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8

케냐 커피 품종 개발 (육종) 케냐에서의 커피 생산은 두 가지 균에 의한 질병들, 즉 Colletotrichum kahawae  (Waller & Bridge)에 의해 발생하는 Coffee Berry Disease (CBD)와 Hemileia vastatrix (Berk. and Br.)가 원인인 Coffee Leaf Rust (CLR)에 의해 심각하게 제약 받는다. 저항성이 있는 품종들의 재배가 식물 질병들의 관리를 위한 가장 비용 효과적이고 서스테이너블한 수단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케냐에서는, 소출과 품질을 향상하고, 그 두 가지 경제적으로 중요한 질병들을 관리하기 위한 커피 육종에서 상당한 성공이 이뤄졌다.  그러나, 기후변화와 같은 새롭게 등장하는 이슈들이 커피 생산에서의 서스테이너빌리티를 보장하기 위해 해소되어야 할 새로.. 2023. 12. 5.
케냐 커피 품종 케냐 커피 품종은 비교적 단순하다.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커피 중 하나인 케냐 커피의 단순하지만 의미 있는 케냐 커피 품종 이야기를 찾아본다.   [French Mission Bourbon]프렌치 미션 부르봉(French Mission Bourbon)은 재배적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아라비카 품종이다. 부르봉이라는 이름은 프랑스 선교사들이 이 품종을 따온 섬(현재 Reunion Island 레위니옹 섬)에서 유래되었다. 레위니옹 섬은 프랑스 공화국의 해외 지역으로 내부가 화산 열대우림으로 이루어진 인도양의 섬이다. 1800년대 후반에 프랑스 선교사들은 부르봉  품종을 아프리카와 케냐에 더 많이 가져왔다. 그 연도는 1897년으로 추정되며, 프랑스 선교사들이 품종을 소개했기 때문에 그 이름은 그대로 유지.. 2023. 12. 1.
케냐 커피 가치사슬(경작, 가공, 마케팅, 수출, 서비스) 케냐의 커피 가치사슬(value chain)은 투입물 공급(Inputs supply), 생산(Production), 가공(Processing), 마케팅(Marketing), 소비(Consumption) 등 5가지 주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각 프로세스에 관련된 주요 행위자는 Figure 2에 표시되어 있으며 화살표는 가치 사슬을 따라 투입물과 제품이 어떻게 흐르는지 나타낸다. 이러한 액터들의 역할은 이하에서 언급된다.   케냐는 약 3,000개의 커피 에스테이트들(estates)과 그리고 500개의 협동조합(co-operative societies) 산하 약 800,000명의 소규모 재배자(smallholder growers)로 구성된 이중 생산 시스템(dual production system)을 갖추.. 2023. 11. 28.
케냐 커피 생산과 마케팅 케냐에서 커피 부문은 2013년 작물법(the Crops Act, 2013), 2019년 작물(커피)(일반) 규정(Crops (Coffee) (General) Regulation 2019) 그리고 그 하위 법률을 통해 규제된다. 기타 관련 법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Agriculture and Food Authority (AFA) Act 2013 : 농업 및 식품청(AFA)법 2013,- the Cooperative Societies Act : 협동조합법,- the Kenya Agricultural and Livestock Research Organization (KALRO) Act 2013 :   케냐 농림축산연구기구(KALRO)법 2013,- the Seed and Plant Varie.. 2023. 9. 24.
케냐 커피 역사 덜 개발된 세계는 이제 노동이 부족하고 자본이 풍부한 사회를 위해 개발된 경제적 방법과 제도를 받아들이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이러한 수입은 역사적 발전 과정의 다른 지점에 있는 문화에서 나온 것이다(Fei & Ranis 1969). 그러나 아프리카의 새로운 국가들은 지속적인 재평가 없이 과거의 제도적 구조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똑같이 조심해야 한다. 본고의 목적은 과거 식민지 시대부터 살아남은 제도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고, 그것이 통제하는 산업에 있어서 문제시되는 관련성에 기초하여, 현재의 통제 구조가 심각한 도전에 직면한 구체적인 사례를 조사하는 것이다. 우리가 살펴볼 다양한 통제기관들은 각각 특정 시점에 만들어졌다. 각각은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경제 환경을 크게 변.. 2023. 9. 19.
