는 아로마 形成에 있어 蛋白質의 重要性이 言及되었지만 蛋白質에 대한 章이 없다. 
  • 최근 Hwang et al. [33]은 
    ⇒ 커피 로스팅 중 揮發性 化合物 形成에 대한 蛋白質의 影響을 硏究했다. 
    미네랄 오일 욕조를 사용하는 간단한 로스팅 裝置를 설치하여 著者는 
    蛋白質이 로스팅 중 蔗糖 分解를 增加시키고 
    더 많은 量의 蛋白質이 더 밝은 색상의 로스팅 커피를 生成한다는 結論을 내릴 수 있었다. 

  • 本 章에서는 Clifford [6,15]의 리뷰 이후 발표된 最近 文獻에 특히 주목한다. 
    대부분의 보고는 어떤 식으로든 11S 貯藏 蛋白質(11S reserve protein)과 關聯이 있다. 
    또한, 프로테아제(proteases)의 役割도 論議한다.

 

 18.2  The 11S Seed Storage Protein of Coffee

 

  • 11S seed storage protein (種子 貯藏 蛋白質)이 C. arabica 콩으로부터 클로닝되었으며 잘 特性 分析되었다 [8,21,22].
  • 선행 보고들에 따르면 SDS-PAGE 電機泳動에서 2개의 주요 밴드가 우세했으며 [12,13,34,35],
    Luthe [36]는 이것이
                        legumin-like protein (레구민-類似 蛋白質)의 α-서브유닛과 β-서브유닛이라고 提示했다.
  • Acuña et al. [21]
    C. arabica 品種인 Colombia의 種子로부터 명백한 分子量이 55 kDa인 11S globulin을 分離해냈으며,
    變性 條件(SDS-PA GE)에서 22 kDa (β-arm)와 33 kDa (α-arm)의 두 폴리펩티드로 절단했다.
    分子的 特性 分析 結果 커피 레구민(coffee legumin)에는
        추정 레구민 박스(legumin box)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Rogers et al.[8]은 
    C. arabica 品種 Caturra에서 抽出한 11S 커피 蛋白質을 더 잘 特性分析하기 위해
    2D-electrophoresis (電機泳動)과 
         아미노산 마이크로시퀀싱(amino acid microsequencing)을 사용했다.
    그들은 α- 및 β-서브유닛들로 식별된 여러 풍부한 폴리펩티드들을 시퀀싱하여
        그 蛋白質이 다른 동형(isoforms)을 가지고 있음을 提示했다.
    이 폴리펩티드들을 Acuña et al. [21]에서 설명한 것과 비교한 결과,
         序列 간에 23개의 아미노산이 달랐기 때문에 동형의 存在를 뒷받침했다.
    다른 植物의 11S 貯藏 蛋白質과의 類似性으로 인해, Rogers et al. [8]은
        이 蛋白質이 커피에서 貯藏 技能을 가지고 있다고 提示했다.
    이 發見은 C. arabica의 씨앗에서 發芽하는 동안
         α- 및 β-서브유닛의 레벨이 減少한다는 것을 보여준
         Shimizu &  Mazzafera [37]에 의해 추가로 確認되었다.  
  • Rogers et al. [8,15]에 따르면, 
    11S 蛋白質은 커피 胚乳(endosperm)의 總 可溶性 蛋白質의 약 45%를 차지하지만, 
    胚芽(embryos)에서 發見된 蛋白質의 2D-電機泳動에서도 2개의 서브유닛들이 檢出되었다. 
    胚乳에서 우세한 蛋白質이기 때문에, 클로닝된 11S 코딩 序列의 추론된 아미노산 組成은 
        黃-含有 아미노산(methionine 및 cysteine)이 커피콩의 총 蛋白質에 소량 존재한다는 以前 結果를
        確認시켜 주었다.
    Glutamate/glutamine (글루탐산/글루타민)과
        aspartate/asparagine (아스파르트산/아스파라긴)이
        커피 11S 蛋白質과 커피콩의 總 可溶性 蛋白質 分劃의 주요 아미노산이다. 
  • 특정 프로모터(promoter)가 커피콩에서 11S 遺傳子의 發現을 制御한다 [22].
  • Rogers et al. [8]은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이 csp1에 의해 코딩되는 20개 아미노산 중 각각 1.1과 0.2에 불과하다는 것을 發見했다.
  • Thaler & Gaigl [20]은
    메티오닌이 브라질 아라비카 커피의 總 蛋白質과 알부민 分劃에서
    가장 풍부하지 않은(2.38%) 아미노산이라는 것을 發見했다.
  • 시스테인은 分析되지 않았다.
    2개의 시스테인 殘基가 11S 커피 蛋白質의 α- 및 β-서브유닛 사이의 二黃化物 브릿지(disulfide bridge) 形成에
    關與하는 것으로 提示되었다 [8]. 
  • 黃-含有 아미노산은
    커피 로스팅 중 飮料의 맛과 香 發達에 중요하기 때문에,
    11S 蛋白質의 遺傳的 變異性을 調査하여
    시스테인과 메티오닌 含量이 더 높은 蛋白質을 分離하는 것이 有用할 것이다 [8]. 

