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ganda Output to Continue Expanding
- 2025/26년 우간다는 로부스타 커피 580만 bags (60 kg)와 아라비카 커피 110만 bags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며,
베트남, 브라질,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 4위의 로부스타 생산국 자리를 지킬 것으로 전망된다. - 커피 생산은 우간다 경제에 매우 중요하며, 2024년 11억 달러 규모의 수출을 통해 외화 수입의 약 20%를 창출한다.
- 주요 시장으로는 유럽 연합, 미국, 수단, 인도가 있다.
- 지난 5년간 우간다의 총 커피 재배 면적은 5% 증가하여 59만 헥타르에 달했다.
- 커피 생산은 우간다 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어 있지만, 세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 남서부 지역은 로부스타와 아라비카 커피를 생산하며 생산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 그레이터 마사카(Greater Masaka) 지역과 중부 지역은 로부스타 생산이 주를 이루며,
각각 총 생산량의 약 15%를 차지한다. - 생산량의 85% 이상이 0.5~2.5 헥타르 규모의 180만 개 소규모 가족 농장에서 발생한다.
- 이러한 재배자들은 토양 비옥도와 수분 함량을 높이기 위해 바나나, 콩, 바닐라를 간작하는 경우가 많다.
- 이러한 관행은 소득 다각화라는 장점이 있지만 수확량 감소라는 단점이 있다.
- 지난 20년 동안 우간다 정부는 커피 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 이 기간 동안 우간다 커피 개발청(the Uganda Coffee Development Authority, UCDA)은 커피 생산 캠페인을 시행했고, 이는 국가 커피 정책으로 이어졌다.
- 전략적 목표는
┌ 생산량과 생산성 증대,
├ 수확 후 처리 및 보관 현대화,
├ 국내외 소비 확대, 그리고
└ 대출 프로그램 개발이었다. - UCDA는 우간다 커피 산업 성장을 위한 여러 사업에 집중했다.
- 수요와 가치를 높이기 위해 UCDA는
┌ 커피 관세 인하를 위한 국가 간 협상을 촉진하고,
├ 우간다 커피 브랜드를 홍보하는 마케팅 자료를 제작했으며,
└ 지역 커피 로스터와 가공업체에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 UCDA는 협동조합 및 중소기업과 협력하여 미활용 토지를 개발하여 커피 재배 면적을 확대했다.
- 수확량 증대를 위해 종자 품종 개량 연구를 지원하고 위조 방지를 위한 비료, 살충제, 제초제 유통망을 구축했다.
- UCDA는 2030년까지 생산량을 2천만 bags로 늘리겠다는 공격적인 목표를 설정했지만, 대부분의 국가가 이 기간 동안 미미한 성장만을 보인 반면, 우간다는 지난 10년 동안 생산량을 거의 두 배로 늘렸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 지난 2년간 커피 가격 상승은 재배자들이 UCDA의 원래 목표를 향해 생산량을 계속 확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 2024년 11월,
효율성 증대 및 비용 절감을 위해 국가 커피 법안(National Coffee Bill)으로 UCDA가 해체되었지만,
해당 기관의 기능은 농무부로 이관되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FAS 글로벌 농업 정보 네트워크(GAIN)의
우간다 커피 연례 보고서(Coffee Annual Nairobi Uganda UG2025-0001)를 참조하시라.
2025/26 Coffee Overview
- 2025/26년 세계 커피 생산량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지속적인 회복세와 에티오피아의 사상 최대 생산량으로 전년 대비 430만 백 증가한 1억 7,870만 bags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 커피 콩 수출량은 베트남, 에티오피아, 인도네시아의 수출 증가가 브라질과 콜롬비아의 감소분을 상쇄하며, 70만 bags 증가한 1억 2,230만 bags으로 예상된다.
- 전 세계 커피 소비량이 사상 최대인 1억 6,940만 bags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말 재고는 2,280만 bags으로 여전히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에 따라 국제커피기구(ICO) 월간 종합물가지수에 따르면 커피 가격은 지난 2년간 90% 이상 상승했다.
https://ico.org/resources/coffee-market-report-statistics-section/
Vietnam
- 베트남 커피 생산량은 양호한 기상 여건에 따른 수확량 증가로 2025/26년 3,100만 bags으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높은 가격 덕분에 커피 재배자들은 비료 및 기타 투입재에 대한 지출을 늘려 수확량을 더욱 늘릴 수 있었다.
- 수확 면적은 거의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전체 생산량의 약 95%가 로부스타로 유지될 것이다.
- 커피 콩 수출량은 공급량 증가로 160만 bags 증가한 2,460만 bags으로 예상된다.
Brazil
- 브라질의 2025/26년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합산 수확량은 30만 bags 증가한 6,500만 bags으로 예상된다.