케냐 커피 - 개요 및 역사 공식 명칭Republic of Kenya케냐공화국Jamhuri Ya Kenya (스와힐리어)수도나이로비 Nairobi인구  439.7만명.고도 해발 1,700m행정구역47개의 반-자치 현(county, kaunti -스와힐리어)으로 구성.2013년 이전에는 8개 주로 구성. County ⇒ Sub-counties (295개)  ⇒ locations (2427개)  ⇒ sublocations (6612개) 언어통용어(국민어) ⇒ 스와힐리(Swahili)語공용어 ⇒ 영어, 스와힐리語면적582,646 ㎢ (세계 46위, 한반도 2.6배)국경에티오피아, 남수단(북쪽), 소말리아(북동쪽), 우간다(서쪽), 탄자니아(남쪽)지형인도양 해변측 ⇒ 낮은 평지, 내륙 ⇒ 고지대 산맥과 고원, 내륙 고지대 ⇒ 거대 단층계곡.. 2023. 9. 15.
에티오피아 커피 [10] 커피 품종 Table 1 : 에티오피아에서 공식적으로 발표, 출시된 아라비카 커피 재배품종들[1] 에티오피아 JARC (Jimma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짐머농업연구센터)에서     1974/1975년_1980/1981년 사이에 CBD 저항성 13가지 품종들을 선발하여 발표.      (741, 744, 7440, 7454, 7487, 74110, 74112, 74140, 74148, 74158, 74165, 754, 72557)[2] 에티오피아 지역적합 지방종(로컬 랜드레이스) 발전계획에 따라,      2002년 JARC와 AARC (Awada Agriculture Research Sub-Center)가 협력하여     스페셜티 커피 총 16종을 개발하여 2006년~2010년에 걸.. 2023. 8. 7.
에티오피아 커피 [9] 커피 품종개발 및 육종전략 에티오피아에서는 1952년부터 1958년까지 기술 전문가를 파견한 유엔식량농업기구 (FAO,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UN)의 도움을 받아 1950년대 짐마농업기술학교(Jimma Agricultural and Technical School)에서 커피 연구를 처음 시작했다.  그러나, 진정한 커피 연구 프로그램은 IAR(Institute of Agricultural Research)이 1967년 후반에 Jimma에 연구소를 설립한 후에서나 시작되었다 (Van Der Graaff 1981). Jimma Research Station은 1968년에 운영을 시작했지만 sub-stations 설립을 위한 대부분의 토지 확보는 1970년에서 이뤄졌다. 이런 초창기에는, .. 2023. 7. 10.
에티오피아 커피 [8] 커피생산지역 에티오피아 커피 생산지역들에 관한 소개 자료 및 글들을 보면, 대부분 해외에서 잘 알려진 지역들을 위주로 열거하거나 또는 에티오피아 자체에서 내세우고 싶어 하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특정 수입업체나 로스팅 업체의 경우에는 자신들이 에티오피아로부터 수입하여 판매하는 커피의 원산지들만을 중심으로 언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포스팅에서는 에티오피아 커피 생산 지역들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지는 프레임워크를 채택한다.    에티오피아의 커피 영역은 여기에서는 5개 zones와 16개 areas로 구성된다 (Table 1, Figure 2). 에티오피아에서는, [1] 주요 커피 재배 에리어들은      Oromia Region과 SNNPR(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2023. 6. 15.
에티오피아 커피 [7] 수확 및 프로세싱, 등급 분류 ContentsFactors influencing quality and taste Harvesting (ቡናን መልቀም 부나니 메리케미) Initial post-harvest processing Dry (natural) processing  (ደረቅ 데레키) Wet (washed) processing (የታጠበ 예타테베) Dry vs. Wet processing Other processes (pulped natural and honey process, ደረቅ ከነገለፈቱ 데레키 케네겔레페투) Resting (ማሳረፍ 마사레피) Hulling (መቀሸር  메케쉐리) Green coffeeGradingSpecialty coffeeThe trading system and coffee classification.. 2023.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