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9 에티오피아 커피 [7] 수확 및 프로세싱, 등급 분류 ContentsFactors influencing quality and taste Harvesting (ቡናን መልቀም 부나니 메리케미) Initial post-harvest processing Dry (natural) processing (ደረቅ 데레키) Wet (washed) processing (የታጠበ 예타테베) Dry vs. Wet processing Other processes (pulped natural and honey process, ደረቅ ከነገለፈቱ 데레키 케네겔레페투) Resting (ማሳረፍ 마사레피) Hulling (መቀሸር 메케쉐리) Green coffeeGradingSpecialty coffeeThe trading system and coffee classification.. 2023. 6. 9. 에티오피아 커피 [6] 커피경작시스템 ContentsCoffee farming systems (coffee production system) Forest Coffee (FC)Semi-forest Coffee (SFC) Forest Garden Coffee (FGC)AgroforestryGarden Coffee (GC) Plantation Coffee (PC) Shade plants ProductivityThe cycle of coffee production – The yearly cycleThe cycle of coffee production – The biennial cycle Seed and seedling production Planting densities General cultivation – Pruning and stumping.. 2023. 5. 31. 에티오피아 커피 [5] 커피 기후와 농생태학 ContentsThe seasons Rainfall (precipitation) Air temperature Humidity and other factors Climate change Coffee farming and natural vegetationDeforestationThe coffee suitability niche (climate and forest) References 아라비카 커피는 좁은 범위의 환경 조건 내에서 성공적으로 자라며 시장성 있는 작물을 생산한다. 강수량, 온도 및 계절성 간의 상호작용은 개화 및 결실 단계를 포함하여 커피 나무의 성장을 지배하는 주요 요인이다. 커피는 기온이 상승하고 토양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강우량 부족으로 인해) 점점 더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그 반대의 .. 2023. 5. 26. 에티오피아 커피 [4] 아라비카 커피 식물학 우리는 野生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의 生物學的 起源과 進化에 대한 정확한 세부 사항을 결코 알 수 없지만, 그 식물과 근연종들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몇 가지 그럴듯한 추론을 할 수 있다.광범위한 과학 연구를 통해 우리는 아라비카 커피가 두 가지 아프리카 커피 種인 ⇒ Robusta coffee (Coffea canephora)와 ⇒ Nandi coffee (C. eugenioides)의 交配 結合(hybrid union)에서 나왔거나, 또는 아마도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다른 두 種(현존 또는 멸종)의 交配에서 생겼다는 것을 알고 있다. 로부스타 커피는 많은 열대 아프리카 지방에 널리 分布되어 있다. 난디 커피는 주로 아프리카 리프트 밸리 지역의 중부와 북부의 고지대와 리프트 밸리 .. 2023. 5. 20. 에티오피아 커피 [3] 커피 세리모니 및 의례 -- Coffee Cerimony and Ritual --에티오피아에서 사용되는 커피의 명칭은 여러가지가 있다. bun (Tigrinya)bunna (Amharic)buna (Oromifa)tukke (Gamo, Wälläyta, Kullo)qahwa (Harari),tika (Me’en)buno (Gurage)커피 세리모니 ⇒ ቡና ማፍላት = Buna mafilati (부나 마프라티) ⇒ Brewing Coffee 에티오피아에서 커피(암하라어 "Bunna") 농업은 시민과 국가의 전통적 삶과 사회경제적 삶 모두에서 역동적인 역할을 한다 (FAO, 2014). 커피는 에티오피아의 최대 수출품이며 에티오피아 경제의 중추이다 (Degaga, 2020). El Ouaamari & Cochet (2014)은.. 2023. 5. 20. World of Coffee Athens 2023 2023년 6월 22일부터 24일까지 유서 깊은 도시 그리스 아테네의 메트로폴리탄 엑스포에서 2023 World of Coffee 박람회가 개최된다. 온라인에서는 방문자 등록이 시작되었다. World of Coffee는 SCA (Specialty Coffee Association)가 주최하고 호스트 스폰서인 BWT water+more가 자랑스럽게 후원하는 유럽 최고의 프리미엄 커피 박람회이다. 웹사이트 https://worldofcoffee.squarespace.com/ World of Coffee Milan 2022에 이어 World of Coffee Athens 2023은 전 세계 80개국 이상에서 300개 이상의 전시업체와 10,000명의 참석자가 참여하는 가장 크고 최고의 World of Coff.. 2023. 5. 