- 로부스타 수확량은 주요 생산지인 에스피리투산투(Espirito Santo)와 바이아(Bahia) 지역의 풍부한 강우량으로 과실 생육이 촉진되어 310만 bags 증가한 사상 최대치인 2,410만 bags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아라비카 생산량은 미나스제라이스(Minas Gerais)와 상파울루(Sao Paulo) 지역의 가뭄과 고온으로 인해, 개화, 착과 및 생육에 악영향을 받아 280만 bags 감소한 4,090만 bags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가격 상승으로 수입국들이 재고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수출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결과적으로 작년의 급격한 재고 감소 이후 기말 재고량은 100만 bags 증가한 170만 bags로 예상된다.
Colombia
- 콜롬비아의 커피 생산량은 과도한 비와 구름으로 인해 개화 시기가 지연되어 수확량이 감소함에 따라, 70만 bags 감소한 1,250만 bags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환경은 커피 녹병이 확산되기에 유리했지만, 병충해 저항성 품종이 많아 전반적인 검출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 주로 미국과 유럽 연합으로 향하는 커피콩 수출량은 생산량 감소로 인해 50만 bags 감소한 1,070만 bags으로 예상된다.
Indonesia
- 인도네시아 생산량은 55만 bags 증가한 1,130만 bags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로부스타 생산량은 남수마트라(Southern Sumatra)와 자바(Java) 저지대의 양호한 재배 환경 덕분에 980만 bags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 지역에서 약 75%가 재배된다.
- 아라비카 생산량 또한 소폭 증가하여 150만 bags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생산량 증가로 커피 콩 수출량은 40만 bags 증가한 650만 bags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Ethiopia
- 에티오피아는 생산량이 90만 bags 증가하여 사상 최대인 1,160만 bags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지난 3년간의 성장은 최근 재배 면적의 절반 이상을 고수확 품종으로 대체한 데 기인한다.
- 또한 재배 농가들은 수확 후 가지치기를 통해 수확량을 늘리도록 권장 받고 있다.
- 커피 콩 수출량은 공급량 증가로 80만 bags 증가한 780만 bags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Central America and Mexico
- 중앙아메리카와 멕시코의 생산량은 30만 bags 증가한 1,770만 bags로 예상된다.
- 코스타리카의 소폭 감소를 제외하면, 이 지역 전체에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 지역의 커피 콩 수출량은 주요 시장으로의 꾸준한 선적에 힘입어
1,410만 bags으로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Revisions to 2024/25 Forecasts
- 세계 생산량은 2024년 12월 추정치에서 50만 bags 감소한 1억 7,440만 bags으로 낮아졌다.
• 에티오피아는 고령 나무를 고수확 품종으로 교체하는 국가 프로그램 이후
수확량 증가로 230만 bags 늘어난 1,060만 bags를 생산했다.
• 브라질은 가뭄과 고온으로 아라비카 수확량이 감소하여 170만 bags 줄어든 6,470만 bags를 생산했다.
• 베트남은 가뭄으로 생산량이 제한되어 110만 bags 감소한 2,900만 bags를 생산했다. - 세계 커피 콩 수출량은 80만 bags이 줄어 1억 2,150만 bags로 떨어졌다.
• 에티오피아는 180만 bags 증가한 700만 bags를 수출했다.
• 베트남은 140만 bags 감소한 2,300만 bags를 수출했다.
• 인도는 국내 소비 증가 및 재고 증가로 70만 bags 감소한 370만 bags를 수출했다.
세계 커피 생산국가들의 마케팅 년도
Marketing Year | 생산국가 |
4월~3월 | Angola, Bolivia, Burundi, Ecuador, Indonesia, Madagascar, Papua New Guinea, Peru, Rwanda |
6월~7월 | Brazil, Cuba, Dominican Republic, Haiti, Philippines, Tanzania |
10월~9월 | Cameroon, Central African Republic, China, Colombia, Congo (Kinshasa), Costa Rica, Cote d'Ivoire, El Salvador, Ethiopia, Ghana, Guatemala, Guinea, Honduras, India, Jamaica, Kenya, Laos, Liberia, Malawi, Malaysia, Mexico, Nicaragua, Nigeria, Panama, Sierra Leone, Thailand, Togo, Uganda, United States, Venezuela, Vietnam, Yemen |
10월~9월 | 비생산국가들 |
Coffee Summary
아라비카 커피 생산국 순위 (Thousand 60-Kilogram Bags)
로부스타 커피 생산국 순위 (Thousand 60-Kilogram Bags)
아라비카+로부스타 생산국 순위 (Thousand 60-Kilogram Bags)
세계 국가별 커피 수출 순위
세계 국가별 커피 수입 순위
세계 국가별 커피 소비 및 기말재고 순위
'Coffee 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2월 발표 2024/2025 世界 커피市場과 貿易 (1) | 2024.12.19 |
---|---|
2024/2025 세계 커피 시장 개요 (0) | 2024.06.21 |
2023/2024 세계 커피시장 개요 (0) | 2024.03.10 |
2022/23 세계 커피 시장 개요 (0) | 202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