 

 18.3  A Family of 11S Protein of Coffea

 

  • C. arabica와 
    C. canephora 品種인 Robusta 콩에서 分離한 蛋白質의 2次元 電機泳動 프로파일은 서로 다르다 [8].
  • 다른 펩티드들이 前驅體로 確認되었을 뿐만 아니라, α- 및 β-arms의 해당 그룹도 프로파일에 나타났다. 
  • 이들은 質量이 약간 더 높고 酸性 pIs가 더 높았다.
  • 흥미롭게도, Robusta 品種의 모든 콩이 이러한 蛋白質 特性을 보인 것은 아니다.
  • Baú et al.[27]
    SDS 單次元 電機泳動을 사용하여 여러 C. arabica 品種들과 다른 Coffea 種의 蛋白質을 調査했다.
    C. Arabica의 Typica, Maragogipe, Catuaí, Mundo Novo, Cera 및 Caturra 品種에서
        각각 나무 세 그루 씩을 硏究한 결과, 매우 類似한 蛋白質 프로파일을 보였으며, 37.6 ± 3.3 및 20.9 ± 1.4 kDa의
        두 밴드가 뚜렷했다.
    ⇒ 
    Catuaí와 Caturra는 矮性 品種(dwarf varieties)이고,
        Maragogipe는 큰 콩을 가지고 있으며,
        Cera는 노란 콩을 가지고 있고,
        Mundo Novo는 Typica에서 유래한 Bourbon 品種의 돌연변이이다 [38–42].

  • Baú et al.[27]은 
    C. eugenioidesC. canephora variety Kouillou (또는 Conillon)의 세 나무들과,
        C. racemosa, C. bukobensis, C. kapakata, C. liberica, C. dewevrei, C. stenophylla,
        C. salvatrix, C. klainii, C. laurentii의 각 나무 한 그루를 分析했다 (Figure 18.1).
    蛋白質 含量의 變化 외에도,
        C. racemosa의 4.7%에서 C. liberica의 9.1%로
        蛋白質 프로필, 즉 두 서브유닛의 質量과 서브유닛의 數 모두에서 큰 변차가 觀察되었다.
    예를 들어, 세 그루의 C. eugenioides 나무 중 plant 2 (레인 16)에는 추가 α-서브유닛이 있었다.
    C. canephora var. Kouillou 나무 70/9 (7번 레인)는 
        분명히 추가적인 α- 및 β-서브유닛을 가지고 있었다. 
    C. Racemosa (2번 레인) 프로파일은 가장 달랐는데, 약 12 kDa의 강한 밴드를 보였다.
    또한, α-arm 위치에서 밴드가 檢出되었지만, 
        β-arm의 겉보기 質量에서는 밴드가 觀察되지 않았다.