15. World of Coffee Busan 2024 [뉴스] 2024년 3월 1일-4일 세계커피트레이드쇼 +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 부산 개최 지난 2022년 부산시와 SCA 간에 업무협약이 체결되었고, 2024년 박람회와 월드바리스타 챔피언십이 부산에서 개최된다고 한다. 부산에서는 또한 2023년 3월부터 6월까지 SCA Educator Summit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커피 애호가나 전문가들에게는 흥미로운 일정으로 보인다. 이하에는 SCA가 주최하는 행사이하 내용은 관련 소식에 관한 SCA 안내 그래픽 이미지와 2024 행사 보도자료이다. World of Coffee Trade Show Expands to Asia in 2024 featuring the 2024 World Barista Championship SUNDAY, APRIL 23, 202.. 2023. 5. 15. 에티오피아 커피 [2] 커피 소비 아라비카 커피는 에티오피아에서 수천 년은 아니더라도 수백 년 동안 음식과 음료로 사용되었다. 그것의 초기 사용은 의심할 바 없이 숲에서 야생으로 자라는 나무에서 열매를 따 먹는 것으로 제한되었으며, 반-재배화(semi-domestication) 및 식품 공급원으로서의 발전은 아마도 그 후 곧 나왔을 것이다. 커피 열매는 완벽하게 먹을 수 있으며, 나무에서 바로 생으로 따서 먹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섭취하면 체리나 다른 비슷한 과일을 먹을 때처럼 다육질의 과육(fleshy pulp) (식물학적으로 mesocarp 중과피로 알려짐)을 먹고, 그 씨앗(커피콩)을 거부하거나 ‘뱉어 낸다(spat out)’.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생콩을 씹어서 먹기도 하는데, 이렇게 사용하는 것을 '씹는 커피(chewin.. 2023. 5. 10. 에티오피아 커피 [1] 개요 공식 명칭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에티오피아 연방민주공화국이전 이름인 Abyssinia는 Amhara와 Tigray 지역만을 의미.수도Addis Ababa인구 480만명.고도 7,870 ft (2,400 m)행정구역Regional statesandCapitals11개의 States ⇒ Afar (Semera); Amhara (Bahr Dar); Benishangul-Gumuz (Asosa); Gambela (Gambela); Harari (Harar); Oromia (Finfinne/Addis Ababa); Somali (Jijiga); Sidama (Hawassa);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Hawass.. 2023. 5. 8. 아라비카 커피의 遺傳的 多樣性 ContentsAbstract1. Introduction 2 Economic importance of Coffea arabica3 Origin and Distribution of Coffea arabica4 Coffea arabica genetic resources5 Breeding and genetic diversity based on morphological and agronomic traits6. Genetic diversity based on molecular markers7. ConclusionReferences 2023. 5. 6. 커피발견의 전설들 Kaldi는 커피나무를 발견한 에티오피아의 염소지기였다. 사실 이 스토리는 출처가 불분명하다 (apocryphal). 커피 관한 최초의 인쇄된 논문(treaties) 가운데 하나인 『De Saluerrima potione Cahue seu Cafe Nuncupata Discurscus』 (Rome, 1671)를 저술한 저자 Antoine Faustus Nairon이 관계된다. 그는 로마의 동양 언어(시리아어) 교수이었으며, 마론파 교도(maronite, 주로 레바논에 거주하며, 동방 의식을 채용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일파)였다. 라틴어로 된 이 논문의 제목은 ‘가장 안전한 음료(De saluberrima potione) 카훼 또는 카페에 대한 담론’이라는 의미이다. 저자의 이름은 Murhij ib.. 2023. 4. 27. 아라비카 커피의 고향 에티오피아 아라비카 커피와 그 발견의 역사적 뿌리에 대해서는 명확한 것이 없다. 아라비카 커피의 정확한 起源에 관한 명확한 역사적 연구가 이뤄진 적이 아직 없다. 역사가들은 에티오피아 남서부의 숲에서 커피가 처음 발견되었다고 일반적 동의만 하고 있을 뿐이다. 소수의 학술 연구들에 따르면, 남서부 에티오피아, 특히 Kaffa 지방 북부 지역, 즉 Jimma and Limmu Awraja의 예전 인나랴 지역(Ennarya region)이 아라비카 커피의 誕生地(the birth place of coffee)일 수 있다고 한다 (Hassen 1994, Huntingford 1969, Teketay 1999). 여러 2차 자료들이 가리키는 바에 따르면, 예전의 Ennarya regions (나중에는 Limmu Enna.. 2023. 4. 24. 커피나무의 遺傳的 多樣性과 起源 Coffee’s Movement around the GlobeBourbon과 Typica는 세계에서 문화적으로나 유전적으로 가장 중요한 C. arabica 커피의 그룹들을 구성한다.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15C~16C에 아라비카 커피 씨앗은 에티오피아 남서부의 커피 숲에서 예멘으로 옮겨져 작물로 재배되었다. 