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6

Molecular characterisation and origin of the Coffea arabica L. genome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제한 단편 길이 다형성 마커를 genomic in situ hybridisation (GISH)와 함께 사용하여 이질사배체 (allotetraploid) 종 Coffea arabica (2n = 44)의 기원을 조사했다.잠재적인 이배체(diploid) 조상 종들의 RFLP 패턴을 C. arabica의 RFLP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C. arabica에서 결합된 두 세트의 염색체 또는 게놈의 출처가 확인되었다. C. arabica의 게놈 조직은 두 추정 게놈 공여자 종들로부터 동시에 표지된 전체 게놈 DNA를 프로브(probes)로 사용하여 GISH에 의해 확인되었다.이러한 결과는 C. arabica가 C. eugenio.. 2024. 5. 8.
Bourbon pointu (LAURIA) 부르봉 뽀앵튀 (부르봉 포인투. Bourbon Pointu) 커피는 Coffea arabica의 돌연변이에서 얻은 커피의 일종으로, 1711년 인도양에 위치한 프랑스령 라 레위니옹(La Réunion) 섬으로 임무를 수행하던 동인도회사의 오피서 하르단쿠르 (Hardancourt) 씨가 처음으로 기술했다. 첫 번째 씨앗은 예멘에서 도착한 것으로 믿어진다. 흥미로운 사실은 살아있는 커피 나무 종자의 외부 반출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었던 예멘 왕이 프랑스 사람들과 사이가 좋아서, 왕이 그에게 준 것이라고 하는데, 프랑스 사람들이 왕의 귀에 생긴 농양을 치료해 주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레위니옹 섬레위니옹(La Réunion) 섬은 마스카렌 제도에 속한 섬으로, 동아프리카 서인도양에 있는 프랑스의 해외 데파르트.. 2024. 5. 8.
Unraveling the origin of Coffea arabica ‘Bourbon pointu’ from La Réunion: a historical and scientific perspective 커피는 오일, 옥수수, 설탕, 종이 펄프와 함께 국제 시장의 주요 생산품 중 하나이다. 커피나무 재배의 역사는 아프리카에서의 재배와 전 세계로의 확산에 관해 불완전하게 기록되어 있다. 본 리뷰는 커피 돌연변이체인 Coffea arabica ‘Laurina’ (Chevalier A in Encyclopedie Biologique. Vol 28, 1947)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Bourbon pointu’라고도 불린다 (부루봉 뽀앵튀). 이 나무는 일반적으로 19세기 초 부르봉(La Réunion) 섬의 한 필드에서 선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Bourbon’ 품종에 비해, ‘Bourbon pointu’ 나무는 왜소하고 크리스마스 트리 모양이 특징적이며 원두의 컵 품질이 뛰어나다. 문헌에서 여.. 2024. 5. 2.
Authentication of Coffea arabica Varieties through DNA Fingerprinting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Coffee Sector 배경: 커피 재배에 가장 적합한 품종을 찾는 것이 지속 가능한 생산과 마케팅을 위한 핵심조건으로 점점 더 간주되고 있다. 커피 녹병 및 기타 질병에 대한 취약성(susceptibility),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 스페셜티 시장의 높은 컵 품질에 따라 품종 성과가 달라진다. 그러나 빈약한  조직과 프로페셔날한 커피 종자 섹터의 부족으로 인해, 대부분의 기존 커피 농장들 (심지어 종자 재배지 및 묘목장도)은 어떤 품종을 사용하고 있는지 모른다. 커피 플랜팅 재료의 DNA fingerprinting은 커피 종자 섹터의 분야의 전문화에 기여할 것이다. 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i) 8개의 SRR (Single Sequence Repeats marker)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커피 DNA 핑거 프린팅 방법의 .. 2024. 4. 29.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loci in Coffea arabica and related coffee species 커피나무 (family Rubiaceae, 꼭두서니科)는 코페아(Coffea)와 실란투스(Psilanthus)의 두 속(genera)으로 분류된다. 경제적으로 중요한 두 가지 재배 종인 C. arabica L.과 C. canephora Pierre를 포함하는 Coffea 속에 특별한 관심이 기울여졌다. C. arabica (2n = 4× = 44)는 複二倍體 (amphidiploid) (Lashermes et al. 1999)인 반면, 다른 Coffea 종은 2배체 (diploid)(2n = 2 × = 22)이다.Coffea 종의 분자 계통학(Molecular phylogenies)이 성공적으로 정립되었다 (Cros et al. 1998). 이러한 분석은 강력한 지리적 관련성(correspondence).. 2024. 4. 29.