  • Bandil et al.[43]
    두 가지 다른 發達 段階에서 C. arabica 콩의 2D 電機泳動 프로파일을 生成했다 :  
    1단계는 細胞分裂과 胚乳 周圍의 伸張이고, 
    2단계는 胚乳의 初期成長이 外胚乳(perisperm)를 점진적으로 代替하는 段階이다. 
    2段階에서는 6개의 蛋白質만 差等的으로 發現되었는데,
                           그 중 4개는 에너지 代謝와 關聯이 있었고,
                           하나는 타우마틴(thaumatin),
                           다른 하나는 11S로 確認되었다.  

 

 

 18.4  2S Protein of Coffea

 

  • Lin et al. [44]은 
    C. canephora 열매에서 
    2S-type 蛋白質을 코딩하는 遺傳子를 優性 轉寫體(dominant transcript)로 確認했다.
    두 번째로 많이 發現되는 遺傳子는 11S reserve protein과 關聯이 있었다. 
    이 硏究에서는 잎, 果皮, 씨앗과 果皮가 섞인 어린 체리, middle-stage 씨앗 및 late-stage 씨앗의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EST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흥미롭게도 2S 遺傳子는 열매 成熟 중에 一時的 發現을 보였다 [21] ; 
         ESTs는 early stage에서,
         1037개는 middle stage에서,
         139개는 late stage에서 發見되었으며,
    이는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98.2% (1219개 ESTs 중 1197개)를 차지했다.
    그러나 11S 遺傳子는 early stage (28) 및 middle stage (244)에 비해 
                                      late stage(412)에서 가장 높은 轉寫體 數를 보였다.
    2S 遺傳子는 토마토, 참깨, 해바라기, 브라질 너트의 2S 蛋白質과 
                           가장 높은 類似性을 보였다 (類似性이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 Mondego et al. [45]
    Lin et al. [44]이 수행한 C. canephora 硏究에서 얻은 8개의 EST 라이브러리와
        브라질 커피 게놈 프로젝트[46]에서 얻은 43개의 C. arabica 라이브러리를 結合했다.
    브라질 프로젝트의 소스는
        주로 두 가지 C. arabica 品種 (cv. Rubi의 發芽 種子를 除外한 Catuai와 Mundo Novo)과
        한 가지 C. canephora 遺傳子型(Conillon)이었다.

  • Lin et al. [44]의 硏究에서
    소스는 다섯 가지 다른 C. canephora 遺傳子型이었다.
    C. Canephora와 마찬가지로 
        참깨의 2S 蛋白質과 相同하는 2S 遺傳子가 C. arabica에서 높게 發現되었다.
    이 遺傳子는 다섯 번째로 많이 發現되는 遺傳子였으며, 
                          4개의 라이브러리에서 發見되었고 1271개의 EST로 表現되었다.
    11S 遺傳子는 C. arabica에서 가장 많이 發現되는 20개 遺傳子에 包含되지 않았다.
    안타깝게도 브라질 커피 게놈 프로젝트에는 열매의 發達 段階를 구분하는
                        열매 전용 라이브러리가 없었다.
    FR1과 FR2 라이브러리는 
        Mundo Novo에서 꽃봉오리 + 핀헤드 열매 + 각기 다른 단계의 열매로 기술되었다
        (FR1과 FR2 라이브러리). 
    2S 蛋白質과 關聯된 대부분의 ESTs는 이 라이브러리에서 發見되었다.