최근의 유전자 검사 결과 Bourbon과 Typica가 에티오피아에서 예멘으로 가져온 주요 종자임을 확인했다.예멘에서 Bourbon과 Typica의 후예가 전 세계로 퍼져 현대 아라비카 커피 재배의 기초를 형성했다. Bourbon 품종은 예멘까지 Typica와 비슷한 경로를 따랐으며 더 동쪽으로 전파되는 대신 씨앗이 마다가스카르 해안의 Bourbon 섬(현재 라 레위니옹)으로 도입되었다. Bourbo.. 2023. 4. 22. 브라질 커피 서스테이너블리티, 생산, 인증 브라질은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으로 2021년에는 세계 총 생산량의 40%인 6,990만 bags를 생산했다. 브라질은 또한 총 수출량의 32%인 4,570만 bags를 수출하는 최대 생두 수출국이기도 하다 [USDA 2022] . 지속가능 인증 커피를 포함한 차별화된 커피의 경우 2021년 [CECAFE 2022] 주로 미국, 독일, 벨기에, 이탈리아, 일본 및 영국에 770만 bags를 수출했다. 이는 2017년 대비 50% 증가한 금액이다. 수년에 걸쳐 품질 및 지속 가능성 파라미터 측면에서 브라질 커피의 풍부함은 지속가능성 목표에 부합하는 농업 모범사례에 대한 제도적 및 민간 전략에 대한 국제적인 레퍼런스로서 나라를 포지션해왔다. 세계 커피시장에서 주요 생산 및 수출 역할로 인해 브라질은 VSS(.. 2023. 4. 21. 브라질 커피 생두 등급 분류를 위한 품질기술규정 브라질 농축식품부 (Ministério da Agricultura Pecuária e Abastecimento, MAPA)에서 2003년 6월 11일자 규범적 지침 제8호로 발표한 [가공 커피생두의 등급분류를 위한 식별 및 품질 규정]을 읽어보면,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브라질에서 프로세싱을 마친 커피 생두를 어떻게 등급평가하여 분류하는지를 그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아울러 커피 프로세싱에 관한 학습에 있어서 특히 브라질이라는 최대 생산 및 수출국 현지의 포르투갈어 실무 용어들을 파악하는데도 좋을 것 같아 공부 차원에서 읽어본다. REGULAMENTO TÉCNICO DE IDENTIDADE E DE QUALIDADE PARA A CLASSIFICAÇÃO DO CAFÉ.. 2023. 4. 16. 브라질의 커피 원산지 표기 지리적 표시 - 서론 농식품에 대한 지리적 표시 문제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학문적 관점 그리고 국가 기관의 성과, 무엇보다 국제 인센티브와 농촌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관심의 문제가 되었다. 브라질에서 GI를 제공하는 법률은 the Common Market of the Southern Cone (Mercosur), 즉 남미 원뿔지역 공동시장 회원당사국들(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이 서명한 조약에서 나오는 조항을 따른다. 보호를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는 상표, 원산지 표시 및 원산지 지정과 관련하여 지적 재산에 관한 규칙의 조화를 위한 의정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문서(법률 제912호)는 1995년 8월 1일부터 5일 사이에 아순시온(파라과이)에서 개최된 the VIII Meeti.. 2023. 4. 16. 브라질 커피 산지 (Coffee Regions - Indicação Geográfica) 지리적 표시(Indicação Geográfica)GI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지리적 출처를 나타내는 지리적 이름(또는 생산지 이름)으로 구성된 기호이다. 해당 지역에 설립된 생산자 및 서비스 제공자(일반적으로 대표 조직으로 구성됨)만 GI를 사용할 수 있다.Indicação de Procedência (원산지 표시, IP)라고 하는 GI 유형은 특정 제품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의 추출, 생산 또는 제조 센터로 알려진 국가, 도시 또는 지역의 이름을 나타낸다. Denominação de Origem (원산지 명칭, DO)라는 GI 유형은 Denomination of Origin라는 의미로, 자연 및 인적 요소를 포함한 지리적 환경 덕분에 제품이나 서비스가 특정 특성을 갖는 국가, 도시 또는 지역의 이름을 .. 2023. 4. 11. 브라질 커피 역사 HISTORY OF COFFEE IN BRAZILFrancisco de Melo Palheta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1727년 원사(소령, Sergeant Major) 프란시스코 데 멜로 팔레타(Francisco de Melo Palheta)(1670-1750)는 프랑스령 기아나(French Guiana)와 네덜란드령 기아나(Dutch Guiana, 현재의 수리남) 사이의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발아가능 커피의 판매 금지 당시 브라질 국경 문제에서 논란이 된 지점 중 하나는 브라질 북부에 있는 Capitania do Maranhão e Grão Pará (마라냥- 그랑파라 까삐따냐)라는 포르투갈 식민지의 한 구역과 프랑스령 기아나(Guiana Francesa) 사이의 국경 지역이었다... 2023. 4. 9. 이전 1 ··· 3 4 5 6 7 다음