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1

코페아 마놈벤시스, 코페아 리아우디, 코페아 리로이 - 신종코페아 3가지 (2000) 마다가스카르 3가지 신종 코페아(Rubiaceae)   Summary마다가스카르 (Madagascar) 동부로부터의 Coffea L.의 새로운 種 3가지가 記述된다 :  🌿 코페아 마놈벤시스 (C. manombensis), 🌿 코페아 리아우디 (C. liaudii) 🌿 코페아 리로이 (C. leroyi)  Introduction본고에서는 2개의 미공개 Coffea 이름을 새로운 종으로 記述한다. 최근 마다가스카르 남동부에서 현장 조사 중에 발견된 세 번째 새로운 종(Coffea manombensis)도 記述한다. 이 세 가지 새로운 종은 마다가스카르 동부의 상록 습윤림에서 발견된다.    NOTES ON THE DESCRIPTIONS  AND SPECIMENS EXAMINED 여기에서 기술하는 세 .. 2024. 9. 28.
코페아 퍼스튤라타, 코페아 마이크로두바르디, 코페아 루피콜라, 코페아 칼만데리, 코페아 다라이넨시스, 코페아 칼로비노넨시스 6가지 신종 커피(코페아) - 마다가스카르 북부 Summary 과학계에 새로운 6종의 코페아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 코페아 칼만데리 (Coffea callmanderi),  🌲 코페아 다라이넨시스 (C. darainensis),  🌲 코페아 칼로비논엔시스 (C. kalobinonensis),  🌲 코페아 마이크로두바르디 (C. microdubardii),  🌲 코페아 퍼스튤라타 (C. pustulata),  🌲 코페아 루피콜라 (C. rupicola).6종 모두 마다가스카르 북부 고유종이며, 4종은 특정 산림 지대에서만의 제한적 토착종이다. 분포도, 보호 평가, 생물계절학, 분류학적 주석을 포함한 관련 정보가 제공되고, 2종은 선화로 그려져 있다.   Introduction 마다가스카르 (.. 2024. 9. 16.
野生 시에라리온 커피(코페아 스테노필라)의 表現型 多樣性 Abstract 커피는 시에라리온의 주요 현금 및 수출 작물이며 주로 남부 및 동부 지방에서 재배된다.케네마(Kenema), 카일라훈(Kailahun), 모얌바 (Moyamba), 보(Bo), 푸제훈(Pujehun) 및 코노(Kono)는 이 나라의 주요 커피 재배 지역이다.본 연구는 케네마 및 모얌바 지역의 희귀하고 야생인 Coffea stenophylla의 표현형 다양성 범위를 살펴본다.섀넌-위버 다양성 지수(Shannon-Weaver diversity index, H’)는 관찰된 13가지 형태적 특성에 대한 샘플 간의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과일 색상과 꽃받침 지속성 (calyx limb persistence)의 경우 0에서 주줄기(main stem)의 1차 가지(primary branches) .. 2024. 9. 4.
코페아 브레비피스, 콘젠시스, 스테노필라 야생커피종 3가지 야생커피종 (코페아 브레비피스, 콘젠시스, 스테노필라)의 잠재적 음료품질과 작물 이용의 고려사항 Abstract  배경: 알려진 130가지의 커피(Coffea) 種 중에서 음료 품질에 대해 적절하게 평가된 種은 매우 적다. 야생 커피 종의 다양성은 특히 기후 변화에 따른 커피 부문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과제는 현재와 미래의 변화하는 기후 조건과 플레이버에 대한 소비자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농경적 기준을 충족하는 커피 작물을 찾는 것이다. 우리는 4개의 독립적인 센서리 패널을 통해 3種의 야생 커피 종의 센서리 특성과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이러한 야생 종의 주요 환경/농업적 요구 사항을 평가했다. 결과: Coffea congensis와 C. stenophylla는 C. ara.. 2024. 9. 1.
스테노필라 커피의 플레이버 테이스팅 ‘Forgotten’ coffee species 과학자들은 서아프리카의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커피 종인 코페아 스테노필라 (Coffea stenophylla)가 기후 변화 속에서 맛있는 커피의 미래를 보장할 잠재력이 있다고 밝혔다. 앞선 포스트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2018년 야생에서 다시 발견된 이 스테노필라 커피는 고온에 대한 내성과 뛰어난 풍미라는 독특한 조합을 가지고 있어 기후 변화에 취약한 커피 산업에 생명줄을 던졌다고 표현되었다. Nespresso & 제이콥스 도우웨 에그버트 (JDE)의 패널리스트와 함께 한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테이스팅  결과, 스테노필라 커피의 플레이버는 스페셜티 커피 기준은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4월 19일 Nature Plants誌에 『 Arab.. 2024. 8. 30.