  • C. racemosa는 브라질 EST 프로젝트에서도 硏究되었다 [46]. 
    열매들에서 抽出한 두 라이브러리는 “FR4–fruits”와 “FV2 – stages 1, 2, 3"로 기술되었다.
    C. racemosa의 EST에 대한 追加 情報는 없지만, 
        브라질 EST 프로젝트(http://bioinfo03.ibi.unicamp.br/cafe/)에서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Electronic Northern을 檢索한 결과,
    2S 遺傳子가 가장 많이 發現되는 20개 遺傳子 중 하나였으며
        참깨의 2S 蛋白質과 相同性을 보였다.
    11S 遺傳子는 C. racemosa의 EST에서 發見된 遺傳子에 包含되지 않았다.
    다른 더 많이 發現되는 遺傳子는 주로 
         ┌ 防禦(chitinases, chaperones, lipid transfer proteins),
         ├
    光合成(Rubisco small unit,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
         ├ 酸化還元 反應 調節(catechol oxidase),
         ├ 燐酸 代謝(acid phosphatase가 가장 많이 發現되는 遺傳子),
        └
    물 輸送(aquaporins)과 같은 過程과 關聯이 있었다.

  • 참깨 2S reserve protein의 分子量은 13~15 kDa이며 [47], 
    이는 C. racemosa의 電機泳動 프로파일 (Figure 18.1 - Baú et al. [27]) 및
               브라질 EST 프로젝트(Mazzafera, 未公開 資料)에서 發見된 뉴클레오티드 시퀀스의
               번역된 오픈 리딩 프레임의 주요 蛋白質 質量과 類似하다.
    이 EST 데이터베이스의 序列 分析 결과, 
        C. racemosa에는 두 가지 同型蛋白質(Mazzafera, 未公開 資料)가 存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Coelho et al.[48]의 결과와 一致한다.
    이 著者들은
        C. arabicaC. racemosa의 成熟한 種子에서 두 段階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legumin-like proteins를 정제하고,
        각 種에서 각각 CaL-1과 CaL-2, CrL-1과 CrL-2라는 두 개의 分劃을 分離했다.
    變性 電機泳動(Denaturing electrophoresis) 결과,
        CaL-1은 33 kDa와 24 kDa의 2개의 뚜렷한 밴드로 構成되어 있음을 確認했다.
        CaL-2, CrL-1, rL기-2는 apparent molecular mass가 14 kDa인 單一 蛋白質 밴드를 보였다.
        그러나 CaL-2, CrL-1, CrL-2의 아미노산 組成은 상당히 달랐다.
  • Coelho  et al. [48]
    인공 사료를 사용한 用量-反應 實驗에서
    Callosobruchus maculatus의 幼蟲 發達이 統計的으로 有意味하게
        減少하고 사망률이 增加하는 것을 觀察했기 때문에,
    C. racemosa의 2S legumin-like protein이
        이 種의 coffee berry borer Hypothenemus hampei [49]에 대한 抵抗性에 關與할 수 있다고 提示했다.
    이러한 측면에서, C. arabica가 이 昆蟲에 민감한 이유는 
        C. racemosa의 2S 蛋白質과 比較했을 때
        2S 蛋白質의 아미노산 序列이 다르고 種子에서 發見되는 量이 적기 때문일 수 있다.
  • 또한, Lin et al.의 EST 硏究 [44]
    H. hampei에 취약성이 있는 C. canephora 콩의 成熟 過程에서
        2S 轉寫體가 減少하고 11S 轉寫體가 增加함을 보여주었다.

 

 18.5  Peptides and Proteases

 