아라비카 커피 재배 품종들의 기원 The Origin of Cultivated Coffea arabica L. Varieties revealed By AFLP and SSR Markers 18세기 초부터 예멘에서 퍼져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대부분의 아라비카 품종을 탄생시킨 커피(즉, Typica와 Bourbon)의 유전적 베이스들  간의 그리고 내의 다형성(polymorphism)을 평가하는데 분자 마커들(molecular markers)이 사용되었다.전파된 베이스들로부터 유래된 11개의 아라비카 액세션들이 6개의 미세부수체(microsatellites)에 의해 생성된 37개의 프라이머 조합(primer combinations) 및 단순 서열 반복(simple-sequence repeats, SSR)을 사용하여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 증폭된 단편 길이 다형성)에 의해 평가되었다.예멘에서 자라는 4개의 재배품종들과, 종 다양성의 .. 2024. 4. 15.
Deciphering Early Movements and Domestication of Coffea arabica [제목] 에티오피아와 예멘을 커버하는 포괄적 유전적 다양성 연구를 통한          아라비카 커피의 초기 이동과 재배화(작물화) 규명커피종인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는 기후 변화, 해충 및 질병 압력과 관련하여 수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품종 개량이 해결책의 일부가 될 것이다. 따라서 종의 부족한 유전적 다양성을 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C. arabica의 주요 서식지와 함께 에티오피아의 완전한 자생 서식지와 재배화 센터들을 포괄하는 C. arabica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첫 번째 연구를 제시한다: Yemen과 에티오피아의 Hararghe 지역.전체적으로 555개의 샘플이 Sing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세트를 사.. 2024. 4. 14.
예멘 커피의 독특한 유전적 다양성 거의 모든 재배 커피(Coffea arabica L.) 품종은 일부 커피 종자가 인근 에티오피아에서 예멘으로 유입된 후 예멘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예멘의 실제 커피 유전적 다양성과 그것이 커피 세계에 미치는 중요성은 결코 탐구된 적이 없다.우리는 5개의 유전자 클러스터를 관찰했다.우리가 EO (Ethiopian-Only) cluster라고 명명한 첫 번째 클러스터는 에티오피아 액세션들만으로 구성되었다.이 클러스터는 예멘 및 재배 품종 클러스터들과 명확하게 분리되어, 야생 에티오피아 품종과 전 세계 커피 재배 품종 사이의 유전적 거리를 확인해준다. 우리가 SL-17 cluster라고 명명한 두 번째 클러스터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품종들의 작은 클러스터였으며 예멘 샘플들은 포함되지 않았다.다.. 2024. 4. 14.
아라비카 커피의 초기 역사와 전파 (Origin, Early History and Dispersion of Arabica Coffee) 커피 음료는 모든 사람의 음료가 되었지만 항상 귀족적인 분위기 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분위기도 풍겼다. 그것을 사용하는 데에는 뭔가 의식적인 것이 있다. 향기로운 커피 콩의 자극 효과는 일반 식품이 만족할 수 없는 방식으로 그 작물을 바람직한 것으로 만들었다.그것을 중심으로 전설이 발전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Fig. 1은 야생 커피나무들이 서식하는 지역이므로 커피가 유래했음이 틀림없는 하나 이상의 세계 지역들을 보여준다. 이집트와 초기 그리스, 로마의 고전 저술에는 커피에 대한 언급이 없다. 고대 세계에서나 수세기 후 그리스와 로마 또는 비잔티움에서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전혀 없다는 것이 궁금하다. 기록에 따르면 트로이의 헬렌이 슬픔을 달래기 위해 이집트에서 가져온 忘忧药(nepenthe)는 아마도 .. 2024. 4. 5.