스테노필라 커피 (Coffea stenophylla)의 재발견 2018년 그리니치 대학교 농생태학 교수인 Jeremy Haggar 박사와 런던의 큐 왕립식물원 커피연구 책임자이자 작물 및 지구 변화 부문의 선임 연구책임자 Aaron Davis 박사는 시에라리온 커피 재배 및 개발전문가 Daniel  Sarmu와 협력하여 야생에서 이 종을 찾아내려고 했다. 그들은 RBG Kew의 역사적 표본을 사용하여 스테노필라 커피의 마지막으로 알려진 지역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했다. NGO Welthungerhilfe와 시에라리온 임업부의 지원을 받아 그들은 주요 목표 위치를 방문했고, 그곳에서 스테노필라 커피 한 그루만 발견했다. 동쪽으로 이동하여 다른 삼림 지역을 방문했고, 울창한 삼림을 몇 시간 동안 트레킹한 후 마침내 건강한 개체군을 찾았다.   요약Coffea arab.. 2024. 8. 29.
코페아 앤서니 (Coffea anthonyi) 카메룬(Cameroon)과 콩고 공화국(Republic of Congo)의 코페아 앤서니 Coffea anthonyi Stoff. & F. Anthony가 공식적으로 기술된다.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분자적 특성, 아이소자임(동질효소, isozyme) 다양성 및 계통발생론적 관계가 논의된다. 이 새로운 이배체 종은 동아프리카 C. eugenioides 및 이질사배체 재배 C. arabica와 강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C. arabica의 조상 종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 새로운 종은 자가-화합적(self-compatible)이며, 이는 Coffea 속 내에서 희귀한 특성이다. 이 새로운 소엽의 중앙 아프리카 종은 계통발생론적 관점 뿐만 아니라 육종 관점에서도 특히 관심을 끈다.    ■ INTROD.. 2024. 8. 27.
리베리카 커피 20세기 초에 리베리카 커피가 세계적 작물 식물로서 실패한 것은 여러 요인 때문인데, 여기에는 세계적 보급을 위한 부적절한 재료 선택도 포함된다. 이 종에 대한 새로운 관심, 특히 엑셀사 변종에 대한 관심은 커피 공급망 전반에 걸쳐 분명하게 드러난다. 온난화되는 세상에서, 그리고 공급망이 붕괴된 시대에 리베리카 커피는 주요 작물 식물로 다시 부상할 수 있다.   세계의 커피 공급은 아라비카 (Coffea arabica; 세계 생산량의 약 55%)와 로부스타 (C. canephora; 세계 생산량의 약 45%)의 두 종에 달려 있다 [1]. 2021년과 2022년에 이 두 작물 종의 세계적 재고가 부족해 커피 가격이 급등했고, 아라비카의 경우 단기적으로 상품 가격이 두 배로 뛰었다 [2]. 생산 부족은 가.. 2024. 8. 15.
카페인-프리 커피나무 C. charrieriana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무역 상품 중 하나인 커피는 50개 이상의 열대 개발도상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최소 1억 명에게 중요한 소득원과 고용원을 제공한다 (Vega, Rosenquist & Collins, 2003). Coffea arabica L.과 C. canephora Pierre ex A. Froehner의 두 종이 전 세계 커피의 약 99%를 생산한다. 이들은 Coffea 아속(Rubiaceae과)에 속하며, 여기에는 아프리카(41종), 마다가스카르(51종) 및 마스카렌(3종)의 열대림 고유 야생종도 포함된다 (Davis et al., 2006). 지난 20년 동안 이 屬의 분류학은 근본적으로 개정되었고 많은 새로운 종이 기술되었다 (Bridson & Verdcourt, 1988; Stoffel.. 2024. 8. 13.
커피의 다양성과 게놈 진화 1. Introduction 작물 다양성(Crop diversity)은 ⇒ 지속 가능한 농업 생산의 핵심. 이는 오늘날의 생산을 뒷받침하고 급변하는 세계에 맞서 내일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원자재를 제공한다. 種의 유전적 다양성(genetic diversity)이 넓을수록⇒ 질병, 해충, 날씨 변화와 같은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회복력(capacity for resilience)이 더 커진다.전 세계적으로 커피 생산이 ⇒ 게놈 및 표현형 다양성이 감소된 (reduced genomic and phenotypic diversity)                      수의 재배품종 (cultivars)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 야생 커피나무는 ⇒  엄청난 유전적 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다. 커피가 .. 2024.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