  • 여러 타입의 커피에서 遊離 아미노산의 組成이 硏究되었으며, 아로마 前驅體로서의 役割은 잘 알려져 있다.
  • 펩티드는 이와 같은 關心을 받지 못했다.
  • Ludwig et al. [28]
    여러 C. arabica 샘플에서 평균적으로 펩티드가 乾燥 重量의 약 0.59%,
        C. canephora 샘플에서 0.43%임을 發見했다.
    아미노산과 蛋白質이 提擧된 샘플을 2D-PAGE로 分離하여 
        分子量이 4~10 kDa인 30개의 펩티드를 識別했다.
    C. arabicaC. canephora 빈들은
        2D 電機泳動 프로파일이 달랐으며,
        total protein 및 11S reserve proteins와 마찬가지로
        메티오닌(methionine)이 펩티드들 중 가장 풍부하지 않은 아미노산이었다.
    ┌ Glutamic acid/glutamine, 
        ├ aspartic acid/asparagine 그리고
        └ glycine은
            두 종류의 커피 모두에서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이었다.
    펩티드는 5명의 센서리 느낌을 이용한 모델 로스팅 실험에서 덱스트로스(dextrose)와 함께 녹였고, 
        커피의 아로마 形成에 있어서의 役割을 確認했다.
  • Ludwig et al. [28]
    또한 겔 電機泳動 후 活性 染色을 사용하여
        커피 蛋白質 抽出物의 蛋白質 分解 活性을 檢定했고 모든 커피 샘플에서 최소 5~7개의 活性 밴드를 發見했다.
    이들의 活性은 세린(serine) 및 펩신 프로테아제(pepsin protease) 抑制劑에 의해 減少되지 않았지만,
                            요오드아세트아미드(iodoacetamide)는 명확한 減少를 招來했다.
    매우 중요한 觀察은 蛋白質 分解 活性이 貯藏된 커피 콩에서 수개월 동안 安定的이라는 事實이었다. 
    그러나 1년 동안 貯藏된 원두의 아미노산 프로필은 
        글루타민(glutamine)의 減少를 제외하고는
        總 蛋白質 아미노산 含量(total content of protein amino acids)이나
    대부분의 個別 아미노산 濃度를 크게 變化시키지 않았다는 점이 흥미롭다 [50].
  • 따라서 커피의 11S 蛋白質이 發芽 중에 分解되기 때문에
    蛋白質分解 活性(proteolytic activity)이 觸發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37]. 

  • Montavon et al. [9]은 
    분말 콩의 無酸素 培養(anoxic incubation)이 아닌 
        有酸素 培養(aerobic incubation)이
        11S reserve protein의 斷片化(fragmentation) 또는 消化(digestion)와
        遊離 아미노산의 放出을 促進한다는 것을 觀察했다.
    有酸素 條件에서 11S reserve protein의 α-subunit은 
        抽出物에서 즉시 사라졌지만 β-arm은 부분적으로 保存되었다.
    이러한 結果는 
        蛋白質分解 消化(proteolytic digestion)보다는 酸化 過程(oxidative process)을 시사하지만,
    著者들은
        酸化가 蛋白質 構造를 變化시키고
                  活性 蛋白質 分解 酵素(active proteases)에 대한 敏感度를 增加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 Lepeley et al. [51]는 
    C. canephora 콩에서 두 가지 시스테인 프로테아제(cysteine proteases)의 
        遺傳子 序列(gene sequences)을 分離하여
        열매 熟果(fruit maturation)에 따라 發現(expression)이 增加함을 보였다.
    그러나 CcCP1의 發現 水準은 CcCP4의 發現 水準보다 600% 더 높았다.

  • Abreu  et al. [52]
    브라질 EST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프로테아제 시퀀스들을 檢索했다.
    그들은 C. arabica 組織으로 만든 모든 라이브러리에서 
        41개의 遺傳子(콘티그)를 찾았고,
        蛋白質 도메인을 基盤으로 34개가 시스테인 프로테아제(cysteine proteases),
        6개가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aspartic proteases), 그리고
        1개만 세린 프로테아제(serine protease)로 確認되었다.
    14개의 遺傳子는 열매 라이브러리에만 存在했으며, 
        3개의 시스테인 프로테아제(CaCP1, CaCP4, CaCP23)와
        1개의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CaAP2)를 追加 硏究를 위해 選擇했다.
    CaCP4, CaCP23 및 CaAP2의 發現 프로파일은 
        成熟 열매보다 未成熟 열매에서 더 많이 發現되는 반면, CaCP1의 경우 반대 경향이 觀察되었다 [52].
    번역된 序列로 구축된 系統樹(Phylogenetic trees)는 
        CaCP1과 CaCP4가 각각 CcCP1 및 CcCP4와 매우 類似함을 보여주었다. 
    CaCP1, CaCP4 및 CaCP23은 서로보다 다른 種의 蛋白質 分解 酵素와 더 밀접한 關聯이 있었다. 
    CaAP2는 C. canephora에서 分離된 CcAP2와 매우 類似했으며 [53], 
        둘 다 CcAP1과 완전히 달랐다.