에티오피아 커피 [11] 생산, 소비, 수출... Annual Report 19. May 2023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의 최대 커피 생산국이며, 세계 5위의 아라비카 커피 수출국가이다.커피는 에티오피아 총 수출액의 30-35%를 창출하는 수출 수익의 넘버원 원천이다.에티오피아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모두 아라비카 커피 품종이다.2023/2024년의 총 생산은 8백35만 자루(60kg bags) (501,000 MT)으로 예측된다.에티오피아에서 커피 산업은 국가 경제, 국민의 사회-문화적 그리고 정신적 라이프의 원동력이다. 국가 인구의 25의 생계가 커피 가치 사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의존적이며 향후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Post Addis는 MY 2022/23 (Oct-Sep)의 에티오피아 커피 생산이 8백27만 자루(496,200 MT)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에티오피아에서 커피는 GDP의 .. 2024. 3. 29.
브라질 커피 - Coffee Leaf Rust in Brazil 브라질의 커피 잎 녹병(CLR)에 대한 본 리뷰에서는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보고한다.(i) 브라질에서 CLR의 역사적 도입과 초기의 통제 조치;(ii) 이 질병에 유리한 환경 조건 및 연중 시기;(iii) CLR 저항성 재배품종 개발에 사용되는 육종 방법 및 전략;(iv) CLR 저항성의 수준, 원인 및 유형;(v) 브라질 저항성 재배품종의 개발; 그리고(vi) 화학적 및 재배적 통제 방법. 대부분의 농장은 Catuaí 및 Mundo Novo 그룹과 같은 취약성 재배품종들로 재배된다.브라질 연구 기관들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저항성을 지닌 수십종의 재배품종들을 개발했으며, 새로운 저항성 재배품종의 재배를 크게 늘렸다. CLR 저항성의 주요 원인은 Híbrido de Timor, Icatu, SH3 유.. 2024. 3. 12.
2023/2024 세계 커피시장 개요 ▣ European Union: World’s Top Coffee Importer 유럽연합(EU)의 수입은 볶지 않은 생두가 대부분인데, 이는 무역의 약 90%를 차지한다. 2022/23년(10월~9월) 상위 공급자에는 브라질(32%), 베트남(26%), 우간다(7%), 온두라스(6%)가 포함되었다. 수입량은 전년도에 4,910만 bags라는 기록을 세웠으나, 올해는 브라질로부터의 수입 감소가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 증가를 더 많이 상쇄하면서 260만 bags가 감소했다. 이 두 국가는 지난 10년 동안 EU 생두 수입의 54~58%를 차지했으며 다른 공급자의 시장 점유율은 제한적이었다.같은 기간 동안 우간다는 생산량 증가로 120만 bags을 늘려 총 340만 bags을 얻었고, 콜롬비아는 50만 bag.. 2024. 3. 10.
Coffee Leaf Rust Resistance: An Overview 커피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소비되는 음료 중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거래되는 상품 중 하나이다. 주요 커피 생산 국가는 브라질, 베트남, 콜롬비아이며, 유럽 연합과 미국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소비 및 수입 시장이다 (FAO 2022). 두 가지 재배종인 Coffea arabica L. (Arabica)과 Coffea canephora Pierre ex A. Froehner (Robusta)는 2020년 평균적으로 각각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60%와 40%를 차지했다 (ICO 2020). C. arabica는 고지대에서 주로 재배되며 쓴맛이 적고 향이 좋으며 카페인 함량이 낮아 소비자가 선호한다. C. canephora는 열대간 저지대에 더 적합하며 쓴맛이 더 강하고 카페인 함량이 더 높은.. 2024. 3. 2.