  • 브라질 EST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序列이 우세하고 未成熟 열매에서 가장 높게 發現된다는 사실은
    activity assays와 일치한다 [52].
    겔 活性 分析(gel activity assays) 결과,
       
    未熟豆에서 얻은 蛋白質 抽出物에서 가장 높은 活性이 發見되었으며,
        요오드아세트아미드(iodoacetamide) 처리 후 이 活性이 강하게 抑制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Ludwig et al.[28]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 흥미롭게도 Abreu et al. [52]
      세린 프로테아제 活性(serine protease activity)을 검출했는데,
      이는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에 의해 抑制되었지만,
         커피 EST 데이터베이스에서 프로테아제를 검색하는 동안
         세린 프로테아제 遺傳子를 確認하지 못했다.
    이러한 불일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러한 硏究에 사용된 品種의 特性, 조사된 發達 단계 및 열매 收穫 場所가 논거로 사용되었다.
  • Abreu et al. [52]은 
    브라질의 두 곳에서 샘플을 수집하고, 
        프로테아제 活性 및 關聯 遺傳子 發現 외에도
        蛋白質 및 遊離 아미노산 含量을 分析하여 아미노산 프로파일을 生成했다.
    샘플은 상파울루 주의 아다만티나(Adamantina)와 모코카(Mococa)에서 蒐集되었는데, 
        두 地域은 氣溫 差異가 뚜렷하고 독특한 品質의 커피를 生産한다.
    모코카는 서늘한 地域으로 커피 品質이 더 좋다.
    전반적인 결과는 높은 기온이 낮은 品質과 높은 프로테아제 活性과 關聯이 있음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같은 지역에서 灌漑의 影響을 조사한 선행 보고서[54]에서도 뒷받침된다.
  • 4가지 灌漑 處理를 거친 C. arabica 나무의 蔗糖, 還元糖, 澱粉, 總 페놀性 物質, 클로로겐산(5-카페오일퀸산), 카페인, 脂質, 蛋白質, 遊離 아미노산 및 窒素 含量과 프로테아제 및 폴리페놀 酸化酵素의 活性에 대한 主成分 分析(PCA) 결과, 灌漑보다는 溫度가 品質에 影響을 미치는 主要 要因인 것으로 나타났다.  

 

 18.6  Does Coffee Have Bioactive Proteins and Peptides?

 

  • 生理活性 蛋白質과 펩티드는 
    窒素源으로서의 役割 外에도 
    生理學的 重要性에 대해 많은 食品 供給源에서 硏究되어 왔다.
  • 우유, 옥수수, 생선, 밀, 쌀, 대두 등 여러 食品 供給源에서 發見될 수 있으며 [55,56],
    肯定的 및 否定的 生理的 效果의 範圍가 매우 넓다 [57].
  • 蛋白質과 펩티드의 生理活性的 役割과 營養學的 影響에 대한 情報는 지난 몇 년 동안 상당히 增加했다 [58].
  • 蛋白質의 크기 때문에,
    손상되지 않은 蛋白質은 人間의 胃腸管에 吸收되지 않아 生理的 作用이 制限된다.
  • 그러나 다른 식품 공급원에도 존재하는 펩티드와 蛋白質 消化로 生成되는 펩티드는
              더 작고 吸收될 可能性이 높아 다양한 生利活性을 나타낼 수 있다 [58]. 
  • 안타깝게도 機能性과 構造的 特性 간의 關係에 대한 知識은 아직 不足하다.

  • 커피의 蛋白質과 펩티드의 生理活性에 관한 情報는 없다.
  • Farah [59]는
    카페인, 트리고넬린, 클로로겐산, 테르펜, 纖維質, 지질, 미네랄, 탄수화물 및 其他 化合物을 包含하여 커피의 여러 生理活性 成分을 나열했지만, 蛋白質과 펩타이드는 包含되지 않았다.
  • 커피는 抽出 前에 로스팅되므로 蛋白質 프로필이 크게 변경된다 [9,10].
    커피를 로스팅하는 데 사용되는 온도에서는 
        蛋白質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破壞될 뿐만 아니라
        11S 커피 貯藏 蛋白質에서 觀察된 것처럼 펩티드가 放出된다 [10].
  • 몇몇 “omic" 스터디들을 包含하는 "푸드오믹스"의 글로벌 觀点을 기반으로,
    蛋白質 "digestomics (消化體學)"은 식품에서 蛋白質과 펩티드의 機能을 硏究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提案되었다 [60].
  • 커피 硏究는 이 이니셔티브를 통해 이익을 얻어야 한다.
  • 최근 출간된 책에서는 커피 成分의 利點과 危險을 포괄적으로 다루었지만
                                   蛋白質과 펩티드에 대한 章은 없었다 [61].
  • 따라서 커피 蛋白質 硏究에는 공백이 있는 것이 분명하며,
    本 章에서 인용된 프로테오믹스(proteomic) 硏究를 통해
    生成된 知識을 擴張하고 이러한 노력을 健康 硏究와 결합해야 한다.
      

 18.7  Conclusion

 

  • 많은 보고서에서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아로마와 플레이버 形成에 
    蛋白質, 펩티드, 아미노산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 그러나 이러한 情報는 不足하며 대부분 成熟한 콩들을 사용하여 얻어졌다.
  • 이용 가능한 誘電體 情報[44–46]와
    잘 계획된 프로테옴 實驗(proteome experiment)의 데이터를 연관시키는 것이
    커피 콩의 蛋白質을 識別하는 戰略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 이상적으로 이러한 實驗은
    컵 品質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品種의 C. arabica 콩을 사용하거나,
    Abreu et al. [52]과 Silva et al. [54]의 硏究에서 提示된 것처럼
    氣候條件에 의해 品質이 影響을 받는 최소 두 곳에서 재배된 동일 品種의 C. arabica 콩들을
    사용하여 수행해야 한다.
  • 안타깝게도 Bandil et al. [43]이 수행한 프로테옴 硏究는 두 가지 發達 段階만 分析했다.
  • 따라서 제안된 硏究에서는
    成熟에 가까운 여러 단계의 열매에서 抽出한 콩들과
    最適 및 最適이 아닌 條件에서의 貯藏이 品質 低下를 誘發하는 影響을 考慮해야 한다.
  • 또한, 프로테아제 活性度도 追跡해야 한다.

  • 이러한 實驗이 
    커피 콩 總 蛋白質의 45%를 차지하는 11S 蛋白質과 같은 蛋白質이 
    커피 아로마와 플레이버 發達에 어떻게 關與하지에 대한 모든 의문에 답할 수는 없겠지만, 
    이용 가능한 情報를 戀結하고 
    커피 品質 硏究의 새로운 方向을 提示할 수 있는 탄탄한 基盤을 提供할 것이다.
  • 2S 遺傳子는 커피 콩 熟果 過程에서 고도로 發現되므로 2S 蛋白質 또한 고려해야 한다.
  • 炭水化物이 이러한 狀況에서 중요한 役割을 한다는 점도 認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竝行 硏究도 遂行해야 할 것이다.
  • 또한, 커피 蛋白質과 펩티드의 生理的 效果를 규명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 적당한 양의 커피 攝取는 人體 健康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다른 많은 食品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效果의 일부는 이러한 化合物과 關聯이 있을 수 있다. 

 

 Reference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