Coffee leaf rust pathogen Hemileia vastatrix ▣ Taxonomy and History: Hemileia vastatrix Berkeley and Broome (Basidiomycota, Pucciniales)은 1869년에 東아프리카와 실론에서 커피 잎 녹병의 原因菌으로 기술되었고 전세계 모든 커피 栽培地域들로 퍼져왔다.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아메리카에서의 주요 疾病 勃發은 심각한 소출 손실을 유발했고 계속 유발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많은 열대 및 아열대 국가들의 현금 작물인 커피의 가장 중요한 疾病으로 만들고 있다. ▣ Life cycle and Disease symptoms: Hemileia vastatrix는 (유일하지는 않지만) 가장 중요한 接種源으로 夏胞子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 半輪生 곰팡이菌 (hemicyclic fungus)이다... 2024. 3. 1.
Coffee Leaf Rust and Coffee Berry Disease 커피 잎 녹병(coffee leaf rust, CLR) 및 커피베리병(coffee berry disease, CBD)과 같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식물 질병을 방제하기 위해 고전적인 육종을 사용하여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유전적으로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식물 질병을 관리하는 가장 적절하고 비용 효율적인 수단이며, 작물 개선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라는 강력한 합의가 있다. 또한 병원체와 식물 방어 메커니즘에 대한 더 나은 지식을 통해 저항성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식물 질병 저항성 분야의 개념에 대한 간략한 설명 후, 병원체 감염 및 변이성, 저항성을 위한 커피 육종 및 커피 저항성 메커니즘과 관련된 커피 녹병 및 CBD에 대한 연구 진행 상황.. 2024. 2. 28.
Coffee Berry Disease (CBD) 리뷰 Colletotrichum spp.콜렉토트리쿰 종들은 다양한 작물들의 잎, 꽃, 과일, 줄기 및 관(crown) 부분의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식물 병원성 곰팡이이다. 그들은 주로 다습한 亞濕潤 地域들(sub-humid areas)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들에서 발견된다. 이들 중에서 Colletotrichum kahawae 곰팡이에 의해 유발되는 커피베리병(CBD)이 커피 생산에 있어 주요 난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리뷰는 다양한 발견사항들을 통해 CBD 병원체의 확산 정도와 생물학에 대한 더 나은 통찰력을 제공하고, 이 질병에 대한 더 나은 관리전략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C. kahawae의 느린 성장 형태는 시트레이트(citrate)나 titrate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 2024. 2. 16.
케냐 커피 개혁 ▣ 2023년 1월. 루토 대통령, 커피개혁 행정명령 서명 윌리엄 루토(William Ruto) 대통령은 새로운 행정명령을 통해 부통령 리가티 가차구아(Rigathi Gachagua)에게 커피 부문 개혁에 대한 리더십을 부여했을 때 정부가 커피, 차, 우유 부문에서 카르텔을 제거하겠다고 맹세했다.하위 부문들, 특히 커피를 중심으로 한 거래는 여전히 고도로 보호되고 있으며, 이를 합리화하려는 시도는 어떤 경우에는 폭력에 직면했다. 현 상태를 방해하려는 모든 시도에 저항하는 해당 부문 카르텔의 끈질긴 고집 때문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 케냐에서는 커피 농가들의 고민은 농산물을 팩토리에 배송할 때부터 시작된다. 자신들이 생산한 농산물 커피 체리를 수확하여 넘겨준 후 그들은 얼마나 많은 양이 팔릴 것인지, .. 2024. 2. 15.
케냐 커피 가공, 마케팅, 지속가능 영농 적시에 선택적으로 밝은 빨간색 체리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한다 (selective picking).펄핑 및 발효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녹색 및 덜 익은 베리를 따지 않는다.깨끗한 수확 가방, 바구니 또는 통을 사용한다(clean harvesting bags, baskets or tins).따는 동안 맨땅에 체리를 떨어뜨리지 말아라.수확한 체리는 직사광선을 피해 그늘에 보관해야 한다.체리는 깨끗한 용기나 가방에 담아 운송해야 한다(clean containers, bags).체리를 공장으로 운송하는 것은 수확 당일에 이루어져야 한다.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체리를 깨끗한 재료-바닥에 펼친다.녹색, 덜 익은 것, 너무 익은 것, 마른 것, 해충 감염된 것, 병에 걸린 베리, 나뭇가지, 잎파리, 및 돌과 같은 기타.. 2024.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